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노바 만’ 제2 남극기지 확정

입력 2010.03.18 (08:10) 수정 2010.03.18 (08: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세종과학기지에 이어 우리나라의 제2 남극기지 지역으로 '테라노바 만'이 최종 확정됐습니다.

이 기지가 완성되면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아홉번째로 남극에 2개 이상의 상주기지를 갖는 국가가 됩니다.

홍수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끝없이 이어지는 빙하와 산맥.

유빙이 살아 움직이는 바다.

만년설로 뒤덮인 남극 대륙의 동남단 테라노바 만입니다.

이곳에 세종기지에 이어 우리나라 두 번째 남극기지가 건설됩니다.

올해 초 쇄빙선 아라온호가 정밀조사를 벌인 뒤 최종 확정됐습니다.

테라노바만은 해안과 내륙으로의 진출이 모두 쉬운데다, 주변엔 거대한 규모의 얼음 활주로가 있어 비상상황 땐 항공기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선진국들과의 공동연구도 가능합니다.

<인터뷰> 박정록(국토해양부 해양정책국장) : "인근 10킬로미터 내에 이탈리와 하계기지와 독일 하계캠프가 위치하고 있으며, 입지여건이 우수한 곳으로 국제공동연구참여가 용이한 지역이기도 합니다."

지난 1988년 세워진 세종과학기지와는 반대방향에 위치해 있고 직선으로 4천5백 킬로미터 떨어져 있습니다.

남극대륙 최북단 섬에 위치해 연구에 한계가 있었던 세종기지의 단점을 보완해 빙하와 대륙붕 등까지 다양하게 연구할 수 있게 됐습니다.

국토부는 테라노바 만에 2014년까지 3300제곱미터 규모의 친환경 기지 건설을 마무리 지을 계획입니다.

KBS 뉴스 홍수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테라노바 만’ 제2 남극기지 확정
    • 입력 2010-03-18 08:10:31
    • 수정2010-03-18 08:45:55
    뉴스광장
<앵커 멘트> 세종과학기지에 이어 우리나라의 제2 남극기지 지역으로 '테라노바 만'이 최종 확정됐습니다. 이 기지가 완성되면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아홉번째로 남극에 2개 이상의 상주기지를 갖는 국가가 됩니다. 홍수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끝없이 이어지는 빙하와 산맥. 유빙이 살아 움직이는 바다. 만년설로 뒤덮인 남극 대륙의 동남단 테라노바 만입니다. 이곳에 세종기지에 이어 우리나라 두 번째 남극기지가 건설됩니다. 올해 초 쇄빙선 아라온호가 정밀조사를 벌인 뒤 최종 확정됐습니다. 테라노바만은 해안과 내륙으로의 진출이 모두 쉬운데다, 주변엔 거대한 규모의 얼음 활주로가 있어 비상상황 땐 항공기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선진국들과의 공동연구도 가능합니다. <인터뷰> 박정록(국토해양부 해양정책국장) : "인근 10킬로미터 내에 이탈리와 하계기지와 독일 하계캠프가 위치하고 있으며, 입지여건이 우수한 곳으로 국제공동연구참여가 용이한 지역이기도 합니다." 지난 1988년 세워진 세종과학기지와는 반대방향에 위치해 있고 직선으로 4천5백 킬로미터 떨어져 있습니다. 남극대륙 최북단 섬에 위치해 연구에 한계가 있었던 세종기지의 단점을 보완해 빙하와 대륙붕 등까지 다양하게 연구할 수 있게 됐습니다. 국토부는 테라노바 만에 2014년까지 3300제곱미터 규모의 친환경 기지 건설을 마무리 지을 계획입니다. KBS 뉴스 홍수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