[심층취재] 수능등급제, 이유 있는 불만

입력 2007.12.10 (22:12) 수정 2007.12.10 (22: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수능 성적이 등급으로 발표되면서 여기저기서 폐해를 지적하는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습니다.

수능 등급제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꼭 비판만 받아야 하는 건지 유원중 기자가 심층취재 했습니다.

<리포트>

<녹취>안병영(전 교육부총리/2004년 11월): "점수와 석차만을 강조하는 선발방식에서 벗어나 학생의 소질과 잠재력을 향상시키는 교육을 통해..."

지난 2004년, 정부는 대학입시에서 수능의 영향력을 줄이고 공교육을 살리자는 취지로 2008학년도부터 수능등급제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이렇게 해서 올해 처음 시행된 수능등급제.

우선 우려했던 변별력 문제는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올해 수능 4개 영역에서 모두 1등급을 받은 학생은 인문계에서 454명, 자연계에서 190명에 불과합니다.

이처럼 영역별 등급에 대학이 정한 가중치와 환산점수까지 적용하면 9개 등급으로도 수만 개의 조합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이남렬(서울시교육정보원 연구사): "수능이 9등급이라는 것만 알고 계신데 등급 간 구분 점수라던지 영역별 반영 비율을 모두 고려하면 동점 사태는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수능등급제의 가장 큰 결함은 한 문제를 더 틀려 등급이 떨어진 학생이 과거 점수제 때보다 더 큰 불이익을 받게 됐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1등급 커트라인이 98점으로 추정되는 수리 '가' 영역에서 3점짜리 문제를 틀려 97점을 맞은 학생은 2등급을 받아, 상위 5%가 아니라 14%대의 학생으로 간주 됩니다.

<녹취>수험생 학부모: "작년 같으면 충분히 최상위권에 들 수 있었는데 지금 언어에서 한 등급이 떨어져 최상위권 대학을 바라볼 수가 없어요."

이는 수능의 비중을 줄이기 위해 등급제를 도입했지만 수능 영향력이 전혀 줄지 않았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입니다.

정부는 올해 대입에서 학생부 반영비율 50%를 요구했지만 일부 상위권대학들은 학생부 실질반영률을 최소화했습니다.

이러다보니 수능에서의 실수를 학생부나 다른 방법으로 만회할 길이 막히게 됐고 점수 한 점에 목을 매는 상황이 바뀌지 않는 것입니다.

<인터뷰>민경찬(2004년 대입개선특위 위원): "저희가 기대했던 것은 다양한 특성과 소실을 반영하고 대학 나름대로 선발 기준을 다양화 하는 것이었지 수능만 가지고 선발하라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수능등급제 옹호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일선 학교에서는 등급제로 피해를 본 학생보다는 더 많은 학생에게 대학 선택의 기회가 넓어졌다고 말합니다.

대학입시제도를 또 통째로 바꾸면 혼란이 더 커질 수 있다는 겁니다.

<인터뷰>최병기(대교협 입시상담교사): "작년 같은 표준점수 체제였을 경우에는 사실 더 큰 문제가 있었죠. 한 문제가 틀려 같은 점수, 같은 등급에서도 표준점수가 틀려질 수 있었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 할 점은 수능시험이 학생의 우수성을 평가하고 지원 대학과 학과를 결정짓는 절대적인 가치를, 과연 가지고 있느냐는 겁니다.
결국 수능등급제 혼란은 제도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제도를 운영하는 사람들의 문제가 더 커보이는 이유입니다.

KBS 뉴스 유원중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취재] 수능등급제, 이유 있는 불만
    • 입력 2007-12-10 21:26:50
    • 수정2007-12-10 22:21:17
    뉴스 9
<앵커 멘트> 수능 성적이 등급으로 발표되면서 여기저기서 폐해를 지적하는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습니다. 수능 등급제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꼭 비판만 받아야 하는 건지 유원중 기자가 심층취재 했습니다. <리포트> <녹취>안병영(전 교육부총리/2004년 11월): "점수와 석차만을 강조하는 선발방식에서 벗어나 학생의 소질과 잠재력을 향상시키는 교육을 통해..." 지난 2004년, 정부는 대학입시에서 수능의 영향력을 줄이고 공교육을 살리자는 취지로 2008학년도부터 수능등급제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이렇게 해서 올해 처음 시행된 수능등급제. 우선 우려했던 변별력 문제는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올해 수능 4개 영역에서 모두 1등급을 받은 학생은 인문계에서 454명, 자연계에서 190명에 불과합니다. 이처럼 영역별 등급에 대학이 정한 가중치와 환산점수까지 적용하면 9개 등급으로도 수만 개의 조합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이남렬(서울시교육정보원 연구사): "수능이 9등급이라는 것만 알고 계신데 등급 간 구분 점수라던지 영역별 반영 비율을 모두 고려하면 동점 사태는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수능등급제의 가장 큰 결함은 한 문제를 더 틀려 등급이 떨어진 학생이 과거 점수제 때보다 더 큰 불이익을 받게 됐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1등급 커트라인이 98점으로 추정되는 수리 '가' 영역에서 3점짜리 문제를 틀려 97점을 맞은 학생은 2등급을 받아, 상위 5%가 아니라 14%대의 학생으로 간주 됩니다. <녹취>수험생 학부모: "작년 같으면 충분히 최상위권에 들 수 있었는데 지금 언어에서 한 등급이 떨어져 최상위권 대학을 바라볼 수가 없어요." 이는 수능의 비중을 줄이기 위해 등급제를 도입했지만 수능 영향력이 전혀 줄지 않았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입니다. 정부는 올해 대입에서 학생부 반영비율 50%를 요구했지만 일부 상위권대학들은 학생부 실질반영률을 최소화했습니다. 이러다보니 수능에서의 실수를 학생부나 다른 방법으로 만회할 길이 막히게 됐고 점수 한 점에 목을 매는 상황이 바뀌지 않는 것입니다. <인터뷰>민경찬(2004년 대입개선특위 위원): "저희가 기대했던 것은 다양한 특성과 소실을 반영하고 대학 나름대로 선발 기준을 다양화 하는 것이었지 수능만 가지고 선발하라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수능등급제 옹호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일선 학교에서는 등급제로 피해를 본 학생보다는 더 많은 학생에게 대학 선택의 기회가 넓어졌다고 말합니다. 대학입시제도를 또 통째로 바꾸면 혼란이 더 커질 수 있다는 겁니다. <인터뷰>최병기(대교협 입시상담교사): "작년 같은 표준점수 체제였을 경우에는 사실 더 큰 문제가 있었죠. 한 문제가 틀려 같은 점수, 같은 등급에서도 표준점수가 틀려질 수 있었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 할 점은 수능시험이 학생의 우수성을 평가하고 지원 대학과 학과를 결정짓는 절대적인 가치를, 과연 가지고 있느냐는 겁니다. 결국 수능등급제 혼란은 제도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제도를 운영하는 사람들의 문제가 더 커보이는 이유입니다. KBS 뉴스 유원중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