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 전입’ 공직자에 더 엄한 잣대대야”

입력 2010.08.26 (08:06) 수정 2010.08.26 (08: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번 인사청문회 최대 쟁점인 위장전입, 공직수행에 치명적 약점으로 작용할 때도 있었고 위장전입 사실이 드러나고도 공직수행을 이어가는 경우도 적지 않았습니다.

위장전입을 보는 잣대가 너무 오락가락한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임주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공직 후보자들의 위장전입은 지난 2000년, 이한동 전 총리의 인사청문회 이래 청문회 단골메뉴입니다.

<녹취>심재철(한나라당 의원):"위장전입이시죠? 부인의 행동이?

<녹취>이한동(당시 국무총리 후보자):"그런 경우를 위장전입이라고 볼 수가 있겠네요."

당시 이 후보자는 총리로 임명됐지만, 후임 장 상, 장대환 총리 후보자는 위장전입사실이 문제돼 줄줄이 낙마했습니다.

현 정부 들어서는 이만의 환경, 현인택 통일, 이귀남 법무장관,김준규 검찰총장 등이 자녀교육때문에 위장전입했다고 해명한 뒤 청문회를 통과했습니다.

이번 청문회에서도 위장전입논란은 어김없이 등장했습니다.

<현장음> "다섯 번의 위장전입이 따님 세 분과 다 관련이 돼있는 거죠? 맞습니까?"

<현장음> "주민등록법 위반은 4번입니다."

공직자 위장전입을 바라보는 시민들의 의견은 엇갈립니다.

<인터뷰> 이혜경(김포시 고촌면):"위장전입을 다 하잖아요, 청문회 할 때 보면요..이 사람들은 법이 우스운거죠."

<인터뷰> 박영호(대구시 상인동):"자녀교육을 위해서 누구나 다 한 번씩은 생각해본 문제고, 지금 이렇게 문제로 삼는 게 별로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법적용 만큼은 일반인이나 고위공직자 후보나 달라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위장전입으로 처벌받은 사람은 지난 4년 동안 한해 평균 1,724 명.

위장전입이 일반인에게만 가혹해서는 안된다는 얘기입니다.

KBS 뉴스 임주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위장 전입’ 공직자에 더 엄한 잣대대야”
    • 입력 2010-08-26 08:06:31
    • 수정2010-08-26 08:15:18
    뉴스광장
<앵커 멘트> 이번 인사청문회 최대 쟁점인 위장전입, 공직수행에 치명적 약점으로 작용할 때도 있었고 위장전입 사실이 드러나고도 공직수행을 이어가는 경우도 적지 않았습니다. 위장전입을 보는 잣대가 너무 오락가락한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임주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공직 후보자들의 위장전입은 지난 2000년, 이한동 전 총리의 인사청문회 이래 청문회 단골메뉴입니다. <녹취>심재철(한나라당 의원):"위장전입이시죠? 부인의 행동이? <녹취>이한동(당시 국무총리 후보자):"그런 경우를 위장전입이라고 볼 수가 있겠네요." 당시 이 후보자는 총리로 임명됐지만, 후임 장 상, 장대환 총리 후보자는 위장전입사실이 문제돼 줄줄이 낙마했습니다. 현 정부 들어서는 이만의 환경, 현인택 통일, 이귀남 법무장관,김준규 검찰총장 등이 자녀교육때문에 위장전입했다고 해명한 뒤 청문회를 통과했습니다. 이번 청문회에서도 위장전입논란은 어김없이 등장했습니다. <현장음> "다섯 번의 위장전입이 따님 세 분과 다 관련이 돼있는 거죠? 맞습니까?" <현장음> "주민등록법 위반은 4번입니다." 공직자 위장전입을 바라보는 시민들의 의견은 엇갈립니다. <인터뷰> 이혜경(김포시 고촌면):"위장전입을 다 하잖아요, 청문회 할 때 보면요..이 사람들은 법이 우스운거죠." <인터뷰> 박영호(대구시 상인동):"자녀교육을 위해서 누구나 다 한 번씩은 생각해본 문제고, 지금 이렇게 문제로 삼는 게 별로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법적용 만큼은 일반인이나 고위공직자 후보나 달라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위장전입으로 처벌받은 사람은 지난 4년 동안 한해 평균 1,724 명. 위장전입이 일반인에게만 가혹해서는 안된다는 얘기입니다. KBS 뉴스 임주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