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붉은 물결’ 패션 업체 울상

입력 2010.06.09 (21: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월드컵 때 톡톡히 재미 볼 줄 알았던 패션 업체들이 ’울상’입니다.



응원의 상징, 붉은 티셔츠가 영 팔리지를 않는다는데 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김경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광장에 출렁이는 붉은 물결,



모두 한마음으로 열광적인 응원을 펼칩니다.



한국의 상징처럼 된 붉은 티셔츠는 2002년엔 1500만장, 2006년엔 1000만장이 팔려 나갔습니다.



그러나 이번 월드컵은 분위기가 사뭇 다릅니다.



에콰도르와의 평가전이 열리던 날, 한 업체는 붉은 티셔츠 만 장을 준비해 거리 판매에 나섰지만 6백 장을 파는 데 그쳤습니다.



한 패션업체는 붉은 티셔츠 백만 장을 준비했지만, 지금까지 판매량은 25만장 남짓에 그치고 있습니다.



<인터뷰> 남영은(패션그룹 형지 마케팅실) : "우울한 뉴스들이 영향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이처럼 월드컵 열기가 예전같지 않은 것은 천안함 침몰과 지방선거가 이어지면서 월드컵 붐이 일 시간적 여유가 없었다는 점도 한 이유입니다.



<인터뷰> 김하니(대학생) : "동계올림픽에다 천안함 사건 터지니까 이번에는 좀 조용히 흘러가는 것 같아요."



대규모 거리 응원이 중계료 문제 등을 이유로 곳곳에서 취소되면서 상업주의 논란이 인 것도 월드컵 열기에 찬 물을 끼얹었습니다.



<인터뷰> 공문배 : "진짜 시민들이 붉은 악마가 되는 느낌인데 상업적으로 이용하려는 느낌이 반감이 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지구촌 축제 월드컵, 개막전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지만 분위기는 예전과는 다릅니다.



KBS 뉴스 김경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라진 붉은 물결’ 패션 업체 울상
    • 입력 2010-06-09 21:57:53
    뉴스 9
<앵커 멘트>

월드컵 때 톡톡히 재미 볼 줄 알았던 패션 업체들이 ’울상’입니다.

응원의 상징, 붉은 티셔츠가 영 팔리지를 않는다는데 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김경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광장에 출렁이는 붉은 물결,

모두 한마음으로 열광적인 응원을 펼칩니다.

한국의 상징처럼 된 붉은 티셔츠는 2002년엔 1500만장, 2006년엔 1000만장이 팔려 나갔습니다.

그러나 이번 월드컵은 분위기가 사뭇 다릅니다.

에콰도르와의 평가전이 열리던 날, 한 업체는 붉은 티셔츠 만 장을 준비해 거리 판매에 나섰지만 6백 장을 파는 데 그쳤습니다.

한 패션업체는 붉은 티셔츠 백만 장을 준비했지만, 지금까지 판매량은 25만장 남짓에 그치고 있습니다.

<인터뷰> 남영은(패션그룹 형지 마케팅실) : "우울한 뉴스들이 영향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이처럼 월드컵 열기가 예전같지 않은 것은 천안함 침몰과 지방선거가 이어지면서 월드컵 붐이 일 시간적 여유가 없었다는 점도 한 이유입니다.

<인터뷰> 김하니(대학생) : "동계올림픽에다 천안함 사건 터지니까 이번에는 좀 조용히 흘러가는 것 같아요."

대규모 거리 응원이 중계료 문제 등을 이유로 곳곳에서 취소되면서 상업주의 논란이 인 것도 월드컵 열기에 찬 물을 끼얹었습니다.

<인터뷰> 공문배 : "진짜 시민들이 붉은 악마가 되는 느낌인데 상업적으로 이용하려는 느낌이 반감이 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지구촌 축제 월드컵, 개막전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지만 분위기는 예전과는 다릅니다.

KBS 뉴스 김경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