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항 음식점은 바가지 천국
입력 2001.04.07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개항 열흘째인 인천국제공항, 순조롭게 운행되고 있습니다만 부대 서비스에 대한 불편은 많습니다.
특히 금강산도 식후경이라는데 음식점에 대한 불만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박찬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인천 국제공항의 한 음식점에서 한식을 시켜봤습니다.
김치 다섯 조각이 1100원, 연근 두 조각 1100원, 국에 반찬 다섯 가지를 시켰더니 합이 1만 1600원입니다.
5000원 정도를 쓸 경우 밥과 김을 먹으면 됩니다.
⊙정영수(공항 이용객): 품질에 비해서 1만 7000원 두 그릇 먹는다는 게 좀 비싸거든요.
⊙신영숙(공항 이용객): 가격은 비싼데 가격에 비해서 음식이 따라주지를 못하는 것 같았어요.
⊙기자: 이번에는 다섯 곳의 전문식당가입니다.
가격은 최소 9000원대.
기다리는 데 짜증이 납니다.
음식을 시키고 3, 40분씩 기다리다 가끔 실랑이도 벌어집니다.
개항 초기에는 아예 손님사절까지 했습니다.
⊙인터뷰: 식탁은 없고 비싸기만 비싸고 뭐...
⊙기자: 식당측은 급한 대로 직원 수를 늘렸지만 너무 많은 이용객들이 몰려 어쩔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전부원(조선호텔 회식팀장): 이것을 수용할 수 있는 고객 수는 200명이라고 볼 수 있는데 최고.
400명, 600명 오시니까 당연히 손님들한테는 불평이 나올 수밖에 없는 현상입니다.
⊙기자: 공항 주변에도 음식점이 부족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공항 안에 있는 음식점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잇따른 이용객들의 음식에 대한 불만.
음식점 숫자가 부족한지 가격은 적정선인지 이제 점검이 필요한 때입니다.
KBS뉴스 박찬형입니다.
특히 금강산도 식후경이라는데 음식점에 대한 불만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박찬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인천 국제공항의 한 음식점에서 한식을 시켜봤습니다.
김치 다섯 조각이 1100원, 연근 두 조각 1100원, 국에 반찬 다섯 가지를 시켰더니 합이 1만 1600원입니다.
5000원 정도를 쓸 경우 밥과 김을 먹으면 됩니다.
⊙정영수(공항 이용객): 품질에 비해서 1만 7000원 두 그릇 먹는다는 게 좀 비싸거든요.
⊙신영숙(공항 이용객): 가격은 비싼데 가격에 비해서 음식이 따라주지를 못하는 것 같았어요.
⊙기자: 이번에는 다섯 곳의 전문식당가입니다.
가격은 최소 9000원대.
기다리는 데 짜증이 납니다.
음식을 시키고 3, 40분씩 기다리다 가끔 실랑이도 벌어집니다.
개항 초기에는 아예 손님사절까지 했습니다.
⊙인터뷰: 식탁은 없고 비싸기만 비싸고 뭐...
⊙기자: 식당측은 급한 대로 직원 수를 늘렸지만 너무 많은 이용객들이 몰려 어쩔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전부원(조선호텔 회식팀장): 이것을 수용할 수 있는 고객 수는 200명이라고 볼 수 있는데 최고.
400명, 600명 오시니까 당연히 손님들한테는 불평이 나올 수밖에 없는 현상입니다.
⊙기자: 공항 주변에도 음식점이 부족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공항 안에 있는 음식점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잇따른 이용객들의 음식에 대한 불만.
음식점 숫자가 부족한지 가격은 적정선인지 이제 점검이 필요한 때입니다.
KBS뉴스 박찬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신공항 음식점은 바가지 천국
-
- 입력 2001-04-07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개항 열흘째인 인천국제공항, 순조롭게 운행되고 있습니다만 부대 서비스에 대한 불편은 많습니다.
특히 금강산도 식후경이라는데 음식점에 대한 불만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박찬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인천 국제공항의 한 음식점에서 한식을 시켜봤습니다.
김치 다섯 조각이 1100원, 연근 두 조각 1100원, 국에 반찬 다섯 가지를 시켰더니 합이 1만 1600원입니다.
5000원 정도를 쓸 경우 밥과 김을 먹으면 됩니다.
⊙정영수(공항 이용객): 품질에 비해서 1만 7000원 두 그릇 먹는다는 게 좀 비싸거든요.
⊙신영숙(공항 이용객): 가격은 비싼데 가격에 비해서 음식이 따라주지를 못하는 것 같았어요.
⊙기자: 이번에는 다섯 곳의 전문식당가입니다.
가격은 최소 9000원대.
기다리는 데 짜증이 납니다.
음식을 시키고 3, 40분씩 기다리다 가끔 실랑이도 벌어집니다.
개항 초기에는 아예 손님사절까지 했습니다.
⊙인터뷰: 식탁은 없고 비싸기만 비싸고 뭐...
⊙기자: 식당측은 급한 대로 직원 수를 늘렸지만 너무 많은 이용객들이 몰려 어쩔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전부원(조선호텔 회식팀장): 이것을 수용할 수 있는 고객 수는 200명이라고 볼 수 있는데 최고.
400명, 600명 오시니까 당연히 손님들한테는 불평이 나올 수밖에 없는 현상입니다.
⊙기자: 공항 주변에도 음식점이 부족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공항 안에 있는 음식점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잇따른 이용객들의 음식에 대한 불만.
음식점 숫자가 부족한지 가격은 적정선인지 이제 점검이 필요한 때입니다.
KBS뉴스 박찬형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