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부른 거미줄 전선…전봇대 위험하다!

입력 2011.06.13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어제 서울 주택가에서 멀쩡하던 전신주가 갑자기 쓰러지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인데, 오래된 전신주에 전선이 너무 많이 걸려있어서 그 무게로 쓰러진 게 아니냐는 얘기도 나옵니다.

김도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어제 오후 16m 높이의 전신주 2개가 잇달아 넘어지면서 상가 건물이 부서지고 인근 지역은 8시간 넘게 정전됐습니다.

한전은 외부 충격으로 쓰러졌을 가능성이 크다는 입장입니다.

<인터뷰> 양정권(한전 배전운영팀 차장) : "전선이나 통신선 쪽에 지나가던 화물트럭이나 적재함 쪽이 걸리면서..."

하지만, 통신업체 관계자들은 전신주가 연결된 선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쓰러졌을 수 있다고 말합니다.

통신선 등을 연결해주는 대가로 한전이 연간 천억 이상 임대료 수익을 올리다 보니 전신주가 무게를 감당하기 힘들만큼 많은 선이 연결되고 있다는 겁니다.

<녹취> 케이블 업체 관계자 : "케이블도 있고, 통신도 있고 죽 있을 거 아니에요. 지금 포화상태지."

한전 몰래 연결한 선도 많습니다.

전신주 하나에 최대 12줄까지 통신선을 연결할 수 있지만, 이 전신주에는 20줄이 매달려 있습니다.

<인터뷰> 정종석(사당 4동) : "불안하죠. 이거보다 더 큰 것도 자빠졌는 데 이건 더 많이 매달려 가지고."

더구나 어제 쓰러진 전신주는 1994년 이전에 세워진 낡은 전신주였습니다.

전국의 전신주 820만 개 가운데 이렇게 낡은 전신주가 몇 개나 되는지는 한전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도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고 부른 거미줄 전선…전봇대 위험하다!
    • 입력 2011-06-13 22:02:01
    뉴스 9
<앵커 멘트> 어제 서울 주택가에서 멀쩡하던 전신주가 갑자기 쓰러지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인데, 오래된 전신주에 전선이 너무 많이 걸려있어서 그 무게로 쓰러진 게 아니냐는 얘기도 나옵니다. 김도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어제 오후 16m 높이의 전신주 2개가 잇달아 넘어지면서 상가 건물이 부서지고 인근 지역은 8시간 넘게 정전됐습니다. 한전은 외부 충격으로 쓰러졌을 가능성이 크다는 입장입니다. <인터뷰> 양정권(한전 배전운영팀 차장) : "전선이나 통신선 쪽에 지나가던 화물트럭이나 적재함 쪽이 걸리면서..." 하지만, 통신업체 관계자들은 전신주가 연결된 선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쓰러졌을 수 있다고 말합니다. 통신선 등을 연결해주는 대가로 한전이 연간 천억 이상 임대료 수익을 올리다 보니 전신주가 무게를 감당하기 힘들만큼 많은 선이 연결되고 있다는 겁니다. <녹취> 케이블 업체 관계자 : "케이블도 있고, 통신도 있고 죽 있을 거 아니에요. 지금 포화상태지." 한전 몰래 연결한 선도 많습니다. 전신주 하나에 최대 12줄까지 통신선을 연결할 수 있지만, 이 전신주에는 20줄이 매달려 있습니다. <인터뷰> 정종석(사당 4동) : "불안하죠. 이거보다 더 큰 것도 자빠졌는 데 이건 더 많이 매달려 가지고." 더구나 어제 쓰러진 전신주는 1994년 이전에 세워진 낡은 전신주였습니다. 전국의 전신주 820만 개 가운데 이렇게 낡은 전신주가 몇 개나 되는지는 한전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도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