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발암물질이 들어있는 치과용 보철재료가 시중에 대량으로 유통됐습니다.
시술받은 환자들의 건강이 걱정되는데요.
박대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인공 치아의 뼈대를 만들기 위해 합금을 녹입니다.
임플란트나 충치 치료에 널리 쓰이는 재료입니다.
이런 일부 제품에서 기준치의 80배가 넘는 발암물질 베릴륨이 검출됐습니다.
<녹취>치과 기공사 : "좀 황당했죠. 전국 기공소에서 거의 다 쓰신다고 보셔도 돼요."
치 기공사가 가공 과정에서 분말을 흡입하게 되면 폐암이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그러나 식약청은 이미 가공된 합금의 경우 인체에 직접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시술을 받은 환자들에게는 무해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합금은 지난해에만 백만 명분 이상이 수입됐습니다.
우수한 성능 때문에 국내 점유율이 50%가 넘을 정도입니다.
식약청은 문제의 치과재료를 모두 회수하고 해당 업체의 수입 업무를 6개월 정지시켰습니다.
그러나 이미 시중 치과에는 광범위하게 공급됐습니다.
<인터뷰>김현정(식약청 의료기기관리과장) : "T-3 제품의 시장 점유율이 56% 정도…. 특정 병원에서만 사용된 걸로 보기에는 어렵지 않나 판단됩니다."
식약청은 지난 2008년 발암물질 기준을 강화해 놓고도 기준치 이상의 제품이 수입되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었습니다.
시술받은 환자에게는 해가 없다지만 최근 일고 있는 유해성 논란의 원인을 식약청이 일부 제공했다는 비판은 피할 수 없게 됐습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발암물질이 들어있는 치과용 보철재료가 시중에 대량으로 유통됐습니다.
시술받은 환자들의 건강이 걱정되는데요.
박대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인공 치아의 뼈대를 만들기 위해 합금을 녹입니다.
임플란트나 충치 치료에 널리 쓰이는 재료입니다.
이런 일부 제품에서 기준치의 80배가 넘는 발암물질 베릴륨이 검출됐습니다.
<녹취>치과 기공사 : "좀 황당했죠. 전국 기공소에서 거의 다 쓰신다고 보셔도 돼요."
치 기공사가 가공 과정에서 분말을 흡입하게 되면 폐암이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그러나 식약청은 이미 가공된 합금의 경우 인체에 직접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시술을 받은 환자들에게는 무해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합금은 지난해에만 백만 명분 이상이 수입됐습니다.
우수한 성능 때문에 국내 점유율이 50%가 넘을 정도입니다.
식약청은 문제의 치과재료를 모두 회수하고 해당 업체의 수입 업무를 6개월 정지시켰습니다.
그러나 이미 시중 치과에는 광범위하게 공급됐습니다.
<인터뷰>김현정(식약청 의료기기관리과장) : "T-3 제품의 시장 점유율이 56% 정도…. 특정 병원에서만 사용된 걸로 보기에는 어렵지 않나 판단됩니다."
식약청은 지난 2008년 발암물질 기준을 강화해 놓고도 기준치 이상의 제품이 수입되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었습니다.
시술받은 환자에게는 해가 없다지만 최근 일고 있는 유해성 논란의 원인을 식약청이 일부 제공했다는 비판은 피할 수 없게 됐습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발암물질 치과 재료 대량 유통…“환자 무해”
-
- 입력 2011-08-23 22:09:36

<앵커 멘트>
발암물질이 들어있는 치과용 보철재료가 시중에 대량으로 유통됐습니다.
시술받은 환자들의 건강이 걱정되는데요.
박대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인공 치아의 뼈대를 만들기 위해 합금을 녹입니다.
임플란트나 충치 치료에 널리 쓰이는 재료입니다.
이런 일부 제품에서 기준치의 80배가 넘는 발암물질 베릴륨이 검출됐습니다.
<녹취>치과 기공사 : "좀 황당했죠. 전국 기공소에서 거의 다 쓰신다고 보셔도 돼요."
치 기공사가 가공 과정에서 분말을 흡입하게 되면 폐암이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그러나 식약청은 이미 가공된 합금의 경우 인체에 직접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시술을 받은 환자들에게는 무해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합금은 지난해에만 백만 명분 이상이 수입됐습니다.
우수한 성능 때문에 국내 점유율이 50%가 넘을 정도입니다.
식약청은 문제의 치과재료를 모두 회수하고 해당 업체의 수입 업무를 6개월 정지시켰습니다.
그러나 이미 시중 치과에는 광범위하게 공급됐습니다.
<인터뷰>김현정(식약청 의료기기관리과장) : "T-3 제품의 시장 점유율이 56% 정도…. 특정 병원에서만 사용된 걸로 보기에는 어렵지 않나 판단됩니다."
식약청은 지난 2008년 발암물질 기준을 강화해 놓고도 기준치 이상의 제품이 수입되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었습니다.
시술받은 환자에게는 해가 없다지만 최근 일고 있는 유해성 논란의 원인을 식약청이 일부 제공했다는 비판은 피할 수 없게 됐습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
-
박대기 기자 waiting@kbs.co.kr
박대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