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 바루기] ‘녹차 나물’ 첫 선
입력 2011.05.17 (07:04)
수정 2011.05.17 (07: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녹차 잎은 주로 따뜻한 물에 우려내 마시는데요, 이제 비빔밥이나 부침개처럼 요리를 만들어 먹을 수도 있게 됐습니다.
제주에서 '나물용 녹차'가 개발됐습니다.
허솔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봄나들이 필수품인 김밥과, 노릇노릇 고소함이 느껴지는 부침개, 아이들 입맛에도 꼭 맞는 튀김까지...
모두 향긋한 녹차 나물이 주재료인 요리들입니다.
<인터뷰> 송인관(연구사) : "보쌈고기는 비린내 나는데 녹차나물이랑 같이 하게 되면 냄새를 많이 제거합니다 지방도 쫄깃쫄깃 하게 해주고"
지금껏 차로만 마셨던 녹차가 훌륭한 요리 재료로 변신한 겁니다.
마시는 녹차의 경우 30%의 수용성 성분만 섭취가 가능하지만, 녹차 나물은 지용성과 불용성 성분까지 70%의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고성준(농업기술원장) : "카테킨이라는 좋은 성분이 있는데 차로 음용을 할 때는 한계가 있습니다. 다량으로 섭취할 때는 녹차나물이 더 유리하기 때문에"
나물용 녹차가 되기 위해서는 재배부터 가공까지 전 단계에서 특별한 기술이 필요합니다.
보름 정도 햇빛을 차단해 여리고 짙은 잎을 자라게 한 뒤, 짧은 시간 동안 여러 번 볶고 건조시켜야 녹차 나물이 탄생합니다.
<인터뷰> 김창예(대표이사) : "녹차 음료만 하면 판로가 제한되는데 농민들 입장에서 나물이라는 새로운 상품이 개발되면서 판로가 그만큼 넓어지고 새로운 마켓 틈새시장 개척할 수 있다는"
'녹차 나물'은 이달 말부터 전국 대형매장에서 소비자들을 찾아갈 예정입니다.
KBS 뉴스 허솔지입니다.
녹차 잎은 주로 따뜻한 물에 우려내 마시는데요, 이제 비빔밥이나 부침개처럼 요리를 만들어 먹을 수도 있게 됐습니다.
제주에서 '나물용 녹차'가 개발됐습니다.
허솔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봄나들이 필수품인 김밥과, 노릇노릇 고소함이 느껴지는 부침개, 아이들 입맛에도 꼭 맞는 튀김까지...
모두 향긋한 녹차 나물이 주재료인 요리들입니다.
<인터뷰> 송인관(연구사) : "보쌈고기는 비린내 나는데 녹차나물이랑 같이 하게 되면 냄새를 많이 제거합니다 지방도 쫄깃쫄깃 하게 해주고"
지금껏 차로만 마셨던 녹차가 훌륭한 요리 재료로 변신한 겁니다.
마시는 녹차의 경우 30%의 수용성 성분만 섭취가 가능하지만, 녹차 나물은 지용성과 불용성 성분까지 70%의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고성준(농업기술원장) : "카테킨이라는 좋은 성분이 있는데 차로 음용을 할 때는 한계가 있습니다. 다량으로 섭취할 때는 녹차나물이 더 유리하기 때문에"
나물용 녹차가 되기 위해서는 재배부터 가공까지 전 단계에서 특별한 기술이 필요합니다.
보름 정도 햇빛을 차단해 여리고 짙은 잎을 자라게 한 뒤, 짧은 시간 동안 여러 번 볶고 건조시켜야 녹차 나물이 탄생합니다.
<인터뷰> 김창예(대표이사) : "녹차 음료만 하면 판로가 제한되는데 농민들 입장에서 나물이라는 새로운 상품이 개발되면서 판로가 그만큼 넓어지고 새로운 마켓 틈새시장 개척할 수 있다는"
'녹차 나물'은 이달 말부터 전국 대형매장에서 소비자들을 찾아갈 예정입니다.
KBS 뉴스 허솔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리 몸 바루기] ‘녹차 나물’ 첫 선
-
- 입력 2011-05-17 07:04:04
- 수정2011-05-17 07:57:48

<앵커 멘트>
녹차 잎은 주로 따뜻한 물에 우려내 마시는데요, 이제 비빔밥이나 부침개처럼 요리를 만들어 먹을 수도 있게 됐습니다.
제주에서 '나물용 녹차'가 개발됐습니다.
허솔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봄나들이 필수품인 김밥과, 노릇노릇 고소함이 느껴지는 부침개, 아이들 입맛에도 꼭 맞는 튀김까지...
모두 향긋한 녹차 나물이 주재료인 요리들입니다.
<인터뷰> 송인관(연구사) : "보쌈고기는 비린내 나는데 녹차나물이랑 같이 하게 되면 냄새를 많이 제거합니다 지방도 쫄깃쫄깃 하게 해주고"
지금껏 차로만 마셨던 녹차가 훌륭한 요리 재료로 변신한 겁니다.
마시는 녹차의 경우 30%의 수용성 성분만 섭취가 가능하지만, 녹차 나물은 지용성과 불용성 성분까지 70%의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고성준(농업기술원장) : "카테킨이라는 좋은 성분이 있는데 차로 음용을 할 때는 한계가 있습니다. 다량으로 섭취할 때는 녹차나물이 더 유리하기 때문에"
나물용 녹차가 되기 위해서는 재배부터 가공까지 전 단계에서 특별한 기술이 필요합니다.
보름 정도 햇빛을 차단해 여리고 짙은 잎을 자라게 한 뒤, 짧은 시간 동안 여러 번 볶고 건조시켜야 녹차 나물이 탄생합니다.
<인터뷰> 김창예(대표이사) : "녹차 음료만 하면 판로가 제한되는데 농민들 입장에서 나물이라는 새로운 상품이 개발되면서 판로가 그만큼 넓어지고 새로운 마켓 틈새시장 개척할 수 있다는"
'녹차 나물'은 이달 말부터 전국 대형매장에서 소비자들을 찾아갈 예정입니다.
KBS 뉴스 허솔지입니다.
-
-
허솔지 기자 solji26@kbs.co.kr
허솔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