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와이브로 첫 해외 진출

입력 2008.10.19 (21: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우리나라 독자기술인 와이브로가 첫 해외 진출지인 우즈베키스탄에서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현지에서 정홍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타슈켄트 시내 곳곳에서 초고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작을 알리는 광고가 눈에 띕니다.

'에보'라는 이름의 이 무선 인터넷에 적용된 기술은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와이브로입니다.

중앙 아시아 중심국가이자 자원부국이지만, 우즈베키스탄의 인터넷 보급률은 불과 8%.

빠른 속도와 이동성을 갖춘 와이브로는 벌써부터 큰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인터뷰> 사도르 카리예프 (제약회사 사장) : "빠른 속도와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 원거리에서도 쓸 수 있다는 게 장점입니다."

국내에서도 서비스가 시작된 지 2년밖에 되지 않은 와이브로의 첫 해외 진출 사례입니다.

<인터뷰> 윤종록 (KT 부사장) : "그동안 장비 수출은 많이 있었지만 직접 우리 기술을 가지고 그 나라에서 서비스를 직접 하는 최초의 사롑니다."

정부도 와이브로의 해외 진출이 국내 정보통신 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 : "방송통신 모든 분야에서 정책과 기술 개발에 대한 협력을 발전시켜 나감으로써 실질적인 성과를 계속해서 만들어 나가기를 희망합니다."

그동안 해외 기술을 수입해 비약적으로 성장해 온 국내 정보통신 산업이 와이브로라는 순수 우리 기술을 앞세워 세계 시장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KBS 뉴스 정홍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내 와이브로 첫 해외 진출
    • 입력 2008-10-19 20:58:32
    뉴스 9
<앵커 멘트> 우리나라 독자기술인 와이브로가 첫 해외 진출지인 우즈베키스탄에서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현지에서 정홍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타슈켄트 시내 곳곳에서 초고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작을 알리는 광고가 눈에 띕니다. '에보'라는 이름의 이 무선 인터넷에 적용된 기술은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와이브로입니다. 중앙 아시아 중심국가이자 자원부국이지만, 우즈베키스탄의 인터넷 보급률은 불과 8%. 빠른 속도와 이동성을 갖춘 와이브로는 벌써부터 큰 주목을 끌고 있습니다. <인터뷰> 사도르 카리예프 (제약회사 사장) : "빠른 속도와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 원거리에서도 쓸 수 있다는 게 장점입니다." 국내에서도 서비스가 시작된 지 2년밖에 되지 않은 와이브로의 첫 해외 진출 사례입니다. <인터뷰> 윤종록 (KT 부사장) : "그동안 장비 수출은 많이 있었지만 직접 우리 기술을 가지고 그 나라에서 서비스를 직접 하는 최초의 사롑니다." 정부도 와이브로의 해외 진출이 국내 정보통신 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 : "방송통신 모든 분야에서 정책과 기술 개발에 대한 협력을 발전시켜 나감으로써 실질적인 성과를 계속해서 만들어 나가기를 희망합니다." 그동안 해외 기술을 수입해 비약적으로 성장해 온 국내 정보통신 산업이 와이브로라는 순수 우리 기술을 앞세워 세계 시장의 문을 두드리고 있습니다.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KBS 뉴스 정홍규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