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the player...
<앵커 멘트>
북한이 3대 세습을 축하하면서 주민들에게 쌀을 배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쌀 부족에 시달리는 북한이 어떻게 이 쌀을 마련했을까요?
김희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한은 노동당 창건 65주년을 앞두고 주민 한 사람당 450그램씩의 쌀을 배급했습니다.
이 쌀이 장마당에도 풀리면서 쌀값이 떨어지는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습니다.
북한이 이른바 '2호 물자'를 푼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에서 '1호 물자'는 군량미를 비롯한 전쟁 예비물자를 의미합니다.
'2호 물자'는 시.도에서 관리하는 식량과 피복,의약품 등으로 자연재해 대비와 대규모 동원 행사용입니다.
여기에 각 시·도 당이 직접 중국에서 대규모로 쌀을 사온 것으로 추정됩니다.
실제, 당 대표자회 개최가 확정된 직후, 중국으로부터의 쌀 수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크게 늘었습니다.
<인터뷰> 임정진(북한 기자 출신 탈북자):"지금 같은 경우에는 중국에서 후불로 받는 경우가 많을 겁니다. 중국 사람들이 북한에 식량을 떼이고 다시는 거래 안 하겠다고..."
주민들의 환심을 사 후계자 김정은을 띄우겠다는 계산이지만, 임시방편에 불과하다는 지적입니다.
북한 주민들이 굶주리지 않기 위해서는 올해만 백50만 톤의 식량이 더 필요하다는게 세계식량계획의 현장조사 결과입니다.
KBS뉴스 김희용입니다.
북한이 3대 세습을 축하하면서 주민들에게 쌀을 배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쌀 부족에 시달리는 북한이 어떻게 이 쌀을 마련했을까요?
김희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한은 노동당 창건 65주년을 앞두고 주민 한 사람당 450그램씩의 쌀을 배급했습니다.
이 쌀이 장마당에도 풀리면서 쌀값이 떨어지는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습니다.
북한이 이른바 '2호 물자'를 푼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에서 '1호 물자'는 군량미를 비롯한 전쟁 예비물자를 의미합니다.
'2호 물자'는 시.도에서 관리하는 식량과 피복,의약품 등으로 자연재해 대비와 대규모 동원 행사용입니다.
여기에 각 시·도 당이 직접 중국에서 대규모로 쌀을 사온 것으로 추정됩니다.
실제, 당 대표자회 개최가 확정된 직후, 중국으로부터의 쌀 수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크게 늘었습니다.
<인터뷰> 임정진(북한 기자 출신 탈북자):"지금 같은 경우에는 중국에서 후불로 받는 경우가 많을 겁니다. 중국 사람들이 북한에 식량을 떼이고 다시는 거래 안 하겠다고..."
주민들의 환심을 사 후계자 김정은을 띄우겠다는 계산이지만, 임시방편에 불과하다는 지적입니다.
북한 주민들이 굶주리지 않기 위해서는 올해만 백50만 톤의 식량이 더 필요하다는게 세계식량계획의 현장조사 결과입니다.
KBS뉴스 김희용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北, 세습 축하 ‘쌀’ 어떻게 조달했나?
-
- 입력 2010-10-14 07:13:33

<앵커 멘트>
북한이 3대 세습을 축하하면서 주민들에게 쌀을 배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쌀 부족에 시달리는 북한이 어떻게 이 쌀을 마련했을까요?
김희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한은 노동당 창건 65주년을 앞두고 주민 한 사람당 450그램씩의 쌀을 배급했습니다.
이 쌀이 장마당에도 풀리면서 쌀값이 떨어지는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습니다.
북한이 이른바 '2호 물자'를 푼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에서 '1호 물자'는 군량미를 비롯한 전쟁 예비물자를 의미합니다.
'2호 물자'는 시.도에서 관리하는 식량과 피복,의약품 등으로 자연재해 대비와 대규모 동원 행사용입니다.
여기에 각 시·도 당이 직접 중국에서 대규모로 쌀을 사온 것으로 추정됩니다.
실제, 당 대표자회 개최가 확정된 직후, 중국으로부터의 쌀 수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크게 늘었습니다.
<인터뷰> 임정진(북한 기자 출신 탈북자):"지금 같은 경우에는 중국에서 후불로 받는 경우가 많을 겁니다. 중국 사람들이 북한에 식량을 떼이고 다시는 거래 안 하겠다고..."
주민들의 환심을 사 후계자 김정은을 띄우겠다는 계산이지만, 임시방편에 불과하다는 지적입니다.
북한 주민들이 굶주리지 않기 위해서는 올해만 백50만 톤의 식량이 더 필요하다는게 세계식량계획의 현장조사 결과입니다.
KBS뉴스 김희용입니다.
-
-
김희용 기자 emaninny@kbs.co.kr
김희용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