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주택 분양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도입됐던 미분양 아파트에 대한 양도세 감면 혜택이 최근 기한이 만료되면서 폐지됐
습니다.
부산에는 여전히 적체된 미분양 물량이 많아 우려의 목소리가 큽니다.
이철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부산지역 미분양 아파트는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9천2백 가구.
지난 2008년 말에 만 3천여 가구였던 점을 감안하면 크게 줄어든 것입니다.
여기에는 양도세 감면 혜택이 큰 역할을 한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지난 11일자로 양도세 감면 혜택의 시한이 끝나면서 앞으로 남은 미분양을 어떻게 해소할지가 지역 부동산 시장의 고민거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특히 미분양 물량 가운데 65% 이상이 비교적 선호도가 떨어지는 중대형 면적이고 40% 이상은 준공 후 미분양이어서 앞으로도 상당 기간 미분양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인터뷰> 심형석(영산대 부동산·금융학과 교수) : "분양가가 높고 또 대형이 많은데다 수요가 적어 악성 미분양 우려된다."
이 때문에 부동산 관련 업계에서는 양도세 감면 혜택의 연장을 정부에 건의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분양 해소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부가 지역의 실정에 맞는 차별화된 부동산 정책을 내놔야 한다는 여론이 많습니다.
<인터뷰> 김성우(부경대 공공정책연구소 연구원) : "지역 주택산업은 지역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관련 권한을 지방정부에 넘겨야 한다..."
또 부동산 전문가들은 미분양 물량 해소를 위해서는 건설사의 과감한 분양가 인하와 금융 지원 강화 등의 적극적인 노력 들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철재입니다.
주택 분양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도입됐던 미분양 아파트에 대한 양도세 감면 혜택이 최근 기한이 만료되면서 폐지됐
습니다.
부산에는 여전히 적체된 미분양 물량이 많아 우려의 목소리가 큽니다.
이철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부산지역 미분양 아파트는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9천2백 가구.
지난 2008년 말에 만 3천여 가구였던 점을 감안하면 크게 줄어든 것입니다.
여기에는 양도세 감면 혜택이 큰 역할을 한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지난 11일자로 양도세 감면 혜택의 시한이 끝나면서 앞으로 남은 미분양을 어떻게 해소할지가 지역 부동산 시장의 고민거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특히 미분양 물량 가운데 65% 이상이 비교적 선호도가 떨어지는 중대형 면적이고 40% 이상은 준공 후 미분양이어서 앞으로도 상당 기간 미분양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인터뷰> 심형석(영산대 부동산·금융학과 교수) : "분양가가 높고 또 대형이 많은데다 수요가 적어 악성 미분양 우려된다."
이 때문에 부동산 관련 업계에서는 양도세 감면 혜택의 연장을 정부에 건의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분양 해소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부가 지역의 실정에 맞는 차별화된 부동산 정책을 내놔야 한다는 여론이 많습니다.
<인터뷰> 김성우(부경대 공공정책연구소 연구원) : "지역 주택산업은 지역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관련 권한을 지방정부에 넘겨야 한다..."
또 부동산 전문가들은 미분양 물량 해소를 위해서는 건설사의 과감한 분양가 인하와 금융 지원 강화 등의 적극적인 노력 들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철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양도세 감면’ 폐지, 미분양 물량 해소 시급
-
- 입력 2010-02-15 07:50:46

<앵커 멘트>
주택 분양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도입됐던 미분양 아파트에 대한 양도세 감면 혜택이 최근 기한이 만료되면서 폐지됐
습니다.
부산에는 여전히 적체된 미분양 물량이 많아 우려의 목소리가 큽니다.
이철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부산지역 미분양 아파트는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9천2백 가구.
지난 2008년 말에 만 3천여 가구였던 점을 감안하면 크게 줄어든 것입니다.
여기에는 양도세 감면 혜택이 큰 역할을 한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지난 11일자로 양도세 감면 혜택의 시한이 끝나면서 앞으로 남은 미분양을 어떻게 해소할지가 지역 부동산 시장의 고민거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특히 미분양 물량 가운데 65% 이상이 비교적 선호도가 떨어지는 중대형 면적이고 40% 이상은 준공 후 미분양이어서 앞으로도 상당 기간 미분양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인터뷰> 심형석(영산대 부동산·금융학과 교수) : "분양가가 높고 또 대형이 많은데다 수요가 적어 악성 미분양 우려된다."
이 때문에 부동산 관련 업계에서는 양도세 감면 혜택의 연장을 정부에 건의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분양 해소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부가 지역의 실정에 맞는 차별화된 부동산 정책을 내놔야 한다는 여론이 많습니다.
<인터뷰> 김성우(부경대 공공정책연구소 연구원) : "지역 주택산업은 지역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관련 권한을 지방정부에 넘겨야 한다..."
또 부동산 전문가들은 미분양 물량 해소를 위해서는 건설사의 과감한 분양가 인하와 금융 지원 강화 등의 적극적인 노력 들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철재입니다.
-
-
이철재 기자 yeecj@kbs.co.kr
이철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