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등록금 OECD 3위…장학금은 하위권
입력 2011.06.21 (13: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국내 대학 등록금이 경제협력 개발기구, OECD 회원국 가운데 3번째로 비싼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정부 장학금과 학자금 대출 비율은 평균치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김성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OECD가 작성한 사회정책 보고서를 보면, 국내 대학 등록금은 34개 OECD 회원국 가운데 3번째로 비쌌습니다.
지난해 발표한 '교육지표 조사'보다 순위는 한 단계 낮아졌지만, 여전히 고 등록금 국가로 분류됐습니다.
반면 정부의 장학금 비율은 공공 교육비의 4.4%로 OECD 평균 11.4%의 절반에도 못 미쳤고 학자금 대출 역시 5.7%로 OECD 평균 8.8%보다 훨씬 낮았습니다.
특히 대학교육에 대한 공공부문 분담 비율이 OECD 평균인 69%에 미달하면서, 대학 교육비의 대부분을 가정이 부담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치열한 대학 입시 경쟁으로 학생들의 스트레스가 높아 창의력과 독창성이 희생되고 있으며, 실업계 학교도 2/3가 대학에 진학해 직업훈련이 취약하다고 분석했습니다.
초. 중등 교육에서는, 학생의 77%가 주당 평균 10시간 정도 학원 강의를 듣고 있다며 사교육비 부담으로 인한 사회적 불균형 심화를 집중 지적했습니다.
OECD는 학원 수업료로 한국의 가정이 한 달 수입의 8%를 지출하고 있으며 , 이는 국내 총생산인 GDP의 2.2%에 해당한다고 추산했습니다.
방한 중인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은 오늘 서울에서 열리는 '글로벌 녹색성장 서밋 2011’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OECD 사회정책 보고서를 공식 발표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성주입니다.
국내 대학 등록금이 경제협력 개발기구, OECD 회원국 가운데 3번째로 비싼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정부 장학금과 학자금 대출 비율은 평균치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김성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OECD가 작성한 사회정책 보고서를 보면, 국내 대학 등록금은 34개 OECD 회원국 가운데 3번째로 비쌌습니다.
지난해 발표한 '교육지표 조사'보다 순위는 한 단계 낮아졌지만, 여전히 고 등록금 국가로 분류됐습니다.
반면 정부의 장학금 비율은 공공 교육비의 4.4%로 OECD 평균 11.4%의 절반에도 못 미쳤고 학자금 대출 역시 5.7%로 OECD 평균 8.8%보다 훨씬 낮았습니다.
특히 대학교육에 대한 공공부문 분담 비율이 OECD 평균인 69%에 미달하면서, 대학 교육비의 대부분을 가정이 부담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치열한 대학 입시 경쟁으로 학생들의 스트레스가 높아 창의력과 독창성이 희생되고 있으며, 실업계 학교도 2/3가 대학에 진학해 직업훈련이 취약하다고 분석했습니다.
초. 중등 교육에서는, 학생의 77%가 주당 평균 10시간 정도 학원 강의를 듣고 있다며 사교육비 부담으로 인한 사회적 불균형 심화를 집중 지적했습니다.
OECD는 학원 수업료로 한국의 가정이 한 달 수입의 8%를 지출하고 있으며 , 이는 국내 총생산인 GDP의 2.2%에 해당한다고 추산했습니다.
방한 중인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은 오늘 서울에서 열리는 '글로벌 녹색성장 서밋 2011’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OECD 사회정책 보고서를 공식 발표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성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학 등록금 OECD 3위…장학금은 하위권
-
- 입력 2011-06-21 13:02:42
<앵커 멘트>
국내 대학 등록금이 경제협력 개발기구, OECD 회원국 가운데 3번째로 비싼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정부 장학금과 학자금 대출 비율은 평균치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김성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OECD가 작성한 사회정책 보고서를 보면, 국내 대학 등록금은 34개 OECD 회원국 가운데 3번째로 비쌌습니다.
지난해 발표한 '교육지표 조사'보다 순위는 한 단계 낮아졌지만, 여전히 고 등록금 국가로 분류됐습니다.
반면 정부의 장학금 비율은 공공 교육비의 4.4%로 OECD 평균 11.4%의 절반에도 못 미쳤고 학자금 대출 역시 5.7%로 OECD 평균 8.8%보다 훨씬 낮았습니다.
특히 대학교육에 대한 공공부문 분담 비율이 OECD 평균인 69%에 미달하면서, 대학 교육비의 대부분을 가정이 부담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치열한 대학 입시 경쟁으로 학생들의 스트레스가 높아 창의력과 독창성이 희생되고 있으며, 실업계 학교도 2/3가 대학에 진학해 직업훈련이 취약하다고 분석했습니다.
초. 중등 교육에서는, 학생의 77%가 주당 평균 10시간 정도 학원 강의를 듣고 있다며 사교육비 부담으로 인한 사회적 불균형 심화를 집중 지적했습니다.
OECD는 학원 수업료로 한국의 가정이 한 달 수입의 8%를 지출하고 있으며 , 이는 국내 총생산인 GDP의 2.2%에 해당한다고 추산했습니다.
방한 중인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은 오늘 서울에서 열리는 '글로벌 녹색성장 서밋 2011’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OECD 사회정책 보고서를 공식 발표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성주입니다.
-
-
김성주 기자 flying94@kbs.co.kr
김성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등록금, 해법을 찾는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