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단오…‘풍년 기원’ 강릉단오제 절정
입력 2010.06.16 (07:58)
수정 2010.06.16 (09: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오늘은 음력으로 5월 5일, 우리 조상들이 풍년을 기원하며 잔치를 벌였던 단옷날인데요.
지금 강원도 강릉에서는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으로 지정된 전국 최대 단오 행사인 강릉단오제가 절정을 맞고 있습니다.
유동엽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강릉 남대천을 따라 민속 공연장과 상가가 빽빽이 들어찼습니다.
색색의 단오등이 불을 밝히는 거리는 흥겨운 축제장.
시내 곳곳에는 단오 신주를 맛보는 주막도 차려졌습니다.
<인터뷰> 김순옥(강릉시 포남동):"신주도 마시고 영신제도 보고 올 한 해 소원도 빌러 왔습니다."
강릉단오의 주신을 단오장 굿당으로 모시는 영신행차는 신명나는 굿과 어울어져 강릉단오제의 가장 흥겨운 볼거리 중에 하나입니다.
민속 공연장에서는 무형문화재인 관노가면극과 오독떼기 농악 공연 등 민속 공연이 일주일 내내 펼쳐집니다.
<인터뷰> 최승천(강릉시 교동):"( 책에서나 TV에서나 보던 걸 해보니까 굉장히 좋겠죠. 우리 아이들에게.)"
단오 문화를 공유하는 중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5개 나라의 전통 공연은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단오를 느껴볼 수 있는 공간입니다.
<인터뷰> 토우리판(중국 관광객):"문화가 서로 다르지만 (한국은) 내용이 풍부한 것 같습니다. 오늘 여기 오게 돼 기쁩니다."
단옷날인 오늘은 KBS 농악 경연대회와 강릉사투리 경연대회 등 전통 문화 행사가 열려 멋과 흥을 더합니다.
고려 시대부터 관련 기록이 전해지는 '천 년의 축제' 강릉단오제는 오는 19일까지 계속됩니다.
KBS 뉴스 유동엽입니다.
오늘은 음력으로 5월 5일, 우리 조상들이 풍년을 기원하며 잔치를 벌였던 단옷날인데요.
지금 강원도 강릉에서는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으로 지정된 전국 최대 단오 행사인 강릉단오제가 절정을 맞고 있습니다.
유동엽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강릉 남대천을 따라 민속 공연장과 상가가 빽빽이 들어찼습니다.
색색의 단오등이 불을 밝히는 거리는 흥겨운 축제장.
시내 곳곳에는 단오 신주를 맛보는 주막도 차려졌습니다.
<인터뷰> 김순옥(강릉시 포남동):"신주도 마시고 영신제도 보고 올 한 해 소원도 빌러 왔습니다."
강릉단오의 주신을 단오장 굿당으로 모시는 영신행차는 신명나는 굿과 어울어져 강릉단오제의 가장 흥겨운 볼거리 중에 하나입니다.
민속 공연장에서는 무형문화재인 관노가면극과 오독떼기 농악 공연 등 민속 공연이 일주일 내내 펼쳐집니다.
<인터뷰> 최승천(강릉시 교동):"( 책에서나 TV에서나 보던 걸 해보니까 굉장히 좋겠죠. 우리 아이들에게.)"
단오 문화를 공유하는 중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5개 나라의 전통 공연은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단오를 느껴볼 수 있는 공간입니다.
<인터뷰> 토우리판(중국 관광객):"문화가 서로 다르지만 (한국은) 내용이 풍부한 것 같습니다. 오늘 여기 오게 돼 기쁩니다."
단옷날인 오늘은 KBS 농악 경연대회와 강릉사투리 경연대회 등 전통 문화 행사가 열려 멋과 흥을 더합니다.
고려 시대부터 관련 기록이 전해지는 '천 년의 축제' 강릉단오제는 오는 19일까지 계속됩니다.
KBS 뉴스 유동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오늘은 단오…‘풍년 기원’ 강릉단오제 절정
-
- 입력 2010-06-16 07:58:36
- 수정2010-06-16 09:42:11

<앵커 멘트>
오늘은 음력으로 5월 5일, 우리 조상들이 풍년을 기원하며 잔치를 벌였던 단옷날인데요.
지금 강원도 강릉에서는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으로 지정된 전국 최대 단오 행사인 강릉단오제가 절정을 맞고 있습니다.
유동엽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강릉 남대천을 따라 민속 공연장과 상가가 빽빽이 들어찼습니다.
색색의 단오등이 불을 밝히는 거리는 흥겨운 축제장.
시내 곳곳에는 단오 신주를 맛보는 주막도 차려졌습니다.
<인터뷰> 김순옥(강릉시 포남동):"신주도 마시고 영신제도 보고 올 한 해 소원도 빌러 왔습니다."
강릉단오의 주신을 단오장 굿당으로 모시는 영신행차는 신명나는 굿과 어울어져 강릉단오제의 가장 흥겨운 볼거리 중에 하나입니다.
민속 공연장에서는 무형문화재인 관노가면극과 오독떼기 농악 공연 등 민속 공연이 일주일 내내 펼쳐집니다.
<인터뷰> 최승천(강릉시 교동):"( 책에서나 TV에서나 보던 걸 해보니까 굉장히 좋겠죠. 우리 아이들에게.)"
단오 문화를 공유하는 중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5개 나라의 전통 공연은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단오를 느껴볼 수 있는 공간입니다.
<인터뷰> 토우리판(중국 관광객):"문화가 서로 다르지만 (한국은) 내용이 풍부한 것 같습니다. 오늘 여기 오게 돼 기쁩니다."
단옷날인 오늘은 KBS 농악 경연대회와 강릉사투리 경연대회 등 전통 문화 행사가 열려 멋과 흥을 더합니다.
고려 시대부터 관련 기록이 전해지는 '천 년의 축제' 강릉단오제는 오는 19일까지 계속됩니다.
KBS 뉴스 유동엽입니다.
-
-
유동엽 기자 imhere@kbs.co.kr
유동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