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코패스 ‘뇌기능 이상’ 탓
입력 2010.03.18 (21:56)
수정 2010.03.19 (09: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김길태처럼.. 사람의 탈을 쓰곤 할 수 없을 일을 ’사이코패스’는 아무렇지 않게 저지르곤 하죠.
’뇌’는 그 ’어두운 비밀’을 알고 있습니다.
이충헌 의학전문 기자입니다.
<리포트>
여중생 납치살인 사건의 피의자 김길태, 연쇄살인범 유영철과 강호순.
이들은 타인의 고통을 잘 느끼지 못하고 죄의식이 거의 없는 등 반사회성 성격장애, 이른바 ’사이코패스’의 모습을 보입니다.
감정을 조절하는 편도체라는 뇌 부위입니다. 정상인은 공포를 느끼는 사람 얼굴을 보면 이 부위가 활성화되는데 사이코패스는 이 부위가 활성화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감정을 조절하는데 이상이 생겨 공감하는 능력이 떨어집니다.
<인터뷰> 서울대병원 정신과 교수 : "다른 사람의 고통이나 슬픔을 공감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오직 자신의 욕구를 채우기 위해 다른 사람을 이용하게 됩니다."
충동을 조절하고, 이성적인 사고를 하게 만드는 앞쪽 뇌, 이른바 전전두엽의 기능도 정상인의 15%에 불과합니다.
사이코패스가 충동적이면서 양심의 가책이 없는 이유입니다.
뇌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것은 유전적인 요인 때문이거나 뇌 손상을 입었을 때, 또 어린 시절 애정 결핍이 주된 원인입니다.
뇌는 외부의 자극을 받아들여 발달하는 만큼 어린시절 충분한 사랑과 보살핌 등 환경적인 요인도 중요합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김길태처럼.. 사람의 탈을 쓰곤 할 수 없을 일을 ’사이코패스’는 아무렇지 않게 저지르곤 하죠.
’뇌’는 그 ’어두운 비밀’을 알고 있습니다.
이충헌 의학전문 기자입니다.
<리포트>
여중생 납치살인 사건의 피의자 김길태, 연쇄살인범 유영철과 강호순.
이들은 타인의 고통을 잘 느끼지 못하고 죄의식이 거의 없는 등 반사회성 성격장애, 이른바 ’사이코패스’의 모습을 보입니다.
감정을 조절하는 편도체라는 뇌 부위입니다. 정상인은 공포를 느끼는 사람 얼굴을 보면 이 부위가 활성화되는데 사이코패스는 이 부위가 활성화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감정을 조절하는데 이상이 생겨 공감하는 능력이 떨어집니다.
<인터뷰> 서울대병원 정신과 교수 : "다른 사람의 고통이나 슬픔을 공감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오직 자신의 욕구를 채우기 위해 다른 사람을 이용하게 됩니다."
충동을 조절하고, 이성적인 사고를 하게 만드는 앞쪽 뇌, 이른바 전전두엽의 기능도 정상인의 15%에 불과합니다.
사이코패스가 충동적이면서 양심의 가책이 없는 이유입니다.
뇌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것은 유전적인 요인 때문이거나 뇌 손상을 입었을 때, 또 어린 시절 애정 결핍이 주된 원인입니다.
뇌는 외부의 자극을 받아들여 발달하는 만큼 어린시절 충분한 사랑과 보살핌 등 환경적인 요인도 중요합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이코패스 ‘뇌기능 이상’ 탓
-
- 입력 2010-03-18 21:56:49
- 수정2010-03-19 09:06:12

<앵커 멘트>
김길태처럼.. 사람의 탈을 쓰곤 할 수 없을 일을 ’사이코패스’는 아무렇지 않게 저지르곤 하죠.
’뇌’는 그 ’어두운 비밀’을 알고 있습니다.
이충헌 의학전문 기자입니다.
<리포트>
여중생 납치살인 사건의 피의자 김길태, 연쇄살인범 유영철과 강호순.
이들은 타인의 고통을 잘 느끼지 못하고 죄의식이 거의 없는 등 반사회성 성격장애, 이른바 ’사이코패스’의 모습을 보입니다.
감정을 조절하는 편도체라는 뇌 부위입니다. 정상인은 공포를 느끼는 사람 얼굴을 보면 이 부위가 활성화되는데 사이코패스는 이 부위가 활성화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감정을 조절하는데 이상이 생겨 공감하는 능력이 떨어집니다.
<인터뷰> 서울대병원 정신과 교수 : "다른 사람의 고통이나 슬픔을 공감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오직 자신의 욕구를 채우기 위해 다른 사람을 이용하게 됩니다."
충동을 조절하고, 이성적인 사고를 하게 만드는 앞쪽 뇌, 이른바 전전두엽의 기능도 정상인의 15%에 불과합니다.
사이코패스가 충동적이면서 양심의 가책이 없는 이유입니다.
뇌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것은 유전적인 요인 때문이거나 뇌 손상을 입었을 때, 또 어린 시절 애정 결핍이 주된 원인입니다.
뇌는 외부의 자극을 받아들여 발달하는 만큼 어린시절 충분한 사랑과 보살핌 등 환경적인 요인도 중요합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김길태처럼.. 사람의 탈을 쓰곤 할 수 없을 일을 ’사이코패스’는 아무렇지 않게 저지르곤 하죠.
’뇌’는 그 ’어두운 비밀’을 알고 있습니다.
이충헌 의학전문 기자입니다.
<리포트>
여중생 납치살인 사건의 피의자 김길태, 연쇄살인범 유영철과 강호순.
이들은 타인의 고통을 잘 느끼지 못하고 죄의식이 거의 없는 등 반사회성 성격장애, 이른바 ’사이코패스’의 모습을 보입니다.
감정을 조절하는 편도체라는 뇌 부위입니다. 정상인은 공포를 느끼는 사람 얼굴을 보면 이 부위가 활성화되는데 사이코패스는 이 부위가 활성화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감정을 조절하는데 이상이 생겨 공감하는 능력이 떨어집니다.
<인터뷰> 서울대병원 정신과 교수 : "다른 사람의 고통이나 슬픔을 공감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오직 자신의 욕구를 채우기 위해 다른 사람을 이용하게 됩니다."
충동을 조절하고, 이성적인 사고를 하게 만드는 앞쪽 뇌, 이른바 전전두엽의 기능도 정상인의 15%에 불과합니다.
사이코패스가 충동적이면서 양심의 가책이 없는 이유입니다.
뇌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것은 유전적인 요인 때문이거나 뇌 손상을 입었을 때, 또 어린 시절 애정 결핍이 주된 원인입니다.
뇌는 외부의 자극을 받아들여 발달하는 만큼 어린시절 충분한 사랑과 보살핌 등 환경적인 요인도 중요합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
-
이충헌 기자 chleemd@kbs.co.kr
이충헌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