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들고 고쳐 입는 ‘슬로패션’

입력 2012.02.27 (09:17) 수정 2012.02.27 (17: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무대에서 선보인 이 옷들.

새 옷이 아닙니다.

모두 버린 옷을 고쳐서 만든 것들입니다.

이처럼 패스트패션에 맞서 옷의 생산과 소비속도를 한발 늦춰 보자는 이른바 '슬로패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이해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재봉틀 소리가 쉴새없이 이어집니다.

자신이 입을 옷을 손수 만드는 중입니다.

<녹취> "초크로 표시해서 손바느질로 해주세요"

사 입는 옷과는 다른 멋이 있습니다.

<인터뷰> 노재인(서울시 신림동) : "제가 만든 옷이라 입을수록 정이 들고요"

재봉틀은 물론 옷감과 부자재까지.

이렇게 옷 만드는 재료를 한 곳에서 구입할 수 있는 가게도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천연 염색과 자연 소재 섬유를 고집해 더디게 만들어지는 기성복들입니다.

그래도 소비자를 끌어 모으며 전국의 매장이 40개에 육박합니다.

<인터뷰> 장은숙(의류업체 팀장) : "옷이 쓰레기로 낭비되는 게 아니라 오래 두고 오래 간직해서 입을 수 있는 옷을 만들고 있습니다."

패스트패션 열풍이 지나간 미국에서는 1년 동안 한 종류 옷만 입자는 캠페인까지 생겨났습니다.

국내에서도 버려진 옷을 가방으로 재탄생시키는 등 옷의 수명연장이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인터뷰> 황용운(아름다운 가게 간사) : "빨리 빨리 디자인이 바뀌니까 버려지는 것들이 너무 아깝기 때문에 그런 부분을 되살리고 있습니다."

패스트패션의 공세에 맞서 낭비와 환경 파괴를 줄이자는 '슬로패션'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해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만들고 고쳐 입는 ‘슬로패션’
    • 입력 2012-02-27 09:17:43
    • 수정2012-02-27 17:03:53
    아침뉴스타임
<앵커 멘트> 무대에서 선보인 이 옷들. 새 옷이 아닙니다. 모두 버린 옷을 고쳐서 만든 것들입니다. 이처럼 패스트패션에 맞서 옷의 생산과 소비속도를 한발 늦춰 보자는 이른바 '슬로패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이해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재봉틀 소리가 쉴새없이 이어집니다. 자신이 입을 옷을 손수 만드는 중입니다. <녹취> "초크로 표시해서 손바느질로 해주세요" 사 입는 옷과는 다른 멋이 있습니다. <인터뷰> 노재인(서울시 신림동) : "제가 만든 옷이라 입을수록 정이 들고요" 재봉틀은 물론 옷감과 부자재까지. 이렇게 옷 만드는 재료를 한 곳에서 구입할 수 있는 가게도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천연 염색과 자연 소재 섬유를 고집해 더디게 만들어지는 기성복들입니다. 그래도 소비자를 끌어 모으며 전국의 매장이 40개에 육박합니다. <인터뷰> 장은숙(의류업체 팀장) : "옷이 쓰레기로 낭비되는 게 아니라 오래 두고 오래 간직해서 입을 수 있는 옷을 만들고 있습니다." 패스트패션 열풍이 지나간 미국에서는 1년 동안 한 종류 옷만 입자는 캠페인까지 생겨났습니다. 국내에서도 버려진 옷을 가방으로 재탄생시키는 등 옷의 수명연장이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인터뷰> 황용운(아름다운 가게 간사) : "빨리 빨리 디자인이 바뀌니까 버려지는 것들이 너무 아깝기 때문에 그런 부분을 되살리고 있습니다." 패스트패션의 공세에 맞서 낭비와 환경 파괴를 줄이자는 '슬로패션'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해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