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정부가 우리금융지주 민영화에서 산은금융지주를 배제하기로 했습니다.
우리금융 인수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왔던 산은 측도 이같은 결정을 받아들이기로 해 자산규모 5백조 원에 이르는 이른바 메가뱅크의 탄생은 무산됐습니다.
김준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우리금융 민영화와 관련해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한발 물러섰습니다.
우리금융 입찰에 산은 금융지주가 참여하지 못하게 하겠다는 겁니다.
정치권 등 각계에서 관치금융의 부활이라며 반대해 온 것을 감당하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김석동 (금융위원장): "국민적 공감대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은 현 시점에서는 산은지주가 금번 우리지주 입찰에 참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입장을 정리했습니다."
산은 지주의 강만수 회장도 정부 입장을 따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강만수(산은금융그룹 회장):"산업은행은 정부 은행으로서 정부의 결정을 따를 뿐입니다."
다만 다른 금융지주회사가 우리금융을 인수하기 쉽도록 인수 지분율을 낮춰주는 법 개정은 계속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신한과 하나금융지주는 불참 의사를 밝혔고, KB금융지주는 분할매각에만 관심이 있는 상황입니다.
최소한 두 곳 이상이 인수전에 참여해야 입찰이 성립하기 때문에, 우리금융 민영화가 다시 한 번 무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준호입니다.
정부가 우리금융지주 민영화에서 산은금융지주를 배제하기로 했습니다.
우리금융 인수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왔던 산은 측도 이같은 결정을 받아들이기로 해 자산규모 5백조 원에 이르는 이른바 메가뱅크의 탄생은 무산됐습니다.
김준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우리금융 민영화와 관련해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한발 물러섰습니다.
우리금융 입찰에 산은 금융지주가 참여하지 못하게 하겠다는 겁니다.
정치권 등 각계에서 관치금융의 부활이라며 반대해 온 것을 감당하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김석동 (금융위원장): "국민적 공감대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은 현 시점에서는 산은지주가 금번 우리지주 입찰에 참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입장을 정리했습니다."
산은 지주의 강만수 회장도 정부 입장을 따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강만수(산은금융그룹 회장):"산업은행은 정부 은행으로서 정부의 결정을 따를 뿐입니다."
다만 다른 금융지주회사가 우리금융을 인수하기 쉽도록 인수 지분율을 낮춰주는 법 개정은 계속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신한과 하나금융지주는 불참 의사를 밝혔고, KB금융지주는 분할매각에만 관심이 있는 상황입니다.
최소한 두 곳 이상이 인수전에 참여해야 입찰이 성립하기 때문에, 우리금융 민영화가 다시 한 번 무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준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은, 우리금융 인수 포기
-
- 입력 2011-06-15 07:05:02

<앵커 멘트>
정부가 우리금융지주 민영화에서 산은금융지주를 배제하기로 했습니다.
우리금융 인수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왔던 산은 측도 이같은 결정을 받아들이기로 해 자산규모 5백조 원에 이르는 이른바 메가뱅크의 탄생은 무산됐습니다.
김준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우리금융 민영화와 관련해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한발 물러섰습니다.
우리금융 입찰에 산은 금융지주가 참여하지 못하게 하겠다는 겁니다.
정치권 등 각계에서 관치금융의 부활이라며 반대해 온 것을 감당하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김석동 (금융위원장): "국민적 공감대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은 현 시점에서는 산은지주가 금번 우리지주 입찰에 참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입장을 정리했습니다."
산은 지주의 강만수 회장도 정부 입장을 따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강만수(산은금융그룹 회장):"산업은행은 정부 은행으로서 정부의 결정을 따를 뿐입니다."
다만 다른 금융지주회사가 우리금융을 인수하기 쉽도록 인수 지분율을 낮춰주는 법 개정은 계속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신한과 하나금융지주는 불참 의사를 밝혔고, KB금융지주는 분할매각에만 관심이 있는 상황입니다.
최소한 두 곳 이상이 인수전에 참여해야 입찰이 성립하기 때문에, 우리금융 민영화가 다시 한 번 무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준호입니다.
-
-
김준호 기자 jhk88@kbs.co.kr
김준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