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 떠나 뜬눈으로 밤 샌 피난민들

입력 2010.11.25 (07: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전쟁터 같은 고향을 힘겹게 떠나온 피난민들.

낯선 환경과 미래에 대한 불안감 속에 뜬눈으로 밤을 지새웠습니다.

장덕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평소 같으면 벌써 잠에 들었을 시각.

피난민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서로의 아픔을 위로하고, 닥쳐온 현실과 불확실한 미래에 대해 함께 고민하기 위해섭니다.

<녹취> "좋은 방법 있으면 이야기해봐요"

다양한 의견이 오가지만, 자정이 다 돼 가도록 쉽게 결론이 나지 않습니다.

찾아온 군수의 말에 귀 기울여 보아도, 답답함만 더해 갈 뿐입니다.

어린 자녀를 둔 피난민의 근심은 더 큽니다.

자녀가 충격을 딛고 낯선 환경에서 잘 적응할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섭니다.

<인터뷰> 곽덕녀(연평도 주민) : “부모 마음으로서는 며칠을 좀 더 안정이 된 다음에 애들을 보내도 보냈으면 좋겠는데..”

텔레비전에 고정된 시선, 어느새 마음은 다시 고향에 가 있습니다.

<인터뷰> 이정숙(연평도 주민) : “대피소보다는 여기가 낫지. 그래도 거기가 고향이나 마찬가지니까 어쨌든..”

육지에서의 첫날밤. 각자 고민은 달랐지만, 고향을 떠났다는 공허한 마음에 피난민들은 잠을 쉽게 이룰 수 없었습니다.

KBS 뉴스 장덕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향 떠나 뜬눈으로 밤 샌 피난민들
    • 입력 2010-11-25 07:23:26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전쟁터 같은 고향을 힘겹게 떠나온 피난민들. 낯선 환경과 미래에 대한 불안감 속에 뜬눈으로 밤을 지새웠습니다. 장덕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평소 같으면 벌써 잠에 들었을 시각. 피난민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서로의 아픔을 위로하고, 닥쳐온 현실과 불확실한 미래에 대해 함께 고민하기 위해섭니다. <녹취> "좋은 방법 있으면 이야기해봐요" 다양한 의견이 오가지만, 자정이 다 돼 가도록 쉽게 결론이 나지 않습니다. 찾아온 군수의 말에 귀 기울여 보아도, 답답함만 더해 갈 뿐입니다. 어린 자녀를 둔 피난민의 근심은 더 큽니다. 자녀가 충격을 딛고 낯선 환경에서 잘 적응할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섭니다. <인터뷰> 곽덕녀(연평도 주민) : “부모 마음으로서는 며칠을 좀 더 안정이 된 다음에 애들을 보내도 보냈으면 좋겠는데..” 텔레비전에 고정된 시선, 어느새 마음은 다시 고향에 가 있습니다. <인터뷰> 이정숙(연평도 주민) : “대피소보다는 여기가 낫지. 그래도 거기가 고향이나 마찬가지니까 어쨌든..” 육지에서의 첫날밤. 각자 고민은 달랐지만, 고향을 떠났다는 공허한 마음에 피난민들은 잠을 쉽게 이룰 수 없었습니다. KBS 뉴스 장덕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