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우리나라 독자기술인 와이브로가 첫 해외 진출지인 우즈베키스탄에서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현지에서 정홍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타슈켄트 시내 곳곳에서 초고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작을 알리는 광고가 눈에 띕니다.
'에보'라는 이름의 이 무선 인터넷에 적용된 기술은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와이브로입니다.
중앙 아시아 중심국가이자 자원부국이지만, 우즈베키스탄의 인터넷 보급률은 불과 8%.
빠른 속도와 이동성을 갖춘 와이브로는 벌써부터 큰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인터뷰> 사도르 카리예프 (제약회사 사장) : "빠른 속도와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 원거리에서도 쓸 수 있다는 게 장점입니다."
국내에서도 서비스가 시작된 지 2년밖에 되지 않은 와이브로의 첫 해외 진출 사례입니다.
<인터뷰> 윤종록 (KT 부사장) : "그동안 장비 수출은 많이 있었지만 직접 우리 기술을 가지고 그 나라에서 서비스를 직접 하는 최초의 사롑니다."
정부도 와이브로의 해외 진출이 국내 정보통신 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 : "방송통신 모든 분야에서 정책과 기술 개발에 대한 협력을 발전시켜 나감으로써 실질적인 성과를 계속해서 만들어 나가기를 희망합니다."
그동안 해외 기술을 수입해 비약적으로 성장해 온 국내 정보통신 산업이 와이브로라는 순수 우리 기술을 앞세워 세계 시장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KBS 뉴스 정홍규입니다.
우리나라 독자기술인 와이브로가 첫 해외 진출지인 우즈베키스탄에서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현지에서 정홍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타슈켄트 시내 곳곳에서 초고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작을 알리는 광고가 눈에 띕니다.
'에보'라는 이름의 이 무선 인터넷에 적용된 기술은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와이브로입니다.
중앙 아시아 중심국가이자 자원부국이지만, 우즈베키스탄의 인터넷 보급률은 불과 8%.
빠른 속도와 이동성을 갖춘 와이브로는 벌써부터 큰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인터뷰> 사도르 카리예프 (제약회사 사장) : "빠른 속도와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 원거리에서도 쓸 수 있다는 게 장점입니다."
국내에서도 서비스가 시작된 지 2년밖에 되지 않은 와이브로의 첫 해외 진출 사례입니다.
<인터뷰> 윤종록 (KT 부사장) : "그동안 장비 수출은 많이 있었지만 직접 우리 기술을 가지고 그 나라에서 서비스를 직접 하는 최초의 사롑니다."
정부도 와이브로의 해외 진출이 국내 정보통신 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 : "방송통신 모든 분야에서 정책과 기술 개발에 대한 협력을 발전시켜 나감으로써 실질적인 성과를 계속해서 만들어 나가기를 희망합니다."
그동안 해외 기술을 수입해 비약적으로 성장해 온 국내 정보통신 산업이 와이브로라는 순수 우리 기술을 앞세워 세계 시장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KBS 뉴스 정홍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내 와이브로 첫 해외 진출
-
- 입력 2008-10-19 20:58:32

<앵커 멘트>
우리나라 독자기술인 와이브로가 첫 해외 진출지인 우즈베키스탄에서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현지에서 정홍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타슈켄트 시내 곳곳에서 초고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작을 알리는 광고가 눈에 띕니다.
'에보'라는 이름의 이 무선 인터넷에 적용된 기술은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와이브로입니다.
중앙 아시아 중심국가이자 자원부국이지만, 우즈베키스탄의 인터넷 보급률은 불과 8%.
빠른 속도와 이동성을 갖춘 와이브로는 벌써부터 큰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인터뷰> 사도르 카리예프 (제약회사 사장) : "빠른 속도와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 원거리에서도 쓸 수 있다는 게 장점입니다."
국내에서도 서비스가 시작된 지 2년밖에 되지 않은 와이브로의 첫 해외 진출 사례입니다.
<인터뷰> 윤종록 (KT 부사장) : "그동안 장비 수출은 많이 있었지만 직접 우리 기술을 가지고 그 나라에서 서비스를 직접 하는 최초의 사롑니다."
정부도 와이브로의 해외 진출이 국내 정보통신 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 : "방송통신 모든 분야에서 정책과 기술 개발에 대한 협력을 발전시켜 나감으로써 실질적인 성과를 계속해서 만들어 나가기를 희망합니다."
그동안 해외 기술을 수입해 비약적으로 성장해 온 국내 정보통신 산업이 와이브로라는 순수 우리 기술을 앞세워 세계 시장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KBS 뉴스 정홍규입니다.
-
-
정홍규 기자 dwarf@kbs.co.kr
정홍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