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정부질문, 김정일 위원장 답방 등 남북관계 논의
입력 2001.06.08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서울 답방 문제는 오늘 국회 통일외교안보 분야 대정부질문에서도 초미의 관심사였습니다.
최규식 기자입니다.
⊙기자: 남북 정상회담 1주년을 앞두고 여야 의원들의 관심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답방 문제에 집중됐습니다.
⊙심재권(민주당 의원/서울 강동 을):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빠른 시일 내의 서울 답방은 참으로 시의적절하다고...
⊙이연숙(한나라당 의원/비례대표): 머지 않아 대화가 재개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하는데 장관께서 그 근거를 밝혀주십시오.
⊙임동원(통일부 장관): 서울 방문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협의된 바가 없으며 지금으로써는 그 시기를 예상하여 말씀하기 어렵습니다.
⊙기자: 답방이 지연되고 있는 이유가 북측이 대가를 요구하기 때문이 아니냐는 야당측의 질문도 있었습니다.
⊙임동원(통일부 장관): 어떠한 전제조건도 없으며 대가가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기자: 여당측은 범국민적인 답방 준비기구를 만들자는 제안까지 했지만 한나라당은 김 위원장의 답방에 조건을 달았습니다.
⊙최병국(한나라당 의원/울산 남구):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6.25동란, 칼기 폭파 그리고 끊임없이 자행된 테러에 대해서 사죄할 것을 요구합니다.
⊙기자: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답방시기와 관련해 민주당 장성민 의원측은 오늘 보도자료를 통해서 오는 8월 15일이나 9월쯤에 답방이 성사될 것이라는 주장을 펴기도 했습니다.
KBS뉴스 최규식입니다.
최규식 기자입니다.
⊙기자: 남북 정상회담 1주년을 앞두고 여야 의원들의 관심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답방 문제에 집중됐습니다.
⊙심재권(민주당 의원/서울 강동 을):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빠른 시일 내의 서울 답방은 참으로 시의적절하다고...
⊙이연숙(한나라당 의원/비례대표): 머지 않아 대화가 재개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하는데 장관께서 그 근거를 밝혀주십시오.
⊙임동원(통일부 장관): 서울 방문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협의된 바가 없으며 지금으로써는 그 시기를 예상하여 말씀하기 어렵습니다.
⊙기자: 답방이 지연되고 있는 이유가 북측이 대가를 요구하기 때문이 아니냐는 야당측의 질문도 있었습니다.
⊙임동원(통일부 장관): 어떠한 전제조건도 없으며 대가가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기자: 여당측은 범국민적인 답방 준비기구를 만들자는 제안까지 했지만 한나라당은 김 위원장의 답방에 조건을 달았습니다.
⊙최병국(한나라당 의원/울산 남구):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6.25동란, 칼기 폭파 그리고 끊임없이 자행된 테러에 대해서 사죄할 것을 요구합니다.
⊙기자: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답방시기와 관련해 민주당 장성민 의원측은 오늘 보도자료를 통해서 오는 8월 15일이나 9월쯤에 답방이 성사될 것이라는 주장을 펴기도 했습니다.
KBS뉴스 최규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정부질문, 김정일 위원장 답방 등 남북관계 논의
-
- 입력 2001-06-08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서울 답방 문제는 오늘 국회 통일외교안보 분야 대정부질문에서도 초미의 관심사였습니다.
최규식 기자입니다.
⊙기자: 남북 정상회담 1주년을 앞두고 여야 의원들의 관심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답방 문제에 집중됐습니다.
⊙심재권(민주당 의원/서울 강동 을):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빠른 시일 내의 서울 답방은 참으로 시의적절하다고...
⊙이연숙(한나라당 의원/비례대표): 머지 않아 대화가 재개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하는데 장관께서 그 근거를 밝혀주십시오.
⊙임동원(통일부 장관): 서울 방문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협의된 바가 없으며 지금으로써는 그 시기를 예상하여 말씀하기 어렵습니다.
⊙기자: 답방이 지연되고 있는 이유가 북측이 대가를 요구하기 때문이 아니냐는 야당측의 질문도 있었습니다.
⊙임동원(통일부 장관): 어떠한 전제조건도 없으며 대가가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기자: 여당측은 범국민적인 답방 준비기구를 만들자는 제안까지 했지만 한나라당은 김 위원장의 답방에 조건을 달았습니다.
⊙최병국(한나라당 의원/울산 남구):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6.25동란, 칼기 폭파 그리고 끊임없이 자행된 테러에 대해서 사죄할 것을 요구합니다.
⊙기자: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답방시기와 관련해 민주당 장성민 의원측은 오늘 보도자료를 통해서 오는 8월 15일이나 9월쯤에 답방이 성사될 것이라는 주장을 펴기도 했습니다.
KBS뉴스 최규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