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과학벨트 지역 대립 과열”

입력 2011.04.07 (22: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지금 보시는 화면은 우리나라의 미래 성장 동력이 될 국제 과학비즈니스벨트의 모습입니다.



과학벨트는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는데요.



최근 입지 선정부터 원점에서 다시 논의하겠다고 발표해 정치권의 뜨거운 감자가 됐습니다.



특히 동남권 신공항이 백지화되면서 입지 선정이 초미의 관심사인데 과학벨트 위원회가 오늘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갔습니다.



이슈 앤 뉴스 먼저, 이은정 과학전문 기자가 과학벨트가 무엇인지 설명해드립니다.



<리포트>



유럽의 ’실리콘 밸리’로 불리는 독일의 과학 도시 드레스덴.



수천명의 과학자들이 모여 우주를 연구하는 스위스의 입자가속기.



이처럼 과학기술로 세계를 선도하기 위해 정부가 추진하는 초대형 국책사업이 과학 비즈니스벨트입니다.



사업비만 3조 5천억 원에 이릅니다.



과학벨트는 크게 ’중이온 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 ’비즈니스 단지’와 ’국제적인 생활환경 지구’ 등 4가지로 구성됩니다.



특히 중이온 가속기는, 기초 과학과 원전기술 개발의 핵심으로, 해외 석학을 유치하는 상징적인 아이콘입니다.



기초과학연구원에서는 2,500명의 과학자들이, 물리, 화학 등 50개 분야에서 기초 과학을 연구할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연구 성과를 산업체에 연결하는 ’첨단 비즈니스 지구’와 교육, 문화시설 등이 들어섭니다.



과학벨트가 구축되면 앞으로 20년간 200만 명 이상의 고용과 235조 원의 생산 효과가 유발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앵커 멘트>



과학비즈니스벨트를 유치하겠다는 지역간 경쟁도 치열합니다.



당초, 유력 후보지였던 충청권은, 대통령의 공약이 이행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고, 대구 경북, 광주 전남과, 경기는 물론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로 허탈감에 빠진 경남도 그 반대급부를 노리고 있습니다.



여기에다 분산 배치 안까지 나오면서, 과학벨트 유치전은 정치권도 격렬한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들고 있습니다.



곽희섭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중이온 가속기 등 연구원 본부는 대전-충청권에, 연구원 분원 등은 대구와 광주권에, 정부가 과학벨트 분산 배치 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자, 정치권은 술렁였습니다.



한나라당 최고위는 아직 결정된 게 없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충청권 유치를 촉구하는 발언에 험악한 분위기가 연출됐습니다.



<녹취> 박성효(한나라당 최고위원) : "(이 문제가) 정치 범위를 넘어 대통령 인품에까지 번지지 않게 되기를."



<녹취> 안상수(한나라당 대표) : "자꾸 매일 자기 지역 이야기하려면 최고위원 자리 무엇 때문에 앉아 있습니까? 사퇴하든지 하지.."



민주당은 과학벨트가 대구 경북으로 가는 것은 안된다며 충청이전 공약을 지키라고 밝혔습니다.



자유선진당은 배수의 진을 쳤습니다.



분산 배치 발상은 대중 인기 영합주의 정책이라며 공약 실현을 촉구했습니다.



<녹취> 이회창(자유선진당 대표) : "저는 필요하다면, 대표직도 내 놓을 생각입니다."



과학벨트 유치를 희망하는 대구와 광주지역 의원들은 분산 배치 안을 환영했습니다.



<녹취> 김영진(민주당 의원) : "영호남 의원들이 서명한 것을 이제는 공식화하는. 정부에 대정부 건의안을 내는..."



논란이 확산되자, 청와대는 교과부로부터 분산 배치 안을 보고받은 적이 없다며 입지 선정은 과학비즈니스벨트 위원회가 결정할 사안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앵커 멘트>



이런 가운데 과학벨트 위원회가 오늘 첫 회의를 시작했습니다.



이은정 과학전문 기자와 알아보겠습니다.



이기자, 오늘 회의에 대한 관심이 컸는데요?



<답변>



네. 교과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위원회가 본격 가동에 들어갔습니다.



6개 부처 차관과, 민간 전문가 등 20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는, 입지 선정과 설립 규모, 운영 방향 등 모든 사항을 논의하고 결정하게 됩니다.



초미의 관심사인 입지 선정은 빠르면, 다음달, 늦어도 상반기까지 결정됩니다.



또 연말까지는 주요 시설의 배치와 연구단지 규모 등 기본 계획을 심의, 확정합니다.



이렇게 해서 내년 초에 착공을 시작하면 2016년쯤 완공될 예정입니다.



그렇다면, 과학자들이 보는 최적의 입지조건은 무엇인지 유광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과학자들은 나눠 먹기 식의 정치적 타협보다는, 최고의 성과를 낼 수 있는 연구환경이 과학벨트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강조합니다.



<인터뷰> 민경찬(연세대 수학과 교수) : "국가 경쟁력을 키우고자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치적인 이슈보다는 과학적인 이슈로 먼저, 다루는 것이 마땅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과학벨트 분산 배치설에 대해서는 회의적입니다.



<인터뷰> 김제완(서울대 물리천문학부 명예교수) :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많이 모여야지 시너지 효과가 나지, 여기가 있고, 저기에 가 있고 하면 제 생각으론 말이 안됩니다."



전체 연구원의 30%를 차지할 세계적인 석학들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국제공항 등 접근성이 용이해야 합니다.



<인터뷰> 최선호(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 "해외 고급인력들이 접근하기 가장 좋은, 적어도 국제공항에서 2시간 이내 떨어진 거리 그게 제일 좋습니다."



과학계는 종합적인 의견을 수렴해 조만간 정부에 전달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유광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과학벨트 지역 대립 과열”
    • 입력 2011-04-07 22:03:15
    뉴스 9
<앵커 멘트>

지금 보시는 화면은 우리나라의 미래 성장 동력이 될 국제 과학비즈니스벨트의 모습입니다.

과학벨트는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는데요.

최근 입지 선정부터 원점에서 다시 논의하겠다고 발표해 정치권의 뜨거운 감자가 됐습니다.

특히 동남권 신공항이 백지화되면서 입지 선정이 초미의 관심사인데 과학벨트 위원회가 오늘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갔습니다.

이슈 앤 뉴스 먼저, 이은정 과학전문 기자가 과학벨트가 무엇인지 설명해드립니다.

<리포트>

유럽의 ’실리콘 밸리’로 불리는 독일의 과학 도시 드레스덴.

수천명의 과학자들이 모여 우주를 연구하는 스위스의 입자가속기.

이처럼 과학기술로 세계를 선도하기 위해 정부가 추진하는 초대형 국책사업이 과학 비즈니스벨트입니다.

사업비만 3조 5천억 원에 이릅니다.

과학벨트는 크게 ’중이온 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 ’비즈니스 단지’와 ’국제적인 생활환경 지구’ 등 4가지로 구성됩니다.

특히 중이온 가속기는, 기초 과학과 원전기술 개발의 핵심으로, 해외 석학을 유치하는 상징적인 아이콘입니다.

기초과학연구원에서는 2,500명의 과학자들이, 물리, 화학 등 50개 분야에서 기초 과학을 연구할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연구 성과를 산업체에 연결하는 ’첨단 비즈니스 지구’와 교육, 문화시설 등이 들어섭니다.

과학벨트가 구축되면 앞으로 20년간 200만 명 이상의 고용과 235조 원의 생산 효과가 유발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앵커 멘트>

과학비즈니스벨트를 유치하겠다는 지역간 경쟁도 치열합니다.

당초, 유력 후보지였던 충청권은, 대통령의 공약이 이행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고, 대구 경북, 광주 전남과, 경기는 물론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로 허탈감에 빠진 경남도 그 반대급부를 노리고 있습니다.

여기에다 분산 배치 안까지 나오면서, 과학벨트 유치전은 정치권도 격렬한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들고 있습니다.

곽희섭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중이온 가속기 등 연구원 본부는 대전-충청권에, 연구원 분원 등은 대구와 광주권에, 정부가 과학벨트 분산 배치 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자, 정치권은 술렁였습니다.

한나라당 최고위는 아직 결정된 게 없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충청권 유치를 촉구하는 발언에 험악한 분위기가 연출됐습니다.

<녹취> 박성효(한나라당 최고위원) : "(이 문제가) 정치 범위를 넘어 대통령 인품에까지 번지지 않게 되기를."

<녹취> 안상수(한나라당 대표) : "자꾸 매일 자기 지역 이야기하려면 최고위원 자리 무엇 때문에 앉아 있습니까? 사퇴하든지 하지.."

민주당은 과학벨트가 대구 경북으로 가는 것은 안된다며 충청이전 공약을 지키라고 밝혔습니다.

자유선진당은 배수의 진을 쳤습니다.

분산 배치 발상은 대중 인기 영합주의 정책이라며 공약 실현을 촉구했습니다.

<녹취> 이회창(자유선진당 대표) : "저는 필요하다면, 대표직도 내 놓을 생각입니다."

과학벨트 유치를 희망하는 대구와 광주지역 의원들은 분산 배치 안을 환영했습니다.

<녹취> 김영진(민주당 의원) : "영호남 의원들이 서명한 것을 이제는 공식화하는. 정부에 대정부 건의안을 내는..."

논란이 확산되자, 청와대는 교과부로부터 분산 배치 안을 보고받은 적이 없다며 입지 선정은 과학비즈니스벨트 위원회가 결정할 사안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앵커 멘트>

이런 가운데 과학벨트 위원회가 오늘 첫 회의를 시작했습니다.

이은정 과학전문 기자와 알아보겠습니다.

이기자, 오늘 회의에 대한 관심이 컸는데요?

<답변>

네. 교과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위원회가 본격 가동에 들어갔습니다.

6개 부처 차관과, 민간 전문가 등 20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는, 입지 선정과 설립 규모, 운영 방향 등 모든 사항을 논의하고 결정하게 됩니다.

초미의 관심사인 입지 선정은 빠르면, 다음달, 늦어도 상반기까지 결정됩니다.

또 연말까지는 주요 시설의 배치와 연구단지 규모 등 기본 계획을 심의, 확정합니다.

이렇게 해서 내년 초에 착공을 시작하면 2016년쯤 완공될 예정입니다.

그렇다면, 과학자들이 보는 최적의 입지조건은 무엇인지 유광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과학자들은 나눠 먹기 식의 정치적 타협보다는, 최고의 성과를 낼 수 있는 연구환경이 과학벨트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강조합니다.

<인터뷰> 민경찬(연세대 수학과 교수) : "국가 경쟁력을 키우고자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치적인 이슈보다는 과학적인 이슈로 먼저, 다루는 것이 마땅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과학벨트 분산 배치설에 대해서는 회의적입니다.

<인터뷰> 김제완(서울대 물리천문학부 명예교수) :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많이 모여야지 시너지 효과가 나지, 여기가 있고, 저기에 가 있고 하면 제 생각으론 말이 안됩니다."

전체 연구원의 30%를 차지할 세계적인 석학들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국제공항 등 접근성이 용이해야 합니다.

<인터뷰> 최선호(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 "해외 고급인력들이 접근하기 가장 좋은, 적어도 국제공항에서 2시간 이내 떨어진 거리 그게 제일 좋습니다."

과학계는 종합적인 의견을 수렴해 조만간 정부에 전달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유광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