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광주광역시에 인접한 무등산이 국립공원으로 승격됩니다.
희귀 동식물이 다수 서식하는 등 자연자원의 보호 상태가 아주 우수하기 때문입니다. 함 철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해발 1187m.
광주 무등산 정상엔 신갈나무 군락이 끝도 없이 펼쳐져 있습니다.
녹지자연도 8등급으로 최상의 원시상태 모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깎아지르듯 서있는 천연 기념물 주상절리대는 자연의 신비를 간직하고 있습니다.
중생기 백악기 때 용암이 지표에서 냉각되면서 생겨난 것으로 고산지대 있는 것으론 국내에서 유일합니다.
또 수달과 삵이 서식하는 등 멸종위기 1,2급 동물이 29종에 달합니다.
20년 전 도립공원으로 지정돼 보존이 이뤄지면서 이제는 국립공원으로서의 가치가 충분하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녹취> 송재웅(영산강유역환경청 과장) : "대도시와 인접한 천 미터 이상의 고도를 가진 생태학적으로나 지정학적으로 아주 가치가 높은 중요한 산입니다."
국립공원화 논의는 광주시와 주민들이 지난해 승격을 건의하면서 급물살을 탔습니다.
<녹취> 강운태(광주광역시장) : "국립공원으로 승격되는 것이 너무도 당연하다는 생각을 갖고 시민들의 총의를 모아서 신청하게 됐습니다."
환경부는 국립공원 선정 뒤 초기 3년 동안은 100억 원을 투자해 대대적으로 정비할 계획입니다.
<녹취> 등산객 : "외지 사람들이 더 많이 찾을 것 같고요. 광주 발전에도 훨씬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무등산은 국립공원으론 21번째며 지난 88년 월출산과 변산 이후 23년 만입니다.
무등산의 국립공원 승격이 사실상 확정됨에 따라 태백산과 DMZ에 대한 국립공원화 논의가 더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KBS 뉴스 함철입니다.
광주광역시에 인접한 무등산이 국립공원으로 승격됩니다.
희귀 동식물이 다수 서식하는 등 자연자원의 보호 상태가 아주 우수하기 때문입니다. 함 철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해발 1187m.
광주 무등산 정상엔 신갈나무 군락이 끝도 없이 펼쳐져 있습니다.
녹지자연도 8등급으로 최상의 원시상태 모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깎아지르듯 서있는 천연 기념물 주상절리대는 자연의 신비를 간직하고 있습니다.
중생기 백악기 때 용암이 지표에서 냉각되면서 생겨난 것으로 고산지대 있는 것으론 국내에서 유일합니다.
또 수달과 삵이 서식하는 등 멸종위기 1,2급 동물이 29종에 달합니다.
20년 전 도립공원으로 지정돼 보존이 이뤄지면서 이제는 국립공원으로서의 가치가 충분하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녹취> 송재웅(영산강유역환경청 과장) : "대도시와 인접한 천 미터 이상의 고도를 가진 생태학적으로나 지정학적으로 아주 가치가 높은 중요한 산입니다."
국립공원화 논의는 광주시와 주민들이 지난해 승격을 건의하면서 급물살을 탔습니다.
<녹취> 강운태(광주광역시장) : "국립공원으로 승격되는 것이 너무도 당연하다는 생각을 갖고 시민들의 총의를 모아서 신청하게 됐습니다."
환경부는 국립공원 선정 뒤 초기 3년 동안은 100억 원을 투자해 대대적으로 정비할 계획입니다.
<녹취> 등산객 : "외지 사람들이 더 많이 찾을 것 같고요. 광주 발전에도 훨씬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무등산은 국립공원으론 21번째며 지난 88년 월출산과 변산 이후 23년 만입니다.
무등산의 국립공원 승격이 사실상 확정됨에 따라 태백산과 DMZ에 대한 국립공원화 논의가 더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KBS 뉴스 함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무등산 국립공원으로 승격 된다
-
- 입력 2011-12-19 07:09:05

<앵커 멘트>
광주광역시에 인접한 무등산이 국립공원으로 승격됩니다.
희귀 동식물이 다수 서식하는 등 자연자원의 보호 상태가 아주 우수하기 때문입니다. 함 철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해발 1187m.
광주 무등산 정상엔 신갈나무 군락이 끝도 없이 펼쳐져 있습니다.
녹지자연도 8등급으로 최상의 원시상태 모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깎아지르듯 서있는 천연 기념물 주상절리대는 자연의 신비를 간직하고 있습니다.
중생기 백악기 때 용암이 지표에서 냉각되면서 생겨난 것으로 고산지대 있는 것으론 국내에서 유일합니다.
또 수달과 삵이 서식하는 등 멸종위기 1,2급 동물이 29종에 달합니다.
20년 전 도립공원으로 지정돼 보존이 이뤄지면서 이제는 국립공원으로서의 가치가 충분하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녹취> 송재웅(영산강유역환경청 과장) : "대도시와 인접한 천 미터 이상의 고도를 가진 생태학적으로나 지정학적으로 아주 가치가 높은 중요한 산입니다."
국립공원화 논의는 광주시와 주민들이 지난해 승격을 건의하면서 급물살을 탔습니다.
<녹취> 강운태(광주광역시장) : "국립공원으로 승격되는 것이 너무도 당연하다는 생각을 갖고 시민들의 총의를 모아서 신청하게 됐습니다."
환경부는 국립공원 선정 뒤 초기 3년 동안은 100억 원을 투자해 대대적으로 정비할 계획입니다.
<녹취> 등산객 : "외지 사람들이 더 많이 찾을 것 같고요. 광주 발전에도 훨씬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무등산은 국립공원으론 21번째며 지난 88년 월출산과 변산 이후 23년 만입니다.
무등산의 국립공원 승격이 사실상 확정됨에 따라 태백산과 DMZ에 대한 국립공원화 논의가 더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KBS 뉴스 함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