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비약 ‘슈퍼 판매’ 논란 가열
입력 2011.06.17 (07:53)
수정 2011.06.17 (16: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마시는 소화제 등을 슈퍼에서 팔도록 허용한 정부의 방침에 대해 약사들의 반발이 거셉니다.
약사와 의사, 정부의 갈등이 심각한 상황인데요.
그동안의 논란, 박대기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감기약 슈퍼 판매를 검토하라는 대통령의 지시가 있고 반년이 지나서야 의약품 재분류 안을 내놓은 보건복지부,
국민 불편 해결보다 약사 편들기라고 본 여론은 들끓었습니다.
<인터뷰>경만호(대한의사협회 회장/7일) : "정부가 국민이 아니라 특정 이익집단을 위해 일한다면 정부로서 존재 의미가 없으며..."
급기야 청와대가 다시 나서 재검토를 지시했고, 다음날 보건복지부는 법을 고쳐 약국 외 판매를 추진하겠다고 말을 바꿨습니다.
또, 일부 소화제와 드링크류 등 44개 품목을 슈퍼 등에서 팔게 하겠다고 서둘러 발표했습니다.
이번에는 약사회가 강력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안전성 검토가 제대로 안된 일방적 발표라며 약사회장은 무기한 단식에 들어갔습니다.
<인터뷰>김구(대한약사회 회장) : "청와대에 계신 분도, 우리 옛날에 전국약사대회에서 하신 말씀을, 본인이 하신 말씀을 뒤집어서…."
당장 의약외품으로 갈 44개 제품의 생산액은 천4백억원 규모.
여기에, 법 개정 대상인 감기약, 해열진통제 등은 3천억원 규모입니다.
전체 일반의약품 생산액 2조 5천억원의 20%에 육박합니다.
이에 비해 전문의약품 생산액은 11조원 규모입니다.
약사 측은 전문약과 일반약 비율이 의약분업 당시 6:4였다가 지금은 8:2가 됐다면서, 전문약 일부를 일반약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해 의사 측 반발을 사고 있습니다.
의사,약사 양측 모두 국민의 안전을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갈등의 중심에서 국민은 뒷전으로 밀려나 있습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마시는 소화제 등을 슈퍼에서 팔도록 허용한 정부의 방침에 대해 약사들의 반발이 거셉니다.
약사와 의사, 정부의 갈등이 심각한 상황인데요.
그동안의 논란, 박대기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감기약 슈퍼 판매를 검토하라는 대통령의 지시가 있고 반년이 지나서야 의약품 재분류 안을 내놓은 보건복지부,
국민 불편 해결보다 약사 편들기라고 본 여론은 들끓었습니다.
<인터뷰>경만호(대한의사협회 회장/7일) : "정부가 국민이 아니라 특정 이익집단을 위해 일한다면 정부로서 존재 의미가 없으며..."
급기야 청와대가 다시 나서 재검토를 지시했고, 다음날 보건복지부는 법을 고쳐 약국 외 판매를 추진하겠다고 말을 바꿨습니다.
또, 일부 소화제와 드링크류 등 44개 품목을 슈퍼 등에서 팔게 하겠다고 서둘러 발표했습니다.
이번에는 약사회가 강력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안전성 검토가 제대로 안된 일방적 발표라며 약사회장은 무기한 단식에 들어갔습니다.
<인터뷰>김구(대한약사회 회장) : "청와대에 계신 분도, 우리 옛날에 전국약사대회에서 하신 말씀을, 본인이 하신 말씀을 뒤집어서…."
당장 의약외품으로 갈 44개 제품의 생산액은 천4백억원 규모.
여기에, 법 개정 대상인 감기약, 해열진통제 등은 3천억원 규모입니다.
전체 일반의약품 생산액 2조 5천억원의 20%에 육박합니다.
이에 비해 전문의약품 생산액은 11조원 규모입니다.
약사 측은 전문약과 일반약 비율이 의약분업 당시 6:4였다가 지금은 8:2가 됐다면서, 전문약 일부를 일반약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해 의사 측 반발을 사고 있습니다.
의사,약사 양측 모두 국민의 안전을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갈등의 중심에서 국민은 뒷전으로 밀려나 있습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상비약 ‘슈퍼 판매’ 논란 가열
-
- 입력 2011-06-17 07:53:25
- 수정2011-06-17 16:04:42
<앵커 멘트>
마시는 소화제 등을 슈퍼에서 팔도록 허용한 정부의 방침에 대해 약사들의 반발이 거셉니다.
약사와 의사, 정부의 갈등이 심각한 상황인데요.
그동안의 논란, 박대기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감기약 슈퍼 판매를 검토하라는 대통령의 지시가 있고 반년이 지나서야 의약품 재분류 안을 내놓은 보건복지부,
국민 불편 해결보다 약사 편들기라고 본 여론은 들끓었습니다.
<인터뷰>경만호(대한의사협회 회장/7일) : "정부가 국민이 아니라 특정 이익집단을 위해 일한다면 정부로서 존재 의미가 없으며..."
급기야 청와대가 다시 나서 재검토를 지시했고, 다음날 보건복지부는 법을 고쳐 약국 외 판매를 추진하겠다고 말을 바꿨습니다.
또, 일부 소화제와 드링크류 등 44개 품목을 슈퍼 등에서 팔게 하겠다고 서둘러 발표했습니다.
이번에는 약사회가 강력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안전성 검토가 제대로 안된 일방적 발표라며 약사회장은 무기한 단식에 들어갔습니다.
<인터뷰>김구(대한약사회 회장) : "청와대에 계신 분도, 우리 옛날에 전국약사대회에서 하신 말씀을, 본인이 하신 말씀을 뒤집어서…."
당장 의약외품으로 갈 44개 제품의 생산액은 천4백억원 규모.
여기에, 법 개정 대상인 감기약, 해열진통제 등은 3천억원 규모입니다.
전체 일반의약품 생산액 2조 5천억원의 20%에 육박합니다.
이에 비해 전문의약품 생산액은 11조원 규모입니다.
약사 측은 전문약과 일반약 비율이 의약분업 당시 6:4였다가 지금은 8:2가 됐다면서, 전문약 일부를 일반약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해 의사 측 반발을 사고 있습니다.
의사,약사 양측 모두 국민의 안전을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갈등의 중심에서 국민은 뒷전으로 밀려나 있습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
-
박대기 기자 waiting@kbs.co.kr
박대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