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감정적으로 맞서기 보다는 우리가 독도를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알려야 합니다.
송현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독도에 헬기가 뜨고 내리는 곳입니다.
정부가 이곳을 보수하는 공사에 들어갑니다.
그간 대규모 시설물을 짓는데 주저했지만, 종합해양기지 건설도 서두르기로 했습니다.
또 예전보다 3배 넓혀 짓고 있는 독도 주민 숙소도 일정을 한 달 정도 앞당기기로 했습니다.
모두 독도 영유권이 한국에 있음을 가시적으로 나타내는 조치들입니다.
정부 청사에서는 독도의 실시간 모습을 이렇게 살펴볼 수 있습니다.
독도의 실효적 지배를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국제 분쟁으로 번진다 해도 무엇보다 우선한 판단 요인은 누가 실제 지배를 하고 있는지 입니다.
때문에 장기적 차원에서 이런 실효적 지배를 강화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일관된 지적입니다.
현재 40여 명인 상주 인구 수를 늘리고 더 자유로운 접근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인터뷰> 이장희(교수) : "숙박시설 헬기 이착륙장 등 시설 건설해 누구든지 오가며 경제행위 발생시켜 세금 부과...이것이 주권 행위다."
독도 관련 고지도나 사료 발굴 작업도 늦출 수 없는 대책입니다.
최악의 경우지만, 독도 영유권 문제가 국제 문제가 돼 제3자의 판단에 맡겨 질 경우를 대비하는 차원이기도 합니다.
<인터뷰> 이 훈(동북아역사재단 독도연구소장) : "일본이 영토라 주장하는 17세기부터 한일합병까지의 문서 발굴에 주력중..."
일본 지진과 독도 왜곡은 별개로 냉정하게 대응하겠다는 게 정부 입장입니다.
감정적 대응으로 분쟁 지역을 만들겠다는 일본에 빌미를 줘서는 안 되겠지만, 교과서가 나올 때만 반짝하거나 예산이 없어 진행 못 하는 대응이어서는 안 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KBS 뉴스 송현정입니다.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감정적으로 맞서기 보다는 우리가 독도를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알려야 합니다.
송현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독도에 헬기가 뜨고 내리는 곳입니다.
정부가 이곳을 보수하는 공사에 들어갑니다.
그간 대규모 시설물을 짓는데 주저했지만, 종합해양기지 건설도 서두르기로 했습니다.
또 예전보다 3배 넓혀 짓고 있는 독도 주민 숙소도 일정을 한 달 정도 앞당기기로 했습니다.
모두 독도 영유권이 한국에 있음을 가시적으로 나타내는 조치들입니다.
정부 청사에서는 독도의 실시간 모습을 이렇게 살펴볼 수 있습니다.
독도의 실효적 지배를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국제 분쟁으로 번진다 해도 무엇보다 우선한 판단 요인은 누가 실제 지배를 하고 있는지 입니다.
때문에 장기적 차원에서 이런 실효적 지배를 강화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일관된 지적입니다.
현재 40여 명인 상주 인구 수를 늘리고 더 자유로운 접근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인터뷰> 이장희(교수) : "숙박시설 헬기 이착륙장 등 시설 건설해 누구든지 오가며 경제행위 발생시켜 세금 부과...이것이 주권 행위다."
독도 관련 고지도나 사료 발굴 작업도 늦출 수 없는 대책입니다.
최악의 경우지만, 독도 영유권 문제가 국제 문제가 돼 제3자의 판단에 맡겨 질 경우를 대비하는 차원이기도 합니다.
<인터뷰> 이 훈(동북아역사재단 독도연구소장) : "일본이 영토라 주장하는 17세기부터 한일합병까지의 문서 발굴에 주력중..."
일본 지진과 독도 왜곡은 별개로 냉정하게 대응하겠다는 게 정부 입장입니다.
감정적 대응으로 분쟁 지역을 만들겠다는 일본에 빌미를 줘서는 안 되겠지만, 교과서가 나올 때만 반짝하거나 예산이 없어 진행 못 하는 대응이어서는 안 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KBS 뉴스 송현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독도 해법은?…“실효적 지배 강화해야”
-
- 입력 2011-03-30 22:09:24

<앵커 멘트>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감정적으로 맞서기 보다는 우리가 독도를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알려야 합니다.
송현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독도에 헬기가 뜨고 내리는 곳입니다.
정부가 이곳을 보수하는 공사에 들어갑니다.
그간 대규모 시설물을 짓는데 주저했지만, 종합해양기지 건설도 서두르기로 했습니다.
또 예전보다 3배 넓혀 짓고 있는 독도 주민 숙소도 일정을 한 달 정도 앞당기기로 했습니다.
모두 독도 영유권이 한국에 있음을 가시적으로 나타내는 조치들입니다.
정부 청사에서는 독도의 실시간 모습을 이렇게 살펴볼 수 있습니다.
독도의 실효적 지배를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국제 분쟁으로 번진다 해도 무엇보다 우선한 판단 요인은 누가 실제 지배를 하고 있는지 입니다.
때문에 장기적 차원에서 이런 실효적 지배를 강화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일관된 지적입니다.
현재 40여 명인 상주 인구 수를 늘리고 더 자유로운 접근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인터뷰> 이장희(교수) : "숙박시설 헬기 이착륙장 등 시설 건설해 누구든지 오가며 경제행위 발생시켜 세금 부과...이것이 주권 행위다."
독도 관련 고지도나 사료 발굴 작업도 늦출 수 없는 대책입니다.
최악의 경우지만, 독도 영유권 문제가 국제 문제가 돼 제3자의 판단에 맡겨 질 경우를 대비하는 차원이기도 합니다.
<인터뷰> 이 훈(동북아역사재단 독도연구소장) : "일본이 영토라 주장하는 17세기부터 한일합병까지의 문서 발굴에 주력중..."
일본 지진과 독도 왜곡은 별개로 냉정하게 대응하겠다는 게 정부 입장입니다.
감정적 대응으로 분쟁 지역을 만들겠다는 일본에 빌미를 줘서는 안 되겠지만, 교과서가 나올 때만 반짝하거나 예산이 없어 진행 못 하는 대응이어서는 안 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KBS 뉴스 송현정입니다.
-
-
송현정 기자 hjsong@kbs.co.kr
송현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