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전화까지 왜 돈 받나?

입력 2001.02.22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신고전화 등 국번이 없는 전화번호는 흔히 무료인 것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사실은 그렇지가 않습니다.
박일중 기자의 취재입니다.
⊙기자: 긴급서비스나 공익서비스에 주로 사용되는 특수 전화번호.
전화번호부에도 버젓이 긴급전화로 올라 있습니다.
국번도 없어 무료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조길현(광주시 풍암동): 112, 119 있잖아요, 다 세 자릿수 들어가잖아요.
무료전화잖아요.
그래서 이것도 무료 같아요.
⊙인터뷰: 신고 전화니까 긴급할 때 해야 되는 건데 그것도 유료이면 그렇지 않나요...
⊙이지아(서울시 후암동): 그러나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33개의 특수 전화번호 가운데 범죄신고와 간첩등 6개 외에는 모두 유료입니다.
수도고장 신고나 전기고장 등 불편신고도 신고자 부담이라는 얘기입니다.
⊙최윤초(서울시 상수도사업소 과장): 수요가들이 관리에 약간 해패한 사실을 신고하면서 부담을 늘리도록 하는 게 어떻게 보면 좀 정당한 거 아니지 않습니까?
⊙기자: 그러나 요즘은 민간기업체에서도 소비자의 불만을 접수하기 위해 수신자부담 전화를 설치하는 것과는 역행하는 모습입니다.
또 아동학대신고나 환경오염 신고처럼 공익신고 전화마저도 신고자 부담입니다.
⊙원창수(녹색소비자연대 실장): 자발적인 고발이나 감시의 행동들이 많아지기 위해서는 그런 행위들을 하는 개인들을 위한 정부의 지원이나 노력들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기자: 지난 한 해 신고전화 사용요금이 서울에서만 10억원, 자신도 모르는 사이 신고자 주머니에서 빠져나가고 있습니다.
KBS뉴스 박일중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신고전화까지 왜 돈 받나?
    • 입력 2001-02-22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신고전화 등 국번이 없는 전화번호는 흔히 무료인 것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사실은 그렇지가 않습니다. 박일중 기자의 취재입니다. ⊙기자: 긴급서비스나 공익서비스에 주로 사용되는 특수 전화번호. 전화번호부에도 버젓이 긴급전화로 올라 있습니다. 국번도 없어 무료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조길현(광주시 풍암동): 112, 119 있잖아요, 다 세 자릿수 들어가잖아요. 무료전화잖아요. 그래서 이것도 무료 같아요. ⊙인터뷰: 신고 전화니까 긴급할 때 해야 되는 건데 그것도 유료이면 그렇지 않나요... ⊙이지아(서울시 후암동): 그러나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33개의 특수 전화번호 가운데 범죄신고와 간첩등 6개 외에는 모두 유료입니다. 수도고장 신고나 전기고장 등 불편신고도 신고자 부담이라는 얘기입니다. ⊙최윤초(서울시 상수도사업소 과장): 수요가들이 관리에 약간 해패한 사실을 신고하면서 부담을 늘리도록 하는 게 어떻게 보면 좀 정당한 거 아니지 않습니까? ⊙기자: 그러나 요즘은 민간기업체에서도 소비자의 불만을 접수하기 위해 수신자부담 전화를 설치하는 것과는 역행하는 모습입니다. 또 아동학대신고나 환경오염 신고처럼 공익신고 전화마저도 신고자 부담입니다. ⊙원창수(녹색소비자연대 실장): 자발적인 고발이나 감시의 행동들이 많아지기 위해서는 그런 행위들을 하는 개인들을 위한 정부의 지원이나 노력들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기자: 지난 한 해 신고전화 사용요금이 서울에서만 10억원, 자신도 모르는 사이 신고자 주머니에서 빠져나가고 있습니다. KBS뉴스 박일중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