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SBS 월드컵 독점중계 수수방관 질타
입력 2010.04.15 (22:14)
수정 2010.04.15 (22: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SBS의 단독중계 행태를 수수방관 했다며, 여야 모두 방송 통신위원회를 강하게 질타했습니다.
특히 sbs의 가시청 비율이 90%를 넘는다는 건 근거 없다며, 아프게 꼬집었습니다.
김덕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sbs 독점중계 논란의 핵심은 sbs만으로 보편적 시청권을 충족시킬 수 있느냐입니다.
방송통신위는 SBS가 보편적 시청권 기준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전국 가구의 90%를 가시청권에 둔다는 규정을 충족한다고 밝혀왔습니다.
지상파로 86.4% 거기에 케이블 등 유료채널까지 합하면 92.1%가 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한나라당 김효재 의원은 SBS의 가시청권 비율이 임의 기준을 적용해 산출됐기 때문에 90%를 넘겼는지 여부를 확인할 근거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녹취>김효재(한나라당 의원) : "최소한 실측은 안되도 샘플링은 제대로 해야 하는데 완전 주먹구구다. 보편적 시청권이라는 중요한 기준 세우는데 미흡하다."
<녹취>최시중(방통위원장) : "보고 싶은 사람은 다 볼 수 있다고 본다 과학적인 근거는 없습니다."
여야 의원들은 월드컵 같은 국가 스포츠는 국민 모두가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녹취>안형환(한나라당 의원) : "국민 모두가 볼 수 있어야 합니다."
<녹취>진성호(한나라당 의원) : "한국 경기나 준결승 부분에 있어서는 K-1TV 광고 없는 채널과 협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녹취>김부겸(민주당 의원) : "특정 언론사에 의해서 코리안 풀 깨고 하는 문제 많은 사람들 지적하고 있습니다."
합의가 안되면 방통위가 적극적으로 중재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습니다.
<녹취>강승규 : "분쟁이 심화되고 있잖아요."
<녹취>김창수(자유선진당 의원) : "보편적 시청권 막중한 책임 의식 갖고 팔짱 풀고..."
<녹취>이용경(창조한국당 의원) : "왜 할 수 있는게 없어요. 적당히 비틀면 되지만 방송 재허가권도 갖고 있잖아요."
<녹취>전병헌(민주당 의원) :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던 것은 방통위에서 1차적 책임을 질 부분 있다는 거지."
구속력 있는 조치도 제안했습니다.
<녹취>송훈석(무소속 의원) : "합의가 안될 때 최악으로 시정 명령 고려해야 하죠?"
<녹취>최시중(방송통신위원장) : "시정명령 검토하겠다."
KBS 뉴스 김덕원입니다.
SBS의 단독중계 행태를 수수방관 했다며, 여야 모두 방송 통신위원회를 강하게 질타했습니다.
특히 sbs의 가시청 비율이 90%를 넘는다는 건 근거 없다며, 아프게 꼬집었습니다.
김덕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sbs 독점중계 논란의 핵심은 sbs만으로 보편적 시청권을 충족시킬 수 있느냐입니다.
방송통신위는 SBS가 보편적 시청권 기준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전국 가구의 90%를 가시청권에 둔다는 규정을 충족한다고 밝혀왔습니다.
지상파로 86.4% 거기에 케이블 등 유료채널까지 합하면 92.1%가 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한나라당 김효재 의원은 SBS의 가시청권 비율이 임의 기준을 적용해 산출됐기 때문에 90%를 넘겼는지 여부를 확인할 근거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녹취>김효재(한나라당 의원) : "최소한 실측은 안되도 샘플링은 제대로 해야 하는데 완전 주먹구구다. 보편적 시청권이라는 중요한 기준 세우는데 미흡하다."
<녹취>최시중(방통위원장) : "보고 싶은 사람은 다 볼 수 있다고 본다 과학적인 근거는 없습니다."
여야 의원들은 월드컵 같은 국가 스포츠는 국민 모두가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녹취>안형환(한나라당 의원) : "국민 모두가 볼 수 있어야 합니다."
<녹취>진성호(한나라당 의원) : "한국 경기나 준결승 부분에 있어서는 K-1TV 광고 없는 채널과 협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녹취>김부겸(민주당 의원) : "특정 언론사에 의해서 코리안 풀 깨고 하는 문제 많은 사람들 지적하고 있습니다."
합의가 안되면 방통위가 적극적으로 중재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습니다.
<녹취>강승규 : "분쟁이 심화되고 있잖아요."
<녹취>김창수(자유선진당 의원) : "보편적 시청권 막중한 책임 의식 갖고 팔짱 풀고..."
<녹취>이용경(창조한국당 의원) : "왜 할 수 있는게 없어요. 적당히 비틀면 되지만 방송 재허가권도 갖고 있잖아요."
<녹취>전병헌(민주당 의원) :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던 것은 방통위에서 1차적 책임을 질 부분 있다는 거지."
구속력 있는 조치도 제안했습니다.
<녹취>송훈석(무소속 의원) : "합의가 안될 때 최악으로 시정 명령 고려해야 하죠?"
<녹취>최시중(방송통신위원장) : "시정명령 검토하겠다."
KBS 뉴스 김덕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야, SBS 월드컵 독점중계 수수방관 질타
-
- 입력 2010-04-15 22:14:15
- 수정2010-04-15 22:22:25

<앵커 멘트>
SBS의 단독중계 행태를 수수방관 했다며, 여야 모두 방송 통신위원회를 강하게 질타했습니다.
특히 sbs의 가시청 비율이 90%를 넘는다는 건 근거 없다며, 아프게 꼬집었습니다.
김덕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sbs 독점중계 논란의 핵심은 sbs만으로 보편적 시청권을 충족시킬 수 있느냐입니다.
방송통신위는 SBS가 보편적 시청권 기준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전국 가구의 90%를 가시청권에 둔다는 규정을 충족한다고 밝혀왔습니다.
지상파로 86.4% 거기에 케이블 등 유료채널까지 합하면 92.1%가 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한나라당 김효재 의원은 SBS의 가시청권 비율이 임의 기준을 적용해 산출됐기 때문에 90%를 넘겼는지 여부를 확인할 근거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녹취>김효재(한나라당 의원) : "최소한 실측은 안되도 샘플링은 제대로 해야 하는데 완전 주먹구구다. 보편적 시청권이라는 중요한 기준 세우는데 미흡하다."
<녹취>최시중(방통위원장) : "보고 싶은 사람은 다 볼 수 있다고 본다 과학적인 근거는 없습니다."
여야 의원들은 월드컵 같은 국가 스포츠는 국민 모두가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녹취>안형환(한나라당 의원) : "국민 모두가 볼 수 있어야 합니다."
<녹취>진성호(한나라당 의원) : "한국 경기나 준결승 부분에 있어서는 K-1TV 광고 없는 채널과 협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녹취>김부겸(민주당 의원) : "특정 언론사에 의해서 코리안 풀 깨고 하는 문제 많은 사람들 지적하고 있습니다."
합의가 안되면 방통위가 적극적으로 중재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습니다.
<녹취>강승규 : "분쟁이 심화되고 있잖아요."
<녹취>김창수(자유선진당 의원) : "보편적 시청권 막중한 책임 의식 갖고 팔짱 풀고..."
<녹취>이용경(창조한국당 의원) : "왜 할 수 있는게 없어요. 적당히 비틀면 되지만 방송 재허가권도 갖고 있잖아요."
<녹취>전병헌(민주당 의원) :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던 것은 방통위에서 1차적 책임을 질 부분 있다는 거지."
구속력 있는 조치도 제안했습니다.
<녹취>송훈석(무소속 의원) : "합의가 안될 때 최악으로 시정 명령 고려해야 하죠?"
<녹취>최시중(방송통신위원장) : "시정명령 검토하겠다."
KBS 뉴스 김덕원입니다.
SBS의 단독중계 행태를 수수방관 했다며, 여야 모두 방송 통신위원회를 강하게 질타했습니다.
특히 sbs의 가시청 비율이 90%를 넘는다는 건 근거 없다며, 아프게 꼬집었습니다.
김덕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sbs 독점중계 논란의 핵심은 sbs만으로 보편적 시청권을 충족시킬 수 있느냐입니다.
방송통신위는 SBS가 보편적 시청권 기준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전국 가구의 90%를 가시청권에 둔다는 규정을 충족한다고 밝혀왔습니다.
지상파로 86.4% 거기에 케이블 등 유료채널까지 합하면 92.1%가 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한나라당 김효재 의원은 SBS의 가시청권 비율이 임의 기준을 적용해 산출됐기 때문에 90%를 넘겼는지 여부를 확인할 근거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녹취>김효재(한나라당 의원) : "최소한 실측은 안되도 샘플링은 제대로 해야 하는데 완전 주먹구구다. 보편적 시청권이라는 중요한 기준 세우는데 미흡하다."
<녹취>최시중(방통위원장) : "보고 싶은 사람은 다 볼 수 있다고 본다 과학적인 근거는 없습니다."
여야 의원들은 월드컵 같은 국가 스포츠는 국민 모두가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녹취>안형환(한나라당 의원) : "국민 모두가 볼 수 있어야 합니다."
<녹취>진성호(한나라당 의원) : "한국 경기나 준결승 부분에 있어서는 K-1TV 광고 없는 채널과 협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녹취>김부겸(민주당 의원) : "특정 언론사에 의해서 코리안 풀 깨고 하는 문제 많은 사람들 지적하고 있습니다."
합의가 안되면 방통위가 적극적으로 중재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습니다.
<녹취>강승규 : "분쟁이 심화되고 있잖아요."
<녹취>김창수(자유선진당 의원) : "보편적 시청권 막중한 책임 의식 갖고 팔짱 풀고..."
<녹취>이용경(창조한국당 의원) : "왜 할 수 있는게 없어요. 적당히 비틀면 되지만 방송 재허가권도 갖고 있잖아요."
<녹취>전병헌(민주당 의원) :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던 것은 방통위에서 1차적 책임을 질 부분 있다는 거지."
구속력 있는 조치도 제안했습니다.
<녹취>송훈석(무소속 의원) : "합의가 안될 때 최악으로 시정 명령 고려해야 하죠?"
<녹취>최시중(방송통신위원장) : "시정명령 검토하겠다."
KBS 뉴스 김덕원입니다.
-
-
김덕원 기자 kim0526@kbs.co.kr
김덕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