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합참, 북한 잠수함 대비 소홀” 지적
입력 2010.10.23 (08:00)
수정 2010.10.23 (10: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합동참모본부가 천안함 사건 한달 전에 북한 연어급 잠수정을 침투위협 자산에서 제외했다는 증언이 국회 국방위 국감에서 나왔습니다.
합참이 북한 잠수함 대비에 소홀했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희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2월 합참이 북한 연어급 잠수정을 침투위협 자산 목록에서 제외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침투위협 자산 목록은 한.미 군당국이 매년말 북한의 전투력을 평가하면서, 기습도발이나 국지전에 쓰일 수 있는 전력을 구분해 놓은 것입니다.
<녹취> 안규백(의원) : "연어급 잠수정이 2월에 합참에서 관리하는 위험자산 목록에서 제외됐다는 얘기 있는데 맞나."
<녹취> 김동식(전 사령관) : "맞습니다."
북한 잠수함 도발에 대한 합참의 대비가 소홀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대목입니다.
합참 관계자는 제외된 연어급 잠수정은 전력화 이전 단계에 있던 한 척일뿐 전력화된 잠수정들은 모두 목록에 들어있다고 해명했습니다.
그러나 천안함을 공격한 잠수정이 목록에서 제외된 것일 가능성에 대해선 알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어제 국감에서는 군 검찰이 기소를 검토 중인 최원일 전 천안함 함장을 선처해야 한다는 지적도 잇따랐습니다.
<녹취> 김장수(의원) : "죄를 물으려면 북한에 물어야지 함장한테 묻는것은 한계있다고 본다."
<녹취> 김태영(국방장관) : "신중하게 하겠다. 개인에게 억울함 없게 하겠다."
최 전 함장은 군검찰의 기소 검토에 대해 군인으로서 어떠한 명령과 지시에도 복종하겠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김희용입니다.
합동참모본부가 천안함 사건 한달 전에 북한 연어급 잠수정을 침투위협 자산에서 제외했다는 증언이 국회 국방위 국감에서 나왔습니다.
합참이 북한 잠수함 대비에 소홀했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희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2월 합참이 북한 연어급 잠수정을 침투위협 자산 목록에서 제외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침투위협 자산 목록은 한.미 군당국이 매년말 북한의 전투력을 평가하면서, 기습도발이나 국지전에 쓰일 수 있는 전력을 구분해 놓은 것입니다.
<녹취> 안규백(의원) : "연어급 잠수정이 2월에 합참에서 관리하는 위험자산 목록에서 제외됐다는 얘기 있는데 맞나."
<녹취> 김동식(전 사령관) : "맞습니다."
북한 잠수함 도발에 대한 합참의 대비가 소홀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대목입니다.
합참 관계자는 제외된 연어급 잠수정은 전력화 이전 단계에 있던 한 척일뿐 전력화된 잠수정들은 모두 목록에 들어있다고 해명했습니다.
그러나 천안함을 공격한 잠수정이 목록에서 제외된 것일 가능성에 대해선 알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어제 국감에서는 군 검찰이 기소를 검토 중인 최원일 전 천안함 함장을 선처해야 한다는 지적도 잇따랐습니다.
<녹취> 김장수(의원) : "죄를 물으려면 북한에 물어야지 함장한테 묻는것은 한계있다고 본다."
<녹취> 김태영(국방장관) : "신중하게 하겠다. 개인에게 억울함 없게 하겠다."
최 전 함장은 군검찰의 기소 검토에 대해 군인으로서 어떠한 명령과 지시에도 복종하겠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김희용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감 “합참, 북한 잠수함 대비 소홀” 지적
-
- 입력 2010-10-23 08:00:19
- 수정2010-10-23 10:08:38
<앵커 멘트>
합동참모본부가 천안함 사건 한달 전에 북한 연어급 잠수정을 침투위협 자산에서 제외했다는 증언이 국회 국방위 국감에서 나왔습니다.
합참이 북한 잠수함 대비에 소홀했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희용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2월 합참이 북한 연어급 잠수정을 침투위협 자산 목록에서 제외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침투위협 자산 목록은 한.미 군당국이 매년말 북한의 전투력을 평가하면서, 기습도발이나 국지전에 쓰일 수 있는 전력을 구분해 놓은 것입니다.
<녹취> 안규백(의원) : "연어급 잠수정이 2월에 합참에서 관리하는 위험자산 목록에서 제외됐다는 얘기 있는데 맞나."
<녹취> 김동식(전 사령관) : "맞습니다."
북한 잠수함 도발에 대한 합참의 대비가 소홀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대목입니다.
합참 관계자는 제외된 연어급 잠수정은 전력화 이전 단계에 있던 한 척일뿐 전력화된 잠수정들은 모두 목록에 들어있다고 해명했습니다.
그러나 천안함을 공격한 잠수정이 목록에서 제외된 것일 가능성에 대해선 알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어제 국감에서는 군 검찰이 기소를 검토 중인 최원일 전 천안함 함장을 선처해야 한다는 지적도 잇따랐습니다.
<녹취> 김장수(의원) : "죄를 물으려면 북한에 물어야지 함장한테 묻는것은 한계있다고 본다."
<녹취> 김태영(국방장관) : "신중하게 하겠다. 개인에게 억울함 없게 하겠다."
최 전 함장은 군검찰의 기소 검토에 대해 군인으로서 어떠한 명령과 지시에도 복종하겠다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김희용입니다.
-
-
김희용 기자 emaninny@kbs.co.kr
김희용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2010_국정감사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