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생경제] 중국 식품시장 공략…“입맛 잡아라”

입력 2011.05.19 (07:03) 수정 2011.05.19 (07: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경제성장과 더불어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먹을거리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국내 업체들이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상하이에서 원종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임금님의 수라상과 알록달록한 막걸리 칵테일,

손맛이 느껴지는 김치...

한국 식품의 멋과 맛이 펼쳐진 전시장에 중국인들의 발길이 이어집니다.

<인터뷰>주즈젠(참관객) : "중국의 유사 식품과 비교했을 때 입맛이 독특하면서도 아주 좋아요."

중국 최대 식품 박람회에 국내 47개 농식품 업체가 참가했습니다.

70개 참가국 중 최대 규모입니다.

급성장하는 중국 수입식품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입니다.

중국의 지난해 식품 수입 규모는 719억 달러, 해마다 31%씩 커지고 있습니다.

우리에겐 일본에 이어 두 번째 큰 농식품 수출시장이지만, 지난해 수출액은 8억 달러 정도에 불과합니다.

<인터뷰>김재수(농림수산식품부 제1차관) : "건강이나 기능성 이런 측면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면 우리 식품 세계화도 앞당길 수 있고 또 수출 증대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여겨집니다."

이번 박람회엔 세계 70개 나라에서 천 4백여 개 업체가 참가했습니다.

중국의 식품 수입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중국인들의 입맛을 사로잡기 위한 경쟁도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상하이에서 KBS 뉴스 원종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생생경제] 중국 식품시장 공략…“입맛 잡아라”
    • 입력 2011-05-19 07:03:51
    • 수정2011-05-19 07:49:01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경제성장과 더불어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먹을거리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국내 업체들이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상하이에서 원종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임금님의 수라상과 알록달록한 막걸리 칵테일, 손맛이 느껴지는 김치... 한국 식품의 멋과 맛이 펼쳐진 전시장에 중국인들의 발길이 이어집니다. <인터뷰>주즈젠(참관객) : "중국의 유사 식품과 비교했을 때 입맛이 독특하면서도 아주 좋아요." 중국 최대 식품 박람회에 국내 47개 농식품 업체가 참가했습니다. 70개 참가국 중 최대 규모입니다. 급성장하는 중국 수입식품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입니다. 중국의 지난해 식품 수입 규모는 719억 달러, 해마다 31%씩 커지고 있습니다. 우리에겐 일본에 이어 두 번째 큰 농식품 수출시장이지만, 지난해 수출액은 8억 달러 정도에 불과합니다. <인터뷰>김재수(농림수산식품부 제1차관) : "건강이나 기능성 이런 측면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면 우리 식품 세계화도 앞당길 수 있고 또 수출 증대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여겨집니다." 이번 박람회엔 세계 70개 나라에서 천 4백여 개 업체가 참가했습니다. 중국의 식품 수입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중국인들의 입맛을 사로잡기 위한 경쟁도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상하이에서 KBS 뉴스 원종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