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전환, 절반이 인정

입력 2001.08.01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성전환자, 이른바 트렌스젠더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이 크게 변하고 있는 것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관련법과 제도는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취재에 유성식 기자입니다.
⊙손형민(서울 길동): 이미 정신적으로 다른 성이 돼 있기 때문에 저는 바꿔도 된다고 생각하거든요.
⊙홍승목(서울 하계동): 성의 선택도 저는 인권 차원에서 해결해야 된다고 봅니다.
⊙기자: 성전환에 대한 긍정적인 대답이 의외로 많았습니다.
한국갤럽이 20살 이상의 남녀 1500여 명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절반이 넘는 51% 가량이 성전환을 인정해야 한다고 답했고 안 된다는 응답은 40% 가량 됐습니다.
또 응답자의 58% 이상이 성전환자의 주민등록을 바꿔줘야 한다고 대답해 성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석태(인권변호사): 성적 소수자가 제도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그런 과정으로 접어들었다 이렇게 볼 수가 있는 거죠.
⊙기자: 성전환 연예인 하리수가 인기를 얻고 있는 데서도 이 같은 변화를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호적상의 성별 변경이 불가능하고 이들을 받아주는 직장도 없어 음지에서 고통받아야 하는 생활은 계속될 수밖에 없습니다.
⊙임태훈(성적 소수자 인권단체 대표): 여기서 외면했을 경우에 주민등록번호가 다르기 때문에 대부분 매매춘이나 그런 유흥업소에서 일하는 분들이 많으세요.
⊙기자: 성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맞춰 제도적 변화도 따라야 할 때입니다.
KBS뉴스 유성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성전환, 절반이 인정
    • 입력 2001-08-01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최근 성전환자, 이른바 트렌스젠더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이 크게 변하고 있는 것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관련법과 제도는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취재에 유성식 기자입니다. ⊙손형민(서울 길동): 이미 정신적으로 다른 성이 돼 있기 때문에 저는 바꿔도 된다고 생각하거든요. ⊙홍승목(서울 하계동): 성의 선택도 저는 인권 차원에서 해결해야 된다고 봅니다. ⊙기자: 성전환에 대한 긍정적인 대답이 의외로 많았습니다. 한국갤럽이 20살 이상의 남녀 1500여 명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절반이 넘는 51% 가량이 성전환을 인정해야 한다고 답했고 안 된다는 응답은 40% 가량 됐습니다. 또 응답자의 58% 이상이 성전환자의 주민등록을 바꿔줘야 한다고 대답해 성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석태(인권변호사): 성적 소수자가 제도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그런 과정으로 접어들었다 이렇게 볼 수가 있는 거죠. ⊙기자: 성전환 연예인 하리수가 인기를 얻고 있는 데서도 이 같은 변화를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호적상의 성별 변경이 불가능하고 이들을 받아주는 직장도 없어 음지에서 고통받아야 하는 생활은 계속될 수밖에 없습니다. ⊙임태훈(성적 소수자 인권단체 대표): 여기서 외면했을 경우에 주민등록번호가 다르기 때문에 대부분 매매춘이나 그런 유흥업소에서 일하는 분들이 많으세요. ⊙기자: 성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맞춰 제도적 변화도 따라야 할 때입니다. KBS뉴스 유성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