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버이날 마를 줄 모르는 6·25 납북자 가족 눈물

입력 2012.05.08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어버이날인 오늘 부모님 가슴에 달아드리지 못한 카네이션을 손에 쥔 채 눈물을 흘리며 한 걸음 한 걸음 내디딘 분들이 있습니다.

6.25전쟁 납북자 가족들, 만나보시죠.

양영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백여명의 납북자 가족들이 손에는 카네이션, 가슴엔 납북자를 상징하는 물망초 배지를 달고 서대문 형무소 자리를 출발합니다.

참가자들은 6.25 전쟁 당시 그들의 부모들이 끌려간 길을 따라 걸으며 보고 싶어도 볼 수 없는 그리움을 달랬습니다.

북한 당국에서 잠시 조사 받고 돌아오겠다며 대문을 나선 아버지는 60년이 지나도록 생사를 알 수 없습니다.

<녹취> 최수길 : "아버님 소리만 들으면 눈물이 나요."

<녹취> "아버지 없는 설움 알아요?"

코흘리던 아이는 이제 일흔을 넘겼습니다.

미아리 고개에 이르러 단장의 미아리 고개 노래가 나오자 참았던 설움이 북받칩니다.

2001년 첫 행사 때 5백 명이던 참가자는 올 해 백 명으로 줄었고, 걷는 구간도 급격히 줄었습니다.

<녹취> 이미일(6.25전쟁 납북인사가족협의회 이사장) : "2001년에 9킬로미터 2005년에 16킬로 걸었는데 이번엔 모시고 나오기 힘들어.병석에 계시고..내년을 기약할 수 있을지..."

참가자들은 북으로 가는 마지막 관문이었다는 연천에서 준비해온 카네이션을 헌화하며 납북된 가족의 생사 확인과 유해 반환을 기원했습니다.

KBS 뉴스 양영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어버이날 마를 줄 모르는 6·25 납북자 가족 눈물
    • 입력 2012-05-08 22:01:10
    뉴스 9
<앵커 멘트> 어버이날인 오늘 부모님 가슴에 달아드리지 못한 카네이션을 손에 쥔 채 눈물을 흘리며 한 걸음 한 걸음 내디딘 분들이 있습니다. 6.25전쟁 납북자 가족들, 만나보시죠. 양영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백여명의 납북자 가족들이 손에는 카네이션, 가슴엔 납북자를 상징하는 물망초 배지를 달고 서대문 형무소 자리를 출발합니다. 참가자들은 6.25 전쟁 당시 그들의 부모들이 끌려간 길을 따라 걸으며 보고 싶어도 볼 수 없는 그리움을 달랬습니다. 북한 당국에서 잠시 조사 받고 돌아오겠다며 대문을 나선 아버지는 60년이 지나도록 생사를 알 수 없습니다. <녹취> 최수길 : "아버님 소리만 들으면 눈물이 나요." <녹취> "아버지 없는 설움 알아요?" 코흘리던 아이는 이제 일흔을 넘겼습니다. 미아리 고개에 이르러 단장의 미아리 고개 노래가 나오자 참았던 설움이 북받칩니다. 2001년 첫 행사 때 5백 명이던 참가자는 올 해 백 명으로 줄었고, 걷는 구간도 급격히 줄었습니다. <녹취> 이미일(6.25전쟁 납북인사가족협의회 이사장) : "2001년에 9킬로미터 2005년에 16킬로 걸었는데 이번엔 모시고 나오기 힘들어.병석에 계시고..내년을 기약할 수 있을지..." 참가자들은 북으로 가는 마지막 관문이었다는 연천에서 준비해온 카네이션을 헌화하며 납북된 가족의 생사 확인과 유해 반환을 기원했습니다. KBS 뉴스 양영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