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월드컵 공동중계 협상 권고
입력 2010.03.18 (08:10)
수정 2025.03.17 (20: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방송통신위원회가 오는 6월 남아공 월드컵에 대해 지상파 방송 3사가 공동중계를 위한 협상에 나설 것을 권고했습니다.
김 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방송통신위원회가 석 달 앞으로 다가온 남아공 월드컵을 방송3사가 사실상 공동중계하라고 권고했습니다.
SBS가 2016년까지 단독으로 중계권을 확보한 올림픽과 월드컵 중계권 협상에서도 합의에 이르도록 최선을 다하라고 권고했습니다.
보편적 시청권이 단순히 법이 규정한 90%를 넘기느냐보다 더 넓게 해석될 수 있다는 점도 시사했습니다.
<인터뷰>김대희(방송통신위 이용자보호국장) : "올림픽·월드컵 등 국민적 관심행사가 가능한 한 많은 국민들이 시청할 수 있도록 보편적 시청권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번 권고는 KBS와 MBC가 큰 폭의 양보의사를 표시했음에도 단독중계 의지를 밝힌 SBS에 공동중계를 위한 협상에 나서라고 압박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 권고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방통위는 SBS에 대해서는 재판매 의무를 이행할 것을, KBS와 MBC에 대해서는 구매를 거부, 지연하지 말 것을 요구하는 시정조치를 내릴 수 있습니다.
남아공 월드컵은 이달 말까지 협상이 타결돼야 방송 3사가 순차적으로 공동중계를 할 수 있습니다.
방송 3사 사장단이 그제 스포츠 중계권 공동협상을 위한 코리아풀 정신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합의한 만큼, 대형 국제 경기 공동중계 시스템이 복원될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오는 6월 남아공 월드컵에 대해 지상파 방송 3사가 공동중계를 위한 협상에 나설 것을 권고했습니다.
김 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방송통신위원회가 석 달 앞으로 다가온 남아공 월드컵을 방송3사가 사실상 공동중계하라고 권고했습니다.
SBS가 2016년까지 단독으로 중계권을 확보한 올림픽과 월드컵 중계권 협상에서도 합의에 이르도록 최선을 다하라고 권고했습니다.
보편적 시청권이 단순히 법이 규정한 90%를 넘기느냐보다 더 넓게 해석될 수 있다는 점도 시사했습니다.
<인터뷰>김대희(방송통신위 이용자보호국장) : "올림픽·월드컵 등 국민적 관심행사가 가능한 한 많은 국민들이 시청할 수 있도록 보편적 시청권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번 권고는 KBS와 MBC가 큰 폭의 양보의사를 표시했음에도 단독중계 의지를 밝힌 SBS에 공동중계를 위한 협상에 나서라고 압박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 권고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방통위는 SBS에 대해서는 재판매 의무를 이행할 것을, KBS와 MBC에 대해서는 구매를 거부, 지연하지 말 것을 요구하는 시정조치를 내릴 수 있습니다.
남아공 월드컵은 이달 말까지 협상이 타결돼야 방송 3사가 순차적으로 공동중계를 할 수 있습니다.
방송 3사 사장단이 그제 스포츠 중계권 공동협상을 위한 코리아풀 정신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합의한 만큼, 대형 국제 경기 공동중계 시스템이 복원될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방통위, 월드컵 공동중계 협상 권고
-
- 입력 2010-03-18 08:10:33
- 수정2025-03-17 20:19:58

<앵커 멘트>
방송통신위원회가 오는 6월 남아공 월드컵에 대해 지상파 방송 3사가 공동중계를 위한 협상에 나설 것을 권고했습니다.
김 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방송통신위원회가 석 달 앞으로 다가온 남아공 월드컵을 방송3사가 사실상 공동중계하라고 권고했습니다.
SBS가 2016년까지 단독으로 중계권을 확보한 올림픽과 월드컵 중계권 협상에서도 합의에 이르도록 최선을 다하라고 권고했습니다.
보편적 시청권이 단순히 법이 규정한 90%를 넘기느냐보다 더 넓게 해석될 수 있다는 점도 시사했습니다.
<인터뷰>김대희(방송통신위 이용자보호국장) : "올림픽·월드컵 등 국민적 관심행사가 가능한 한 많은 국민들이 시청할 수 있도록 보편적 시청권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번 권고는 KBS와 MBC가 큰 폭의 양보의사를 표시했음에도 단독중계 의지를 밝힌 SBS에 공동중계를 위한 협상에 나서라고 압박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 권고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방통위는 SBS에 대해서는 재판매 의무를 이행할 것을, KBS와 MBC에 대해서는 구매를 거부, 지연하지 말 것을 요구하는 시정조치를 내릴 수 있습니다.
남아공 월드컵은 이달 말까지 협상이 타결돼야 방송 3사가 순차적으로 공동중계를 할 수 있습니다.
방송 3사 사장단이 그제 스포츠 중계권 공동협상을 위한 코리아풀 정신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합의한 만큼, 대형 국제 경기 공동중계 시스템이 복원될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오는 6월 남아공 월드컵에 대해 지상파 방송 3사가 공동중계를 위한 협상에 나설 것을 권고했습니다.
김 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방송통신위원회가 석 달 앞으로 다가온 남아공 월드컵을 방송3사가 사실상 공동중계하라고 권고했습니다.
SBS가 2016년까지 단독으로 중계권을 확보한 올림픽과 월드컵 중계권 협상에서도 합의에 이르도록 최선을 다하라고 권고했습니다.
보편적 시청권이 단순히 법이 규정한 90%를 넘기느냐보다 더 넓게 해석될 수 있다는 점도 시사했습니다.
<인터뷰>김대희(방송통신위 이용자보호국장) : "올림픽·월드컵 등 국민적 관심행사가 가능한 한 많은 국민들이 시청할 수 있도록 보편적 시청권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번 권고는 KBS와 MBC가 큰 폭의 양보의사를 표시했음에도 단독중계 의지를 밝힌 SBS에 공동중계를 위한 협상에 나서라고 압박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 권고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방통위는 SBS에 대해서는 재판매 의무를 이행할 것을, KBS와 MBC에 대해서는 구매를 거부, 지연하지 말 것을 요구하는 시정조치를 내릴 수 있습니다.
남아공 월드컵은 이달 말까지 협상이 타결돼야 방송 3사가 순차적으로 공동중계를 할 수 있습니다.
방송 3사 사장단이 그제 스포츠 중계권 공동협상을 위한 코리아풀 정신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합의한 만큼, 대형 국제 경기 공동중계 시스템이 복원될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