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적조 퇴치 청신호

입력 2001.09.09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죽음의 바다를 만드는 적조가 강원도 강릉 앞바다까지 확산되면서 피해 규모가 100억원이 넘어설 것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적조생물을 제거하는 새로운 미생물이 개발돼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한기봉 기자입니다.
⊙기자: 적조가 동해안 강릉까지 빠른 속도로 북상했습니다.
피해규모도 지난 96년 이후 가장 커 100억원이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황토를 이용해 적조 제거작업을 벌이지만 피해규모가 워낙 커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습니다.
⊙피해 어민: 황토를 뿌려도 효과가 별로 없습니다.
너무 독성이 강해서 그런지 거의 전멸하다시피합니다.
⊙기자: 이에 따라 천적생물을 이용한 적조제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적조생물인 코클로디니움을 죽일 수 있는 천연미생물이 발견됐습니다.
천연미생물은 대량생산이 힘들어 실제로 이용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적조를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대량생산이 가능한 새로운 물질이 개발됐습니다.
인하대학교 생물공학연구진은 옥수수와 콩을 원료로 신기술을 이용해 미생물 GL을 만들어냈습니다.
GL은 적조생물의 세포구조와 비슷해 적조생물의 세포벽에 달라붙은 뒤 세포막을 파괴하고 죽입니다.
⊙김은기(인하대 생물공학과 교수): 소량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누구라도 쉽게 뿌릴 수 있는 그런 장점이 있습니다.
즉 황토 같은 것은 대량으로 뿌려야 되지만 소량으로 살포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기자: 생산비용은 1kg에 6000원으로 황토 살포비용보다 2배 정도 비싸지만 대량 생산 체제가 구축되면 더욱 낮아져 적조제거는 현실적으로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KBS뉴스 한기봉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강원도 적조 퇴치 청신호
    • 입력 2001-09-09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죽음의 바다를 만드는 적조가 강원도 강릉 앞바다까지 확산되면서 피해 규모가 100억원이 넘어설 것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적조생물을 제거하는 새로운 미생물이 개발돼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한기봉 기자입니다. ⊙기자: 적조가 동해안 강릉까지 빠른 속도로 북상했습니다. 피해규모도 지난 96년 이후 가장 커 100억원이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황토를 이용해 적조 제거작업을 벌이지만 피해규모가 워낙 커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습니다. ⊙피해 어민: 황토를 뿌려도 효과가 별로 없습니다. 너무 독성이 강해서 그런지 거의 전멸하다시피합니다. ⊙기자: 이에 따라 천적생물을 이용한 적조제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적조생물인 코클로디니움을 죽일 수 있는 천연미생물이 발견됐습니다. 천연미생물은 대량생산이 힘들어 실제로 이용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적조를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대량생산이 가능한 새로운 물질이 개발됐습니다. 인하대학교 생물공학연구진은 옥수수와 콩을 원료로 신기술을 이용해 미생물 GL을 만들어냈습니다. GL은 적조생물의 세포구조와 비슷해 적조생물의 세포벽에 달라붙은 뒤 세포막을 파괴하고 죽입니다. ⊙김은기(인하대 생물공학과 교수): 소량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누구라도 쉽게 뿌릴 수 있는 그런 장점이 있습니다. 즉 황토 같은 것은 대량으로 뿌려야 되지만 소량으로 살포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기자: 생산비용은 1kg에 6000원으로 황토 살포비용보다 2배 정도 비싸지만 대량 생산 체제가 구축되면 더욱 낮아져 적조제거는 현실적으로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KBS뉴스 한기봉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