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위기의 PF대출 사업…해법은?

입력 2012.02.24 (22:01) 수정 2012.02.24 (22: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현재 사업이 난관에 봉착한 공모형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사업들을 지도로 표시해 봤습니다.



서울,경기 등 수도권의 사업 규모만 66조 4천억 원에 이르고 전국적으로는 31개 사업, 81조 원에 달합니다.



여기에다 사실상 좌초 위기에 빠진 민간 PF사업들까지 합친다면, 총 규모는 100조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됩니다.



먼저, PF 사업의 현주소를 홍석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년전 개장한 포천의 한 골프장.



그린은 텅 비었고 클럽하우스는 굳게 닫혀 있습니다.



<녹취> "아무도 안 계세요?"



PF 대출 1400억 원으로 골프장을 지었지만 회원권이 팔리지 않자 워크아웃에 들어갔습니다.



<녹취> 관리용역회사 관계자 : "저희는 용역회사라 여기 들어와있는데 전기도 끊겨있고 갑갑하죠."



이 골프장은 짓다 말고 3년째 흉물처럼 방치돼 있습니다.



역시 공사비를 PF 대출로 끌어 쓴 것이 화근입니다.



공사중단이나 도산이 현실화되면서 상당수 골프장에서 PF뇌관이 터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져가고 있습니다.



공공기관의 땅에 민간이 건물을 짓는 공모형 PF사업도 골칫거립니다.



10만 제곱미터 부지에 주상복합과 호텔 등이 들어설 파주 운정지구.



사업개시 5년이 지나도록 기초공사도 시작하지 못했습니다.



미분양이 예상되자 금융권이 발을 뺀 겁니다.



<녹취> 건설사 관계자(음성변조) : "연대보증이 많이 쌓였고요. 금융위기가 터지고 나니 자금 흐름에 있어서도 큰 문제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전국 곳곳에서 사업의 지연이나 중단이 잇따르면서 한때 각광받던 PF사업이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처럼 곳곳에서 PF 사업이 좌초위기에 처하면서 막대한 자금을 투입한 건설사와 은행들도 함께 부실화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스튜디오에서 정창준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멘트>



제가 서 있는 이곳은 경기도 남양주의 한 복합단지 개발지굽니다.



계획대로라면 주상복합과 상가 공사가 시작됐어야 하지만 보시다시피 준설토사만이 쌓여 있습니다.



이처럼 자금조달을 못해 중단되는 사업장이 속출하면서 건설사들이 무너지고 있습니다.



국내 100대 건설사 가운데 무려 22곳이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 신세입니다.



이는 곧 금융권의 동반 부실로 이어지고 있는데요.



지난해말 기준으로 전체 금융권의 PF 대출 잔액이 59조원에 이릅니다.



가장 문제가 되는 곳은 저축은행들입니다.



업계 수위권 저축은행들도 PF대출 가운데 사실상의 부실대출 비율이 30%를 넘어섰고 PF 대출 연체율이 40%를 넘기도 합니다.



건설사와 저축은행들의 생존 문제로까지 확대된 PF 부실 문제... 돌파구는 없을까요?



사업 좌초 위기에서 해법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사업장들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단일 개발사업으로는 최대 규모인 용산역세권 사업 현장...



철거작업과 동시에 기초공사가 한창입니다.



땅 주인인 코레일이 2조 3천억 원의 대금 납부기한을 연장해주고 출자사들도 4천억 원을 유상증자하면서 사업에 돌파구가 열렸습니다.



<인터뷰> 서희석(용산역세권 개발 부장) : "코레일이 4조 2천억원에 해당하는 랜드마크 타워를 선매입해 자금 유동성 확보에 도움을 주었습니다."



주상 복합개발단지 알파돔시티는 올해 상반기 착공합니다.



주상복합과 업무지구 등을 일괄공사할 것을 주장하던 공공기관이 사업성 있는 주상복합부터 먼저 공사하자는 민간 사업자의 요구를 받아들이면서 해법을 찾았습니다.



<인터뷰> 김재권(알파돔시티 자산관리) : "주상복합 조달 재원으로 나머지 사업 재원을 할 수 있기때문에 먼저 추진하고 있습니다."



냉철한 사업성 판단이 시급합니다.



잘못된 수요 예측으로 규모가 부풀려진 곳들은 사업 규모를 축소해 회생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김선덕(건설산업전략연구소장) : "업체들이 위험요인을 안고 부풀리는 수요를 믿고 한 측면도 있지만 도시계획,수요예측이 부풀려진 측면도 있습니다."



하지만 회생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사업은 하루라도 일찍 포기하는 것이 그나마 차선입니다.



각 사업주체들이 수익 뿐만 아니라 손실까지 분담한다는 상생의 전략이 PF 부실화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최선의 방안입니다.



KBS 뉴스 정창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위기의 PF대출 사업…해법은?
    • 입력 2012-02-24 22:01:17
    • 수정2012-02-24 22:09:34
    뉴스 9
<앵커 멘트>

현재 사업이 난관에 봉착한 공모형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사업들을 지도로 표시해 봤습니다.

서울,경기 등 수도권의 사업 규모만 66조 4천억 원에 이르고 전국적으로는 31개 사업, 81조 원에 달합니다.

여기에다 사실상 좌초 위기에 빠진 민간 PF사업들까지 합친다면, 총 규모는 100조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됩니다.

먼저, PF 사업의 현주소를 홍석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년전 개장한 포천의 한 골프장.

그린은 텅 비었고 클럽하우스는 굳게 닫혀 있습니다.

<녹취> "아무도 안 계세요?"

PF 대출 1400억 원으로 골프장을 지었지만 회원권이 팔리지 않자 워크아웃에 들어갔습니다.

<녹취> 관리용역회사 관계자 : "저희는 용역회사라 여기 들어와있는데 전기도 끊겨있고 갑갑하죠."

이 골프장은 짓다 말고 3년째 흉물처럼 방치돼 있습니다.

역시 공사비를 PF 대출로 끌어 쓴 것이 화근입니다.

공사중단이나 도산이 현실화되면서 상당수 골프장에서 PF뇌관이 터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져가고 있습니다.

공공기관의 땅에 민간이 건물을 짓는 공모형 PF사업도 골칫거립니다.

10만 제곱미터 부지에 주상복합과 호텔 등이 들어설 파주 운정지구.

사업개시 5년이 지나도록 기초공사도 시작하지 못했습니다.

미분양이 예상되자 금융권이 발을 뺀 겁니다.

<녹취> 건설사 관계자(음성변조) : "연대보증이 많이 쌓였고요. 금융위기가 터지고 나니 자금 흐름에 있어서도 큰 문제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전국 곳곳에서 사업의 지연이나 중단이 잇따르면서 한때 각광받던 PF사업이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처럼 곳곳에서 PF 사업이 좌초위기에 처하면서 막대한 자금을 투입한 건설사와 은행들도 함께 부실화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스튜디오에서 정창준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멘트>

제가 서 있는 이곳은 경기도 남양주의 한 복합단지 개발지굽니다.

계획대로라면 주상복합과 상가 공사가 시작됐어야 하지만 보시다시피 준설토사만이 쌓여 있습니다.

이처럼 자금조달을 못해 중단되는 사업장이 속출하면서 건설사들이 무너지고 있습니다.

국내 100대 건설사 가운데 무려 22곳이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 신세입니다.

이는 곧 금융권의 동반 부실로 이어지고 있는데요.

지난해말 기준으로 전체 금융권의 PF 대출 잔액이 59조원에 이릅니다.

가장 문제가 되는 곳은 저축은행들입니다.

업계 수위권 저축은행들도 PF대출 가운데 사실상의 부실대출 비율이 30%를 넘어섰고 PF 대출 연체율이 40%를 넘기도 합니다.

건설사와 저축은행들의 생존 문제로까지 확대된 PF 부실 문제... 돌파구는 없을까요?

사업 좌초 위기에서 해법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사업장들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단일 개발사업으로는 최대 규모인 용산역세권 사업 현장...

철거작업과 동시에 기초공사가 한창입니다.

땅 주인인 코레일이 2조 3천억 원의 대금 납부기한을 연장해주고 출자사들도 4천억 원을 유상증자하면서 사업에 돌파구가 열렸습니다.

<인터뷰> 서희석(용산역세권 개발 부장) : "코레일이 4조 2천억원에 해당하는 랜드마크 타워를 선매입해 자금 유동성 확보에 도움을 주었습니다."

주상 복합개발단지 알파돔시티는 올해 상반기 착공합니다.

주상복합과 업무지구 등을 일괄공사할 것을 주장하던 공공기관이 사업성 있는 주상복합부터 먼저 공사하자는 민간 사업자의 요구를 받아들이면서 해법을 찾았습니다.

<인터뷰> 김재권(알파돔시티 자산관리) : "주상복합 조달 재원으로 나머지 사업 재원을 할 수 있기때문에 먼저 추진하고 있습니다."

냉철한 사업성 판단이 시급합니다.

잘못된 수요 예측으로 규모가 부풀려진 곳들은 사업 규모를 축소해 회생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김선덕(건설산업전략연구소장) : "업체들이 위험요인을 안고 부풀리는 수요를 믿고 한 측면도 있지만 도시계획,수요예측이 부풀려진 측면도 있습니다."

하지만 회생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사업은 하루라도 일찍 포기하는 것이 그나마 차선입니다.

각 사업주체들이 수익 뿐만 아니라 손실까지 분담한다는 상생의 전략이 PF 부실화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최선의 방안입니다.

KBS 뉴스 정창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