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진단] 느림의 미학 올레길, 바다 건너 일본으로!
입력 2012.03.03 (21: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엥커 멘트>
제주하면 뭐가 가장 먼저 떠오르세요?
요즘 제주하면 올레가 대세입니다.
지난해만 방문객이 백만 명을 돌파할 정도로 인기인데요, 봄이 다가오면서 더 올레 예약이 몰리고 있다고 합니다.
먼저 제주 올레의 매력을 하선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탁 트인 바다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올레 7코스.
화산 활동으로 생긴 외돌개, 그리고 범섬등 감탄사가 절로 나옵니다.
첫 눈에 반한 올레꾼들은 사진기에 추억을 담느라 분주합니다.
<인터뷰> 홍순범(경기도 시흥시) : "바다의 냄새를 맡으면서 경치도 좋은데를 돈다는 게 참 환상적이네요."
첫 올레코스가 열린 2007년 3천 명에 불과하던 올레 탐방객은 2010년 78만 7천 명을 기록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백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자연 그대로 보전된 제주의 생태관광이 바쁜 도시인들에게 자신을 충전하는 기회로 딱 맞아떨어진 겁니다.
<인터뷰> 오민섭(인천시 검암동) : "제주도 같은 경우에는 바다를 끼어 있기 때문에 자연 상태도 보고, 바다도 보고하는 상쾌함 때문에 괜찮은 것 같아요."
올해 2개의 올레코스가 개발되면, 모두 26개 코스에 총 길이가 440킬로미터가 이어져 제주도를 한 바퀴 돌 수 있는 올레길이 조성됩니다.
보는데서 머물던 제주 관광을 느림의 녹색관광으로 바꿔놓은 제주 올레, 세계에 제주를 소개하는 대표 문화로 자리잡았습니다.
KBS 뉴스 하선아입니다.
<앵커 멘트>
이렇게 국내에서 걷기 열풍을 불러왔던 '제주 올레'가 일본에서도 만들어졌습니다.
지금 보시는 아름다운 산책길이 바로 규슈지역의 '규슈올레'인데요, 이름만 빌려준 게 아니라 정식으로 수출한 겁니다.
곽선정 기자가 규슈 올레길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부산 남쪽 200km.
일본 4대 섬 가운데 가장 한국과 가까운 규슈입니다.
북적이는 도심을 벗어난 한 시골 마을에 고즈넉한 새길이 났습니다.
이름도 규슈 올레, '제주 올레'가 수출된 겁니다.
아스팔트 길은 피할 것, 지역민과 교류할 것 같은 제주 올레 철학이 고스란히 녹아 있습니다.
<인터뷰> 야마카와 미키(주민) : "우리 마을에 이런 곳이 있는지 몰랐어요. 좋습니다."
지난달 말 처음 공개된 규슈 올레는 4개 현에 4개 코스로 만들어졌습니다.
길게는 20km 너댓 시간 길.
관광지에선 보기 힘든 마을 마다의 풍광, 고을 마다의 느낌과 마주하는 신비한 경험이 제 맛입니다.
제주 올레길을 걷다보면 조랑말 모양의 이정표, '간세'를 만날 수 있는데요. 이곳 규슈 올레에서도 '간세'를 이정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동일본 지진과 엔고 현상으로 최근 관광객이 급감한 규슈 쪽이 제주 올레에 먼저 수출을 제안했습니다.
<인터뷰> 시라하마(규슈 올레 '다케오' 코스 담당) : "차로만 다니던 길을 걷게 됨으로써 좋은 풍경을 보게 됐고, 건강에도 좋기 때문에 (관광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제주 올레는 자문료와 홍보료로 1년에 천3백 만원 넘는 백만 엔 정도를 받습니다.
<인터뷰> 서명숙(제주올레 이사장) : "그 지역의 문화와 역사와 자연 풍광을 정말 개발되지 않는, 순수한 자연 풍광을 즐길 수 있는 서로 양쪽의 여행자들에게 그런 기회를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느림의 미학 제주 골목길 '올레'가 바다 건너 일본까지 이어졌습니다.
규슈에서 KBS 뉴스 곽선정입니다.
제주하면 뭐가 가장 먼저 떠오르세요?
요즘 제주하면 올레가 대세입니다.
지난해만 방문객이 백만 명을 돌파할 정도로 인기인데요, 봄이 다가오면서 더 올레 예약이 몰리고 있다고 합니다.
먼저 제주 올레의 매력을 하선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탁 트인 바다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올레 7코스.
화산 활동으로 생긴 외돌개, 그리고 범섬등 감탄사가 절로 나옵니다.
첫 눈에 반한 올레꾼들은 사진기에 추억을 담느라 분주합니다.
<인터뷰> 홍순범(경기도 시흥시) : "바다의 냄새를 맡으면서 경치도 좋은데를 돈다는 게 참 환상적이네요."
첫 올레코스가 열린 2007년 3천 명에 불과하던 올레 탐방객은 2010년 78만 7천 명을 기록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백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자연 그대로 보전된 제주의 생태관광이 바쁜 도시인들에게 자신을 충전하는 기회로 딱 맞아떨어진 겁니다.
<인터뷰> 오민섭(인천시 검암동) : "제주도 같은 경우에는 바다를 끼어 있기 때문에 자연 상태도 보고, 바다도 보고하는 상쾌함 때문에 괜찮은 것 같아요."
올해 2개의 올레코스가 개발되면, 모두 26개 코스에 총 길이가 440킬로미터가 이어져 제주도를 한 바퀴 돌 수 있는 올레길이 조성됩니다.
보는데서 머물던 제주 관광을 느림의 녹색관광으로 바꿔놓은 제주 올레, 세계에 제주를 소개하는 대표 문화로 자리잡았습니다.
KBS 뉴스 하선아입니다.
<앵커 멘트>
이렇게 국내에서 걷기 열풍을 불러왔던 '제주 올레'가 일본에서도 만들어졌습니다.
지금 보시는 아름다운 산책길이 바로 규슈지역의 '규슈올레'인데요, 이름만 빌려준 게 아니라 정식으로 수출한 겁니다.
곽선정 기자가 규슈 올레길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부산 남쪽 200km.
일본 4대 섬 가운데 가장 한국과 가까운 규슈입니다.
북적이는 도심을 벗어난 한 시골 마을에 고즈넉한 새길이 났습니다.
이름도 규슈 올레, '제주 올레'가 수출된 겁니다.
아스팔트 길은 피할 것, 지역민과 교류할 것 같은 제주 올레 철학이 고스란히 녹아 있습니다.
<인터뷰> 야마카와 미키(주민) : "우리 마을에 이런 곳이 있는지 몰랐어요. 좋습니다."
지난달 말 처음 공개된 규슈 올레는 4개 현에 4개 코스로 만들어졌습니다.
길게는 20km 너댓 시간 길.
관광지에선 보기 힘든 마을 마다의 풍광, 고을 마다의 느낌과 마주하는 신비한 경험이 제 맛입니다.
제주 올레길을 걷다보면 조랑말 모양의 이정표, '간세'를 만날 수 있는데요. 이곳 규슈 올레에서도 '간세'를 이정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동일본 지진과 엔고 현상으로 최근 관광객이 급감한 규슈 쪽이 제주 올레에 먼저 수출을 제안했습니다.
<인터뷰> 시라하마(규슈 올레 '다케오' 코스 담당) : "차로만 다니던 길을 걷게 됨으로써 좋은 풍경을 보게 됐고, 건강에도 좋기 때문에 (관광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제주 올레는 자문료와 홍보료로 1년에 천3백 만원 넘는 백만 엔 정도를 받습니다.
<인터뷰> 서명숙(제주올레 이사장) : "그 지역의 문화와 역사와 자연 풍광을 정말 개발되지 않는, 순수한 자연 풍광을 즐길 수 있는 서로 양쪽의 여행자들에게 그런 기회를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느림의 미학 제주 골목길 '올레'가 바다 건너 일본까지 이어졌습니다.
규슈에서 KBS 뉴스 곽선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진단] 느림의 미학 올레길, 바다 건너 일본으로!
-
- 입력 2012-03-03 21:48:13

<엥커 멘트>
제주하면 뭐가 가장 먼저 떠오르세요?
요즘 제주하면 올레가 대세입니다.
지난해만 방문객이 백만 명을 돌파할 정도로 인기인데요, 봄이 다가오면서 더 올레 예약이 몰리고 있다고 합니다.
먼저 제주 올레의 매력을 하선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탁 트인 바다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올레 7코스.
화산 활동으로 생긴 외돌개, 그리고 범섬등 감탄사가 절로 나옵니다.
첫 눈에 반한 올레꾼들은 사진기에 추억을 담느라 분주합니다.
<인터뷰> 홍순범(경기도 시흥시) : "바다의 냄새를 맡으면서 경치도 좋은데를 돈다는 게 참 환상적이네요."
첫 올레코스가 열린 2007년 3천 명에 불과하던 올레 탐방객은 2010년 78만 7천 명을 기록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백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자연 그대로 보전된 제주의 생태관광이 바쁜 도시인들에게 자신을 충전하는 기회로 딱 맞아떨어진 겁니다.
<인터뷰> 오민섭(인천시 검암동) : "제주도 같은 경우에는 바다를 끼어 있기 때문에 자연 상태도 보고, 바다도 보고하는 상쾌함 때문에 괜찮은 것 같아요."
올해 2개의 올레코스가 개발되면, 모두 26개 코스에 총 길이가 440킬로미터가 이어져 제주도를 한 바퀴 돌 수 있는 올레길이 조성됩니다.
보는데서 머물던 제주 관광을 느림의 녹색관광으로 바꿔놓은 제주 올레, 세계에 제주를 소개하는 대표 문화로 자리잡았습니다.
KBS 뉴스 하선아입니다.
<앵커 멘트>
이렇게 국내에서 걷기 열풍을 불러왔던 '제주 올레'가 일본에서도 만들어졌습니다.
지금 보시는 아름다운 산책길이 바로 규슈지역의 '규슈올레'인데요, 이름만 빌려준 게 아니라 정식으로 수출한 겁니다.
곽선정 기자가 규슈 올레길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부산 남쪽 200km.
일본 4대 섬 가운데 가장 한국과 가까운 규슈입니다.
북적이는 도심을 벗어난 한 시골 마을에 고즈넉한 새길이 났습니다.
이름도 규슈 올레, '제주 올레'가 수출된 겁니다.
아스팔트 길은 피할 것, 지역민과 교류할 것 같은 제주 올레 철학이 고스란히 녹아 있습니다.
<인터뷰> 야마카와 미키(주민) : "우리 마을에 이런 곳이 있는지 몰랐어요. 좋습니다."
지난달 말 처음 공개된 규슈 올레는 4개 현에 4개 코스로 만들어졌습니다.
길게는 20km 너댓 시간 길.
관광지에선 보기 힘든 마을 마다의 풍광, 고을 마다의 느낌과 마주하는 신비한 경험이 제 맛입니다.
제주 올레길을 걷다보면 조랑말 모양의 이정표, '간세'를 만날 수 있는데요. 이곳 규슈 올레에서도 '간세'를 이정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동일본 지진과 엔고 현상으로 최근 관광객이 급감한 규슈 쪽이 제주 올레에 먼저 수출을 제안했습니다.
<인터뷰> 시라하마(규슈 올레 '다케오' 코스 담당) : "차로만 다니던 길을 걷게 됨으로써 좋은 풍경을 보게 됐고, 건강에도 좋기 때문에 (관광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제주 올레는 자문료와 홍보료로 1년에 천3백 만원 넘는 백만 엔 정도를 받습니다.
<인터뷰> 서명숙(제주올레 이사장) : "그 지역의 문화와 역사와 자연 풍광을 정말 개발되지 않는, 순수한 자연 풍광을 즐길 수 있는 서로 양쪽의 여행자들에게 그런 기회를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느림의 미학 제주 골목길 '올레'가 바다 건너 일본까지 이어졌습니다.
규슈에서 KBS 뉴스 곽선정입니다.
-
-
하선아 기자 saha@kbs.co.kr
하선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