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력충전] 전통의 명약, 인삼의 계절이 왔다
입력 2011.09.06 (09:29)
수정 2011.09.06 (11: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한국 사람이라면 기력이 떨어졌을 때 딱 떠올리는 게 하나 있죠? 힌트로 쌉싸름한 맛입니다.
인삼 말씀이시죠?
이맘때 영양이 꽉 들어찬다는데요.
그래서 가을 인삼은 산삼 부럽지 않다는 말도 있다는데, 막상 어떻게 골라야 좋은 인삼을 살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더군요.
그래서 아침뉴스타임이 현장에 출동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심연희 기자, 인삼 똑똑하게 고르는 법부터 저렴하게 사는 법까지 확실히 알려주신다고요.
<리포트>
네. 인삼은 대표적인 건강식품이죠. 하지만, 좋은 인삼을 고르기는 쉽지 않습니다.
인삼의 주성분인 사포닌 함량이 인삼이 자란 햇수별로 다르다는 건 알고 계실 텐데요.
그런데 정확히 몇 년근에 더 많고 좋은지 궁금한 분들 많으시죠?
오늘 그 궁금증 확실히 해결해 드리고요, 인삼에 대한 오해와 진실도 함께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럼 인삼으로 원기 충전하러 가볼까요?
천 년 된 인삼이 있다는 곳입니다.
<녹취> "그런 게 어디 있어. 천 년 묵은 인삼이 어디 있어. 그런 거 없어!"
<녹취> "아따! 거시기 저기 있다니까. 빨리 가 보라니까, 빨리."
과연 그 실체 궁금해 단숨에 찾아가 봤는데요.
전국에서 구경 온 사람들로 이미 인산인해, 눈빛 반짝이는 거 보이시죠?
<녹취> "대단하다!"
<녹취> "인삼에서 말하자면 할아버지지, 할아버지."
철통 경비 속에 공개된 천 년 인삼, 지난해 발견됐는데, 가치가 어마어마하다고 합니다.
<인터뷰> 김용범(농촌진흥청 인삼과 박사) : "천 년 된 인삼이 실물로 발견되기는 처음이죠. 그래서 가치를 돈으로 환산할 수는 없지만 5억 원 이상의 가치가 있다고 합니다."
어떤가요, 보기만 해도 천 년 인삼의 기운, 느껴지시나요?
<녹취> "우와! 정말 천 년 인삼을 갖고 싶어요. 저거 사 주면 안 되겠어요?"
<녹취> "천 년 인삼을 보니까 백 뿌리, 천 뿌리 정도 먹은 것처럼 기운이 팍팍 솟아나요."
천 년 기운 부럽지 않다는 가을의 인삼밭입니다.
<녹취> "심봤다!"
<녹취> "좋다! 인삼이 좋아서 좋다! 이거 먹고 힘내서 좋다!"
특히 9월, 10월이면, 잎과 줄기의 사포닌이 뿌리로 내려가서 영양이 그만이라는데요,
이 중에서도 좋은 건 또 따로 있답니다.
<인터뷰> 김현정(인삼 농장 운영) : "인삼은 사람 인자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사람 모양처럼 생긴 게 제일 좋아요. 표면이 이렇게 매끈매끈하고 그리고 잔뿌리가 잘 발달 되어 있고 뇌두(인삼 머리)가 짧고 그리고 만졌을 때 굉장히 단단한 느낌, 그런 인삼이 제일 좋은 인삼이에요."
좋은 인삼 찾아 직접 농장을 방문하는 분들도 많은데요,
시중보다 40% 저렴하게 살 수 있다니 가볼 만하겠죠.
<인터뷰> 김현호(인삼 농장 운영) : "일반 소비자들이 4, 5년근보다 6년근이 귀하기 때문에 6년근을 많이 선호하죠."
그런데 구별이 쉽지만은 않죠. 구별 요령 알려 드릴게요!
<녹취> "인삼 머리의 싹이 올라왔던 개수에 2를 더하면 연근 수가 계산되는 거죠. 하나, 두 개 더하기 2를 했을 때 이것은 4년근으로 보는 거거든요."
시장에서도 역시나 다들 6년근을 찾았는데요,
<녹취> "6년근! 6년근! 6년근! 6년근이 좋죠."
<녹취> "남들이 좋다고 하고 6년이 돼야 제대로 된 인삼이라고 생각하니까요."
정말 그런지, 궁금증 해결을 위해 인삼 연구소를 찾아가 봤습니다.
인삼이 자란 햇수별로 사포닌 함량과 효능 검증을 해봤는데요,
과연, 결과가 어떻게 나왔을까요?
<인터뷰> 성낙술(금산국제인삼연구소 소장) : "현대 과학이 밝혀낸 사포닌의 함량으로 볼 때는 4년근과 6년근이 거의 (함량이) 비슷하다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여기서 잠깐! 흔히 인삼은 열 많은 사람은 피해야 한다고도 하잖아요.
하지만, 의견이 분분했는데요,
<녹취> "열이 많은 사람이 (인삼을) 먹으면 열을 더 낸다고 알고 있어요."
<녹취> "남편이 열이 많아서 인삼이 들어간 요리는 잘 안 해먹어요."
정말 열 많은 사람에겐 해로울까요?
<인터뷰> 한은숙(식품영양학 교수) : "아닙니다. 인삼은 혈액순환과 체온을 일정하게 균형을 맞춰 주는 역할을 해서 인삼을 먹으면 열이 오르는 듯한 느낌을 받는 건 일시적인 현상입니다."
이번엔 인삼에 대한 상식을 깨줄 곳, 충남 서천에 가봤는데요,
다들 무슨 잎만 드시고 계세요. 대체 인삼은 어딨나요?
<녹취> "무슨 소리예요. 이건 통째로 먹는 인삼이에요."
통째로 먹는 인삼이 뭔고 하니, 뿌리는 물론 잎에서 줄기까지 먹을 수 있게, 2008년 세계 최초로 개발된 수경 재배 인삼이라는데요,
<인터뷰> 권영성(수경 인삼 농장 운영) : "수경 인삼은 장기간 5, 6년 동안 재배되는 토양 재배 인삼과 달리 배지 수경 방식으로 3~4개월 안에 재배되는 인삼입니다."
단기간에 재배될 수 있는 이유, 이 관에 그 비밀이 숨어있는데요.
관을 따라 물과 수용성 영양분이 배양토 속으로 쏙쏙 스며들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용범(농촌진흥청 인삼과 박사) : "수경 재배 인삼은 잎과 줄기에 비타민C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사포닌 함량도 뿌리보다 8~9배 이상 많이 들어 있어서 좋은 채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인삼 잎을 활용해 샐러드도 만들 수 있으니, 인삼을 더욱 쉽게 즐길 수 있겠죠.
집에서 삼겹살 구워 먹을 때도 쌈에 얹어 봐도 좋을 것 같아요.
<녹취> "쌉싸래하니 삼겹살 맛이 제대로 나고 힘이 솟는 것 같아요"
<녹취> "인삼 먹고 건강하세요."
약효 좋고 귀한 인삼, 이왕이면 좋은 인삼 제대로 골라서 가을 원기 충전 제대로 하세요!
한국 사람이라면 기력이 떨어졌을 때 딱 떠올리는 게 하나 있죠? 힌트로 쌉싸름한 맛입니다.
인삼 말씀이시죠?
이맘때 영양이 꽉 들어찬다는데요.
그래서 가을 인삼은 산삼 부럽지 않다는 말도 있다는데, 막상 어떻게 골라야 좋은 인삼을 살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더군요.
그래서 아침뉴스타임이 현장에 출동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심연희 기자, 인삼 똑똑하게 고르는 법부터 저렴하게 사는 법까지 확실히 알려주신다고요.
<리포트>
네. 인삼은 대표적인 건강식품이죠. 하지만, 좋은 인삼을 고르기는 쉽지 않습니다.
인삼의 주성분인 사포닌 함량이 인삼이 자란 햇수별로 다르다는 건 알고 계실 텐데요.
그런데 정확히 몇 년근에 더 많고 좋은지 궁금한 분들 많으시죠?
오늘 그 궁금증 확실히 해결해 드리고요, 인삼에 대한 오해와 진실도 함께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럼 인삼으로 원기 충전하러 가볼까요?
천 년 된 인삼이 있다는 곳입니다.
<녹취> "그런 게 어디 있어. 천 년 묵은 인삼이 어디 있어. 그런 거 없어!"
<녹취> "아따! 거시기 저기 있다니까. 빨리 가 보라니까, 빨리."
과연 그 실체 궁금해 단숨에 찾아가 봤는데요.
전국에서 구경 온 사람들로 이미 인산인해, 눈빛 반짝이는 거 보이시죠?
<녹취> "대단하다!"
<녹취> "인삼에서 말하자면 할아버지지, 할아버지."
철통 경비 속에 공개된 천 년 인삼, 지난해 발견됐는데, 가치가 어마어마하다고 합니다.
<인터뷰> 김용범(농촌진흥청 인삼과 박사) : "천 년 된 인삼이 실물로 발견되기는 처음이죠. 그래서 가치를 돈으로 환산할 수는 없지만 5억 원 이상의 가치가 있다고 합니다."
어떤가요, 보기만 해도 천 년 인삼의 기운, 느껴지시나요?
<녹취> "우와! 정말 천 년 인삼을 갖고 싶어요. 저거 사 주면 안 되겠어요?"
<녹취> "천 년 인삼을 보니까 백 뿌리, 천 뿌리 정도 먹은 것처럼 기운이 팍팍 솟아나요."
천 년 기운 부럽지 않다는 가을의 인삼밭입니다.
<녹취> "심봤다!"
<녹취> "좋다! 인삼이 좋아서 좋다! 이거 먹고 힘내서 좋다!"
특히 9월, 10월이면, 잎과 줄기의 사포닌이 뿌리로 내려가서 영양이 그만이라는데요,
이 중에서도 좋은 건 또 따로 있답니다.
<인터뷰> 김현정(인삼 농장 운영) : "인삼은 사람 인자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사람 모양처럼 생긴 게 제일 좋아요. 표면이 이렇게 매끈매끈하고 그리고 잔뿌리가 잘 발달 되어 있고 뇌두(인삼 머리)가 짧고 그리고 만졌을 때 굉장히 단단한 느낌, 그런 인삼이 제일 좋은 인삼이에요."
좋은 인삼 찾아 직접 농장을 방문하는 분들도 많은데요,
시중보다 40% 저렴하게 살 수 있다니 가볼 만하겠죠.
<인터뷰> 김현호(인삼 농장 운영) : "일반 소비자들이 4, 5년근보다 6년근이 귀하기 때문에 6년근을 많이 선호하죠."
그런데 구별이 쉽지만은 않죠. 구별 요령 알려 드릴게요!
<녹취> "인삼 머리의 싹이 올라왔던 개수에 2를 더하면 연근 수가 계산되는 거죠. 하나, 두 개 더하기 2를 했을 때 이것은 4년근으로 보는 거거든요."
시장에서도 역시나 다들 6년근을 찾았는데요,
<녹취> "6년근! 6년근! 6년근! 6년근이 좋죠."
<녹취> "남들이 좋다고 하고 6년이 돼야 제대로 된 인삼이라고 생각하니까요."
정말 그런지, 궁금증 해결을 위해 인삼 연구소를 찾아가 봤습니다.
인삼이 자란 햇수별로 사포닌 함량과 효능 검증을 해봤는데요,
과연, 결과가 어떻게 나왔을까요?
<인터뷰> 성낙술(금산국제인삼연구소 소장) : "현대 과학이 밝혀낸 사포닌의 함량으로 볼 때는 4년근과 6년근이 거의 (함량이) 비슷하다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여기서 잠깐! 흔히 인삼은 열 많은 사람은 피해야 한다고도 하잖아요.
하지만, 의견이 분분했는데요,
<녹취> "열이 많은 사람이 (인삼을) 먹으면 열을 더 낸다고 알고 있어요."
<녹취> "남편이 열이 많아서 인삼이 들어간 요리는 잘 안 해먹어요."
정말 열 많은 사람에겐 해로울까요?
<인터뷰> 한은숙(식품영양학 교수) : "아닙니다. 인삼은 혈액순환과 체온을 일정하게 균형을 맞춰 주는 역할을 해서 인삼을 먹으면 열이 오르는 듯한 느낌을 받는 건 일시적인 현상입니다."
이번엔 인삼에 대한 상식을 깨줄 곳, 충남 서천에 가봤는데요,
다들 무슨 잎만 드시고 계세요. 대체 인삼은 어딨나요?
<녹취> "무슨 소리예요. 이건 통째로 먹는 인삼이에요."
통째로 먹는 인삼이 뭔고 하니, 뿌리는 물론 잎에서 줄기까지 먹을 수 있게, 2008년 세계 최초로 개발된 수경 재배 인삼이라는데요,
<인터뷰> 권영성(수경 인삼 농장 운영) : "수경 인삼은 장기간 5, 6년 동안 재배되는 토양 재배 인삼과 달리 배지 수경 방식으로 3~4개월 안에 재배되는 인삼입니다."
단기간에 재배될 수 있는 이유, 이 관에 그 비밀이 숨어있는데요.
관을 따라 물과 수용성 영양분이 배양토 속으로 쏙쏙 스며들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용범(농촌진흥청 인삼과 박사) : "수경 재배 인삼은 잎과 줄기에 비타민C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사포닌 함량도 뿌리보다 8~9배 이상 많이 들어 있어서 좋은 채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인삼 잎을 활용해 샐러드도 만들 수 있으니, 인삼을 더욱 쉽게 즐길 수 있겠죠.
집에서 삼겹살 구워 먹을 때도 쌈에 얹어 봐도 좋을 것 같아요.
<녹취> "쌉싸래하니 삼겹살 맛이 제대로 나고 힘이 솟는 것 같아요"
<녹취> "인삼 먹고 건강하세요."
약효 좋고 귀한 인삼, 이왕이면 좋은 인삼 제대로 골라서 가을 원기 충전 제대로 하세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활력충전] 전통의 명약, 인삼의 계절이 왔다
-
- 입력 2011-09-06 09:29:53
- 수정2011-09-06 11:27:02
![](/data/news/2011/09/06/2352165_170.jpg)
<앵커 멘트>
한국 사람이라면 기력이 떨어졌을 때 딱 떠올리는 게 하나 있죠? 힌트로 쌉싸름한 맛입니다.
인삼 말씀이시죠?
이맘때 영양이 꽉 들어찬다는데요.
그래서 가을 인삼은 산삼 부럽지 않다는 말도 있다는데, 막상 어떻게 골라야 좋은 인삼을 살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더군요.
그래서 아침뉴스타임이 현장에 출동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심연희 기자, 인삼 똑똑하게 고르는 법부터 저렴하게 사는 법까지 확실히 알려주신다고요.
<리포트>
네. 인삼은 대표적인 건강식품이죠. 하지만, 좋은 인삼을 고르기는 쉽지 않습니다.
인삼의 주성분인 사포닌 함량이 인삼이 자란 햇수별로 다르다는 건 알고 계실 텐데요.
그런데 정확히 몇 년근에 더 많고 좋은지 궁금한 분들 많으시죠?
오늘 그 궁금증 확실히 해결해 드리고요, 인삼에 대한 오해와 진실도 함께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럼 인삼으로 원기 충전하러 가볼까요?
천 년 된 인삼이 있다는 곳입니다.
<녹취> "그런 게 어디 있어. 천 년 묵은 인삼이 어디 있어. 그런 거 없어!"
<녹취> "아따! 거시기 저기 있다니까. 빨리 가 보라니까, 빨리."
과연 그 실체 궁금해 단숨에 찾아가 봤는데요.
전국에서 구경 온 사람들로 이미 인산인해, 눈빛 반짝이는 거 보이시죠?
<녹취> "대단하다!"
<녹취> "인삼에서 말하자면 할아버지지, 할아버지."
철통 경비 속에 공개된 천 년 인삼, 지난해 발견됐는데, 가치가 어마어마하다고 합니다.
<인터뷰> 김용범(농촌진흥청 인삼과 박사) : "천 년 된 인삼이 실물로 발견되기는 처음이죠. 그래서 가치를 돈으로 환산할 수는 없지만 5억 원 이상의 가치가 있다고 합니다."
어떤가요, 보기만 해도 천 년 인삼의 기운, 느껴지시나요?
<녹취> "우와! 정말 천 년 인삼을 갖고 싶어요. 저거 사 주면 안 되겠어요?"
<녹취> "천 년 인삼을 보니까 백 뿌리, 천 뿌리 정도 먹은 것처럼 기운이 팍팍 솟아나요."
천 년 기운 부럽지 않다는 가을의 인삼밭입니다.
<녹취> "심봤다!"
<녹취> "좋다! 인삼이 좋아서 좋다! 이거 먹고 힘내서 좋다!"
특히 9월, 10월이면, 잎과 줄기의 사포닌이 뿌리로 내려가서 영양이 그만이라는데요,
이 중에서도 좋은 건 또 따로 있답니다.
<인터뷰> 김현정(인삼 농장 운영) : "인삼은 사람 인자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사람 모양처럼 생긴 게 제일 좋아요. 표면이 이렇게 매끈매끈하고 그리고 잔뿌리가 잘 발달 되어 있고 뇌두(인삼 머리)가 짧고 그리고 만졌을 때 굉장히 단단한 느낌, 그런 인삼이 제일 좋은 인삼이에요."
좋은 인삼 찾아 직접 농장을 방문하는 분들도 많은데요,
시중보다 40% 저렴하게 살 수 있다니 가볼 만하겠죠.
<인터뷰> 김현호(인삼 농장 운영) : "일반 소비자들이 4, 5년근보다 6년근이 귀하기 때문에 6년근을 많이 선호하죠."
그런데 구별이 쉽지만은 않죠. 구별 요령 알려 드릴게요!
<녹취> "인삼 머리의 싹이 올라왔던 개수에 2를 더하면 연근 수가 계산되는 거죠. 하나, 두 개 더하기 2를 했을 때 이것은 4년근으로 보는 거거든요."
시장에서도 역시나 다들 6년근을 찾았는데요,
<녹취> "6년근! 6년근! 6년근! 6년근이 좋죠."
<녹취> "남들이 좋다고 하고 6년이 돼야 제대로 된 인삼이라고 생각하니까요."
정말 그런지, 궁금증 해결을 위해 인삼 연구소를 찾아가 봤습니다.
인삼이 자란 햇수별로 사포닌 함량과 효능 검증을 해봤는데요,
과연, 결과가 어떻게 나왔을까요?
<인터뷰> 성낙술(금산국제인삼연구소 소장) : "현대 과학이 밝혀낸 사포닌의 함량으로 볼 때는 4년근과 6년근이 거의 (함량이) 비슷하다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여기서 잠깐! 흔히 인삼은 열 많은 사람은 피해야 한다고도 하잖아요.
하지만, 의견이 분분했는데요,
<녹취> "열이 많은 사람이 (인삼을) 먹으면 열을 더 낸다고 알고 있어요."
<녹취> "남편이 열이 많아서 인삼이 들어간 요리는 잘 안 해먹어요."
정말 열 많은 사람에겐 해로울까요?
<인터뷰> 한은숙(식품영양학 교수) : "아닙니다. 인삼은 혈액순환과 체온을 일정하게 균형을 맞춰 주는 역할을 해서 인삼을 먹으면 열이 오르는 듯한 느낌을 받는 건 일시적인 현상입니다."
이번엔 인삼에 대한 상식을 깨줄 곳, 충남 서천에 가봤는데요,
다들 무슨 잎만 드시고 계세요. 대체 인삼은 어딨나요?
<녹취> "무슨 소리예요. 이건 통째로 먹는 인삼이에요."
통째로 먹는 인삼이 뭔고 하니, 뿌리는 물론 잎에서 줄기까지 먹을 수 있게, 2008년 세계 최초로 개발된 수경 재배 인삼이라는데요,
<인터뷰> 권영성(수경 인삼 농장 운영) : "수경 인삼은 장기간 5, 6년 동안 재배되는 토양 재배 인삼과 달리 배지 수경 방식으로 3~4개월 안에 재배되는 인삼입니다."
단기간에 재배될 수 있는 이유, 이 관에 그 비밀이 숨어있는데요.
관을 따라 물과 수용성 영양분이 배양토 속으로 쏙쏙 스며들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용범(농촌진흥청 인삼과 박사) : "수경 재배 인삼은 잎과 줄기에 비타민C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사포닌 함량도 뿌리보다 8~9배 이상 많이 들어 있어서 좋은 채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인삼 잎을 활용해 샐러드도 만들 수 있으니, 인삼을 더욱 쉽게 즐길 수 있겠죠.
집에서 삼겹살 구워 먹을 때도 쌈에 얹어 봐도 좋을 것 같아요.
<녹취> "쌉싸래하니 삼겹살 맛이 제대로 나고 힘이 솟는 것 같아요"
<녹취> "인삼 먹고 건강하세요."
약효 좋고 귀한 인삼, 이왕이면 좋은 인삼 제대로 골라서 가을 원기 충전 제대로 하세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