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취제 오남용 사고 의사 첫 기소
입력 2010.06.29 (22:07)
수정 2010.06.29 (22: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가슴 성형 수술을 받던 40대 여성이 무호흡 증세로 갑자기 숨진 사건이 있었죠.
검찰은 마취제를 과다하게 투여한 사실을 밝혀내고 의사를 기소했습니다.
임주영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40대 김모씨는 서울 강남에서 가슴 성형 수술을 받다가 숨졌습니다.
전신 마취를 했다가 영영 깨어나지 못한 것입니다.
김 씨가 맞은 마취약은 프로포폴.
지난 1989년 개발돼 한때 ’꿈의 마취제’로 불렸지만, 일시적인 무호흡과 수면 중에 깼다가 다시 잠드는 증세 등 부작용이 드러나 미 FDA 등에 의해 안전성 우려가 제기돼 왔습니다.
마이클 잭슨도 프로포폴 남용해 숨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때문에 식약청은 "프로포폴 투여는 반드시 마취과 전문의가 해야 하고 시술시 환자의 호흡을 도와주는 장치가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김씨는 가정의학과 전문의 안 모씨에게 프로포폴을 맞았습니다.
마취가 전문의가 아닌 안씨는 프로포폴 부작용 증세로 김씨가 자꾸 잠에서 깨어나자 프로포폴을 560mg이나 투여했습니다.
통상 사용하는 100mg 정도보다 5배 이상 사용한 것입니다.
안씨는 또한 김 씨의 호흡 상태도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검찰은 의사 안씨를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기소했습니다.
검찰은 마취 전문이 아닌 의사가 마취제 프로포폴를 과다투여해 환자를 숨지게 한 혐의로 기소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임주영입니다.
가슴 성형 수술을 받던 40대 여성이 무호흡 증세로 갑자기 숨진 사건이 있었죠.
검찰은 마취제를 과다하게 투여한 사실을 밝혀내고 의사를 기소했습니다.
임주영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40대 김모씨는 서울 강남에서 가슴 성형 수술을 받다가 숨졌습니다.
전신 마취를 했다가 영영 깨어나지 못한 것입니다.
김 씨가 맞은 마취약은 프로포폴.
지난 1989년 개발돼 한때 ’꿈의 마취제’로 불렸지만, 일시적인 무호흡과 수면 중에 깼다가 다시 잠드는 증세 등 부작용이 드러나 미 FDA 등에 의해 안전성 우려가 제기돼 왔습니다.
마이클 잭슨도 프로포폴 남용해 숨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때문에 식약청은 "프로포폴 투여는 반드시 마취과 전문의가 해야 하고 시술시 환자의 호흡을 도와주는 장치가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김씨는 가정의학과 전문의 안 모씨에게 프로포폴을 맞았습니다.
마취가 전문의가 아닌 안씨는 프로포폴 부작용 증세로 김씨가 자꾸 잠에서 깨어나자 프로포폴을 560mg이나 투여했습니다.
통상 사용하는 100mg 정도보다 5배 이상 사용한 것입니다.
안씨는 또한 김 씨의 호흡 상태도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검찰은 의사 안씨를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기소했습니다.
검찰은 마취 전문이 아닌 의사가 마취제 프로포폴를 과다투여해 환자를 숨지게 한 혐의로 기소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임주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마취제 오남용 사고 의사 첫 기소
-
- 입력 2010-06-29 22:07:08
- 수정2010-06-29 22:39:20

<앵커 멘트>
가슴 성형 수술을 받던 40대 여성이 무호흡 증세로 갑자기 숨진 사건이 있었죠.
검찰은 마취제를 과다하게 투여한 사실을 밝혀내고 의사를 기소했습니다.
임주영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40대 김모씨는 서울 강남에서 가슴 성형 수술을 받다가 숨졌습니다.
전신 마취를 했다가 영영 깨어나지 못한 것입니다.
김 씨가 맞은 마취약은 프로포폴.
지난 1989년 개발돼 한때 ’꿈의 마취제’로 불렸지만, 일시적인 무호흡과 수면 중에 깼다가 다시 잠드는 증세 등 부작용이 드러나 미 FDA 등에 의해 안전성 우려가 제기돼 왔습니다.
마이클 잭슨도 프로포폴 남용해 숨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때문에 식약청은 "프로포폴 투여는 반드시 마취과 전문의가 해야 하고 시술시 환자의 호흡을 도와주는 장치가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김씨는 가정의학과 전문의 안 모씨에게 프로포폴을 맞았습니다.
마취가 전문의가 아닌 안씨는 프로포폴 부작용 증세로 김씨가 자꾸 잠에서 깨어나자 프로포폴을 560mg이나 투여했습니다.
통상 사용하는 100mg 정도보다 5배 이상 사용한 것입니다.
안씨는 또한 김 씨의 호흡 상태도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검찰은 의사 안씨를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기소했습니다.
검찰은 마취 전문이 아닌 의사가 마취제 프로포폴를 과다투여해 환자를 숨지게 한 혐의로 기소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임주영입니다.
가슴 성형 수술을 받던 40대 여성이 무호흡 증세로 갑자기 숨진 사건이 있었죠.
검찰은 마취제를 과다하게 투여한 사실을 밝혀내고 의사를 기소했습니다.
임주영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40대 김모씨는 서울 강남에서 가슴 성형 수술을 받다가 숨졌습니다.
전신 마취를 했다가 영영 깨어나지 못한 것입니다.
김 씨가 맞은 마취약은 프로포폴.
지난 1989년 개발돼 한때 ’꿈의 마취제’로 불렸지만, 일시적인 무호흡과 수면 중에 깼다가 다시 잠드는 증세 등 부작용이 드러나 미 FDA 등에 의해 안전성 우려가 제기돼 왔습니다.
마이클 잭슨도 프로포폴 남용해 숨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때문에 식약청은 "프로포폴 투여는 반드시 마취과 전문의가 해야 하고 시술시 환자의 호흡을 도와주는 장치가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김씨는 가정의학과 전문의 안 모씨에게 프로포폴을 맞았습니다.
마취가 전문의가 아닌 안씨는 프로포폴 부작용 증세로 김씨가 자꾸 잠에서 깨어나자 프로포폴을 560mg이나 투여했습니다.
통상 사용하는 100mg 정도보다 5배 이상 사용한 것입니다.
안씨는 또한 김 씨의 호흡 상태도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검찰은 의사 안씨를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기소했습니다.
검찰은 마취 전문이 아닌 의사가 마취제 프로포폴를 과다투여해 환자를 숨지게 한 혐의로 기소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임주영입니다.
-
-
임주영 기자 magnolia@kbs.co.kr
임주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