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우리의 전통 한지는 질기면서도 부드러운 속성때문에 예술 소재로도 각광받고 있는데요, 30년째 오로지 한지만을 이용해 붓없이 화폭을 채워 온 화가를 정성호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효과음> 퍽~퍽~
닥나무 껍질 한 움큼이 화폭 속을 비집고 박히는 순간.
한지 그림은 절정을 향합니다.
캔버스는 한지와 각기 다른 질감을 지닌 나무껍질이 전부.
화가의 생명인 붓은 온데간데없습니다.
한지 석 장을 포갠 '삼합지' 위에 닥나무를 삶아 벗겨낸 껍질로 씨줄 날줄을 붙이고, 투명 한지를 놓으면 완성되는 작가만의 밑바탕.
<효과음> 퍽퍽퍽~
그리곤 종이 죽 위에 닥나무 껍질과 천연 한지를 찢고 휘둘러 던지자, 화폭은 화려하게 재탄생합니다.
<인터뷰> 함섭 (화가) : "기가 다 빠진 그림을 누가 쳐다보겠나.) 힘있게 던져서 내 에너지가 화면에 달라 붙도록 해서 던져 붙이기 시작하는 거죠."
작가는 30년째 변화무쌍한 한지의 특성에 주목해 왔습니다.
오랜 세월을 견딘 듯한 독특한 질감, '오방색'이 빚어내는 부드러운 색감은 자연스레 한국적 추상과 어우러집니다.
<인터뷰> 이유진 (큐레이터) : "현대적 감각으로 단순화된 도형, 색감이 함축돼서 그 정서가 전달되기 때문에"
10여 년 전부터 참여하는 국제 아트페어마다 '매진' 행렬을 이어가고 있지만, 노 작가는 전통 한지를 통한 또 한 번의 변화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성호입니다.
우리의 전통 한지는 질기면서도 부드러운 속성때문에 예술 소재로도 각광받고 있는데요, 30년째 오로지 한지만을 이용해 붓없이 화폭을 채워 온 화가를 정성호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효과음> 퍽~퍽~
닥나무 껍질 한 움큼이 화폭 속을 비집고 박히는 순간.
한지 그림은 절정을 향합니다.
캔버스는 한지와 각기 다른 질감을 지닌 나무껍질이 전부.
화가의 생명인 붓은 온데간데없습니다.
한지 석 장을 포갠 '삼합지' 위에 닥나무를 삶아 벗겨낸 껍질로 씨줄 날줄을 붙이고, 투명 한지를 놓으면 완성되는 작가만의 밑바탕.
<효과음> 퍽퍽퍽~
그리곤 종이 죽 위에 닥나무 껍질과 천연 한지를 찢고 휘둘러 던지자, 화폭은 화려하게 재탄생합니다.
<인터뷰> 함섭 (화가) : "기가 다 빠진 그림을 누가 쳐다보겠나.) 힘있게 던져서 내 에너지가 화면에 달라 붙도록 해서 던져 붙이기 시작하는 거죠."
작가는 30년째 변화무쌍한 한지의 특성에 주목해 왔습니다.
오랜 세월을 견딘 듯한 독특한 질감, '오방색'이 빚어내는 부드러운 색감은 자연스레 한국적 추상과 어우러집니다.
<인터뷰> 이유진 (큐레이터) : "현대적 감각으로 단순화된 도형, 색감이 함축돼서 그 정서가 전달되기 때문에"
10여 년 전부터 참여하는 국제 아트페어마다 '매진' 행렬을 이어가고 있지만, 노 작가는 전통 한지를 통한 또 한 번의 변화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성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붓 없이 그린 전통 한지화
-
- 입력 2008-10-19 21:03:49
- 수정2008-10-20 07:21:39

<앵커 멘트>
우리의 전통 한지는 질기면서도 부드러운 속성때문에 예술 소재로도 각광받고 있는데요, 30년째 오로지 한지만을 이용해 붓없이 화폭을 채워 온 화가를 정성호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효과음> 퍽~퍽~
닥나무 껍질 한 움큼이 화폭 속을 비집고 박히는 순간.
한지 그림은 절정을 향합니다.
캔버스는 한지와 각기 다른 질감을 지닌 나무껍질이 전부.
화가의 생명인 붓은 온데간데없습니다.
한지 석 장을 포갠 '삼합지' 위에 닥나무를 삶아 벗겨낸 껍질로 씨줄 날줄을 붙이고, 투명 한지를 놓으면 완성되는 작가만의 밑바탕.
<효과음> 퍽퍽퍽~
그리곤 종이 죽 위에 닥나무 껍질과 천연 한지를 찢고 휘둘러 던지자, 화폭은 화려하게 재탄생합니다.
<인터뷰> 함섭 (화가) : "기가 다 빠진 그림을 누가 쳐다보겠나.) 힘있게 던져서 내 에너지가 화면에 달라 붙도록 해서 던져 붙이기 시작하는 거죠."
작가는 30년째 변화무쌍한 한지의 특성에 주목해 왔습니다.
오랜 세월을 견딘 듯한 독특한 질감, '오방색'이 빚어내는 부드러운 색감은 자연스레 한국적 추상과 어우러집니다.
<인터뷰> 이유진 (큐레이터) : "현대적 감각으로 단순화된 도형, 색감이 함축돼서 그 정서가 전달되기 때문에"
10여 년 전부터 참여하는 국제 아트페어마다 '매진' 행렬을 이어가고 있지만, 노 작가는 전통 한지를 통한 또 한 번의 변화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성호입니다.
-
-
정성호 기자 andreas@kbs.co.kr
정성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