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례 신도시 사업기간 2년 늦춰진다
입력 2012.02.27 (13:01)
수정 2012.02.27 (19: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지난해 국방부와 토지 보상 문제로 갈등을 빚었던 위례신도시의 사업기간이 2017년까지로 2년 연장됩니다.
이에따라 아파트 입주도 전반적으로 늦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재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토해양부는 군부대 이전 지연 등에 따라 위례신도시 개발계획과 실시계획 변경고시를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전체 사업기간은 대지조성이 마무리되는 기준으로 오는 2015년 말에서 2017년 말로 2년 늦춰졌습니다.
지난해 본 청약을 마친 시범단지를 제외하곤 아파트 건설도 전반적으로 늦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방부와 갈등을 빚었던 군 행정학교와 남성대 골프장 등 군부대 토지 보상가를 포함한 전체 신도시 사업비는 기존 9조 8천억 원에서 11조 2천 4백억 원으로 1조 4천 4백억 원 증가했습니다.
또,개발부지 내에 주상복합 용적률을 400%에서 600%로 올리고, 중국인 관광객 수요를 대비한 중저가 호텔용지를 지정하는 등 활성화 대책도 함께 내놨습니다.
사업성이 불투명한 공모형 PF 사업부지 가운데 복합용지는 대폭 축소하고 상업과 업무용지 등으로 나눠 개발합니다.
국토부는 사업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아파트 분양가는 오르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위례신도시는 지난해 땅 주인인 국방부와 개발 사업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는 토지보상 방법을 놓고 수개월째 갈등을 벌이다 지난해 11월에야 '개발이익을 배제한 시가보상'에 합의하고 조성원가 산정이 늦어지면서 개발이 지연돼 왔습니다.
KBS 뉴스 이재환입니다.
지난해 국방부와 토지 보상 문제로 갈등을 빚었던 위례신도시의 사업기간이 2017년까지로 2년 연장됩니다.
이에따라 아파트 입주도 전반적으로 늦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재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토해양부는 군부대 이전 지연 등에 따라 위례신도시 개발계획과 실시계획 변경고시를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전체 사업기간은 대지조성이 마무리되는 기준으로 오는 2015년 말에서 2017년 말로 2년 늦춰졌습니다.
지난해 본 청약을 마친 시범단지를 제외하곤 아파트 건설도 전반적으로 늦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방부와 갈등을 빚었던 군 행정학교와 남성대 골프장 등 군부대 토지 보상가를 포함한 전체 신도시 사업비는 기존 9조 8천억 원에서 11조 2천 4백억 원으로 1조 4천 4백억 원 증가했습니다.
또,개발부지 내에 주상복합 용적률을 400%에서 600%로 올리고, 중국인 관광객 수요를 대비한 중저가 호텔용지를 지정하는 등 활성화 대책도 함께 내놨습니다.
사업성이 불투명한 공모형 PF 사업부지 가운데 복합용지는 대폭 축소하고 상업과 업무용지 등으로 나눠 개발합니다.
국토부는 사업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아파트 분양가는 오르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위례신도시는 지난해 땅 주인인 국방부와 개발 사업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는 토지보상 방법을 놓고 수개월째 갈등을 벌이다 지난해 11월에야 '개발이익을 배제한 시가보상'에 합의하고 조성원가 산정이 늦어지면서 개발이 지연돼 왔습니다.
KBS 뉴스 이재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위례 신도시 사업기간 2년 늦춰진다
-
- 입력 2012-02-27 13:01:49
- 수정2012-02-27 19:18:35
<앵커 멘트>
지난해 국방부와 토지 보상 문제로 갈등을 빚었던 위례신도시의 사업기간이 2017년까지로 2년 연장됩니다.
이에따라 아파트 입주도 전반적으로 늦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재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토해양부는 군부대 이전 지연 등에 따라 위례신도시 개발계획과 실시계획 변경고시를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전체 사업기간은 대지조성이 마무리되는 기준으로 오는 2015년 말에서 2017년 말로 2년 늦춰졌습니다.
지난해 본 청약을 마친 시범단지를 제외하곤 아파트 건설도 전반적으로 늦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방부와 갈등을 빚었던 군 행정학교와 남성대 골프장 등 군부대 토지 보상가를 포함한 전체 신도시 사업비는 기존 9조 8천억 원에서 11조 2천 4백억 원으로 1조 4천 4백억 원 증가했습니다.
또,개발부지 내에 주상복합 용적률을 400%에서 600%로 올리고, 중국인 관광객 수요를 대비한 중저가 호텔용지를 지정하는 등 활성화 대책도 함께 내놨습니다.
사업성이 불투명한 공모형 PF 사업부지 가운데 복합용지는 대폭 축소하고 상업과 업무용지 등으로 나눠 개발합니다.
국토부는 사업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아파트 분양가는 오르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위례신도시는 지난해 땅 주인인 국방부와 개발 사업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는 토지보상 방법을 놓고 수개월째 갈등을 벌이다 지난해 11월에야 '개발이익을 배제한 시가보상'에 합의하고 조성원가 산정이 늦어지면서 개발이 지연돼 왔습니다.
KBS 뉴스 이재환입니다.
-
-
이재환 기자 happyjhl@kbs.co.kr
이재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