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지구가 따뜻해지면서 한반도 생태지도도 바뀌고 있습니다.
남쪽에서나 볼 법한 새들이 점점 북쪽으로, 삶의 터전을 옮기고 있습니다.
최일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의 한 바닷가.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원들이 갈매기의 생태을 관찰하던 중 특이한 모습의 갈매기 한마리를 촬영합니다.
<녹취> "찰칵!!"
날렵한 몸매에 양 갈래로 갈라진 꼬리.
그 생김새가 마치 제비와 같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큰 제비 갈매기입니다.
<인터뷰> 김진한 (국립생물자원관 박사) : "동남아시아나 호주 연안에 사는 조류입니다. (온난화로 인해) 북상하는 먹이를 따라서 .."
동남 아시아와 제주도에 서식하는 팔색조는 경남 창원에서 발견됐습니다.
나무 밑둥에 마련한 둥지 안.
갓 태어난 새끼들이 어미새를 애타게 찾고 있습니다.
먹이를 물고 나타난 어미새.
실제 몸 색깔은 7가지 이지만 신비감이라는 색깔이 더해져 팔색조라 불립니다.
<인터뷰> 손동훈(낙동강유역환경청) : "도서지역에서는 발견됐지만 육지에서는 발견된 적이 없는 희귀종입니다. 8월에 창원의 한 야산에서... "
남해 도서지방에서 목격되던 희귀새, 삼광조는 최근 강릉의 한 바닷가에서 촬영됐습니다.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를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요즘.
새들의 서식지도도 빠르게 북상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일지입니다.
지구가 따뜻해지면서 한반도 생태지도도 바뀌고 있습니다.
남쪽에서나 볼 법한 새들이 점점 북쪽으로, 삶의 터전을 옮기고 있습니다.
최일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의 한 바닷가.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원들이 갈매기의 생태을 관찰하던 중 특이한 모습의 갈매기 한마리를 촬영합니다.
<녹취> "찰칵!!"
날렵한 몸매에 양 갈래로 갈라진 꼬리.
그 생김새가 마치 제비와 같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큰 제비 갈매기입니다.
<인터뷰> 김진한 (국립생물자원관 박사) : "동남아시아나 호주 연안에 사는 조류입니다. (온난화로 인해) 북상하는 먹이를 따라서 .."
동남 아시아와 제주도에 서식하는 팔색조는 경남 창원에서 발견됐습니다.
나무 밑둥에 마련한 둥지 안.
갓 태어난 새끼들이 어미새를 애타게 찾고 있습니다.
먹이를 물고 나타난 어미새.
실제 몸 색깔은 7가지 이지만 신비감이라는 색깔이 더해져 팔색조라 불립니다.
<인터뷰> 손동훈(낙동강유역환경청) : "도서지역에서는 발견됐지만 육지에서는 발견된 적이 없는 희귀종입니다. 8월에 창원의 한 야산에서... "
남해 도서지방에서 목격되던 희귀새, 삼광조는 최근 강릉의 한 바닷가에서 촬영됐습니다.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를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요즘.
새들의 서식지도도 빠르게 북상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일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구 온난화로 새 서식 지도도 바뀌었다”
-
- 입력 2011-08-23 22:09:31

<앵커 멘트>
지구가 따뜻해지면서 한반도 생태지도도 바뀌고 있습니다.
남쪽에서나 볼 법한 새들이 점점 북쪽으로, 삶의 터전을 옮기고 있습니다.
최일지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의 한 바닷가.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원들이 갈매기의 생태을 관찰하던 중 특이한 모습의 갈매기 한마리를 촬영합니다.
<녹취> "찰칵!!"
날렵한 몸매에 양 갈래로 갈라진 꼬리.
그 생김새가 마치 제비와 같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큰 제비 갈매기입니다.
<인터뷰> 김진한 (국립생물자원관 박사) : "동남아시아나 호주 연안에 사는 조류입니다. (온난화로 인해) 북상하는 먹이를 따라서 .."
동남 아시아와 제주도에 서식하는 팔색조는 경남 창원에서 발견됐습니다.
나무 밑둥에 마련한 둥지 안.
갓 태어난 새끼들이 어미새를 애타게 찾고 있습니다.
먹이를 물고 나타난 어미새.
실제 몸 색깔은 7가지 이지만 신비감이라는 색깔이 더해져 팔색조라 불립니다.
<인터뷰> 손동훈(낙동강유역환경청) : "도서지역에서는 발견됐지만 육지에서는 발견된 적이 없는 희귀종입니다. 8월에 창원의 한 야산에서... "
남해 도서지방에서 목격되던 희귀새, 삼광조는 최근 강릉의 한 바닷가에서 촬영됐습니다.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를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는 요즘.
새들의 서식지도도 빠르게 북상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일지입니다.
-
-
최일지 기자 iljimae@kbs.co.kr
최일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