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제때 검진 받으면 90% 완치

입력 2009.01.05 (20:24) 수정 2009.01.05 (21: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암은 초기에만 발견하면 나을 수 있는 병이어서 조기 검진이 중요한 것은 상식처럼 돼 있습니다.

하지만 조기검진의 시기는 암별로 다르다고 하는데 김현경 기자가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나만은 건강하다 믿고 살던 이 직장인은 사흘 전 갑상선 암 수술을 받았습니다.

다행히 초기여서 수술로 완치됐다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몇달 전 받은 건강검진 덕택이었습니다.

<인터뷰>유정수(41세): "회사에서 받는 건강검진에 갑상선이 추가됐는데 만약 추가되지 않았다면 현재까지도 제가 갑상선암에 걸렸을 줄 몰랐을 겁니다. 생각하면 아찔하죠"

이처럼 제때 검진으로 암의 위험에서 건짐을 받으려면 암별로 검진시기를 정확히 아는 것이 절대적으로 중요합니다.

40대엔 유방암은 50대엔 위암,간암,전립선암,대장암 그리고 60대엔 폐암,식도암이 집중 발병하기 때문에 이 나이때가 되면 검진을 시작해야합니다.

이중 대장암은 식사 습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만큼 가족 중 유병자가 있는 경우 10년 정도 검진 시기를 앞당겨야 합니다.

비용이나 통증 때문에 내시경 검사를 기피할 경우 조기 발견을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또 B형 간염 보균자는 35살부터, 자궁암은 결혼 이후부터 정기검사를 받는게 좋고, 폐암은 CT 검사가 효율적입니다.

<인터뷰>심영목(삼성서울병원 암센터장): "제일 무섭다는 폐암의 경우에도 이른초기는 90% 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일찍 발견만 하면 무서운 암은 없습니다."

우리나라 국민의 암 생존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는 검진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예방도 중요하지만 적절한 시기 검진을 받는 것이필요합니다.

KBS 뉴스 김현경 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암 제때 검진 받으면 90% 완치
    • 입력 2009-01-05 20:17:42
    • 수정2009-01-05 21:01:23
    뉴스타임 수도권
<앵커 멘트> 암은 초기에만 발견하면 나을 수 있는 병이어서 조기 검진이 중요한 것은 상식처럼 돼 있습니다. 하지만 조기검진의 시기는 암별로 다르다고 하는데 김현경 기자가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나만은 건강하다 믿고 살던 이 직장인은 사흘 전 갑상선 암 수술을 받았습니다. 다행히 초기여서 수술로 완치됐다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몇달 전 받은 건강검진 덕택이었습니다. <인터뷰>유정수(41세): "회사에서 받는 건강검진에 갑상선이 추가됐는데 만약 추가되지 않았다면 현재까지도 제가 갑상선암에 걸렸을 줄 몰랐을 겁니다. 생각하면 아찔하죠" 이처럼 제때 검진으로 암의 위험에서 건짐을 받으려면 암별로 검진시기를 정확히 아는 것이 절대적으로 중요합니다. 40대엔 유방암은 50대엔 위암,간암,전립선암,대장암 그리고 60대엔 폐암,식도암이 집중 발병하기 때문에 이 나이때가 되면 검진을 시작해야합니다. 이중 대장암은 식사 습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만큼 가족 중 유병자가 있는 경우 10년 정도 검진 시기를 앞당겨야 합니다. 비용이나 통증 때문에 내시경 검사를 기피할 경우 조기 발견을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또 B형 간염 보균자는 35살부터, 자궁암은 결혼 이후부터 정기검사를 받는게 좋고, 폐암은 CT 검사가 효율적입니다. <인터뷰>심영목(삼성서울병원 암센터장): "제일 무섭다는 폐암의 경우에도 이른초기는 90% 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일찍 발견만 하면 무서운 암은 없습니다." 우리나라 국민의 암 생존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는 검진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예방도 중요하지만 적절한 시기 검진을 받는 것이필요합니다. KBS 뉴스 김현경 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