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5도 주민들, 대피령 없이 ‘평온한 일상’
입력 2012.04.13 (22:04)
수정 2012.04.14 (08: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북한 장거리 로켓의 궤도 상에 위치하고 있어서 한때 긴장감이 감돌았던 서해 5도는 오늘 평온한 모습이였습니다.
발사와 관련된 유사시에 예정됐던 대피령도 내려지지 않았습니다.
류호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오늘 아침, 북한이 로켓을 발사한 직후 백령도의 중심 상권 지역입니다.
여느 때처럼 바쁘게 오가는 시민들로 붐빕니다.
고추 농사를 준비하는 농부의 손길도 바쁩니다.
<인터뷰> 장익호(백령도 주민/72세) : "그런 거 한두 번이 아니기 때문에 면역이 들었습니다. 지금 백령도 주민들은. 항상 그러니까요, 북한에서는..."
북한이 로켓을 발사한 것을 아예 몰랐던 주민도 많습니다.
대부분 집이나 일터에서 방송 특보를 보고 로켓 발사 소식을 알았습니다.
<인터뷰> 이용단 (백령도 주민/66세) : "(대피) 방송은 못 들었어요. 뉴스 보고 알았죠. 그런데 불발됐다니까 다행이죠."
예정됐던 주민 대피령이 내려지지 않아섭니다.
백령도에서는 18개 마을에서 대피 방송 시설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제 대피 명령은 없었습니다.
<인터뷰> 김정섭(인천시 옹진군 백령면장) : "주민 대피령까지 발표할 상황이 아닌 것으로 부대에서 통보받아서 대기 상태로 이렇게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대피소 백여 곳을 점검하면서 북한의 도발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습니다.
북한의 로켓 발사는 실패했지만 해병대 등 이곳의 군 부대는 비상 대응 태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류호성입니다.
북한 장거리 로켓의 궤도 상에 위치하고 있어서 한때 긴장감이 감돌았던 서해 5도는 오늘 평온한 모습이였습니다.
발사와 관련된 유사시에 예정됐던 대피령도 내려지지 않았습니다.
류호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오늘 아침, 북한이 로켓을 발사한 직후 백령도의 중심 상권 지역입니다.
여느 때처럼 바쁘게 오가는 시민들로 붐빕니다.
고추 농사를 준비하는 농부의 손길도 바쁩니다.
<인터뷰> 장익호(백령도 주민/72세) : "그런 거 한두 번이 아니기 때문에 면역이 들었습니다. 지금 백령도 주민들은. 항상 그러니까요, 북한에서는..."
북한이 로켓을 발사한 것을 아예 몰랐던 주민도 많습니다.
대부분 집이나 일터에서 방송 특보를 보고 로켓 발사 소식을 알았습니다.
<인터뷰> 이용단 (백령도 주민/66세) : "(대피) 방송은 못 들었어요. 뉴스 보고 알았죠. 그런데 불발됐다니까 다행이죠."
예정됐던 주민 대피령이 내려지지 않아섭니다.
백령도에서는 18개 마을에서 대피 방송 시설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제 대피 명령은 없었습니다.
<인터뷰> 김정섭(인천시 옹진군 백령면장) : "주민 대피령까지 발표할 상황이 아닌 것으로 부대에서 통보받아서 대기 상태로 이렇게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대피소 백여 곳을 점검하면서 북한의 도발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습니다.
북한의 로켓 발사는 실패했지만 해병대 등 이곳의 군 부대는 비상 대응 태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류호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해 5도 주민들, 대피령 없이 ‘평온한 일상’
-
- 입력 2012-04-13 22:04:33
- 수정2012-04-14 08:38:31

<앵커 멘트>
북한 장거리 로켓의 궤도 상에 위치하고 있어서 한때 긴장감이 감돌았던 서해 5도는 오늘 평온한 모습이였습니다.
발사와 관련된 유사시에 예정됐던 대피령도 내려지지 않았습니다.
류호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오늘 아침, 북한이 로켓을 발사한 직후 백령도의 중심 상권 지역입니다.
여느 때처럼 바쁘게 오가는 시민들로 붐빕니다.
고추 농사를 준비하는 농부의 손길도 바쁩니다.
<인터뷰> 장익호(백령도 주민/72세) : "그런 거 한두 번이 아니기 때문에 면역이 들었습니다. 지금 백령도 주민들은. 항상 그러니까요, 북한에서는..."
북한이 로켓을 발사한 것을 아예 몰랐던 주민도 많습니다.
대부분 집이나 일터에서 방송 특보를 보고 로켓 발사 소식을 알았습니다.
<인터뷰> 이용단 (백령도 주민/66세) : "(대피) 방송은 못 들었어요. 뉴스 보고 알았죠. 그런데 불발됐다니까 다행이죠."
예정됐던 주민 대피령이 내려지지 않아섭니다.
백령도에서는 18개 마을에서 대피 방송 시설을 운영하고 있지만 실제 대피 명령은 없었습니다.
<인터뷰> 김정섭(인천시 옹진군 백령면장) : "주민 대피령까지 발표할 상황이 아닌 것으로 부대에서 통보받아서 대기 상태로 이렇게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대피소 백여 곳을 점검하면서 북한의 도발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습니다.
북한의 로켓 발사는 실패했지만 해병대 등 이곳의 군 부대는 비상 대응 태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류호성입니다.
-
-
류호성 기자 ryuhs@kbs.co.kr
류호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