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기 정전 시 이렇게 탈출하세요!

입력 2012.06.21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지난해 대규모 정전이 났을 때 승강기가 멈춰서서 고생한 분들 많으셨죠.

승강기는 정전이 되더라도 밑으로 떨어지지 않으니까 침착하게 대응하는 게 중요하다는데요.

정전으로 승강기에 갇혔을 때의 행동요령을 노태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9월 정전 당시 전국 곳곳의 승강기가 멈춰섰습니다.

<녹취> "혼자 지금 30분 넘게 갇혀 있어요"

당시 승강기에 갇힌 시민만 2천여 명, 육체적 불편보다 정신적 공포감에 시달렸습니다.

갑작스런 정전으로 승강기가 멈추자 119구조대가 출동합니다.

승강기 안은 불마저 꺼져 깜깜한 상황!

<녹취> "엘리베이터가 멈춰섰는데 어떻게 해야돼죠?"

전원이 멈춰도 승강기는 떨어지지 않지만 승객들은 공포감에 시달립니다.

<인터뷰> 강나래(훈련 참가 시민) : "너무 답답하고 어두우니까 갑갑하고 밑으로 떨어질 것 같은 무서운 느낌이 많았어요."

공포감은 자칫 쇼크 상태로도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침착함을 잃지 않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휴대전화나 승강기 내 비상 호출 장치를 이용해 구조를 요청하고 도움을 기다려야 합니다.

자력으로 탈출을 시도하려는 행동은 자칫 더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절대 하지 말아야 합니다.

<인터뷰> 승강기 안전원 팀장 : "강제로 문을 개방했을 경우에 층이 안 맞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이때 잘못하면 층과 층 사이로 추락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연락방법이 없을 때는 승강기 벽을 두드려 고립 사실을 주변에 알리고 구조대를 차분히 기다리는 것이 안전한 탈출 요령입니다.

KBS 뉴스 노태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승강기 정전 시 이렇게 탈출하세요!
    • 입력 2012-06-21 22:02:08
    뉴스 9
<앵커 멘트> 지난해 대규모 정전이 났을 때 승강기가 멈춰서서 고생한 분들 많으셨죠. 승강기는 정전이 되더라도 밑으로 떨어지지 않으니까 침착하게 대응하는 게 중요하다는데요. 정전으로 승강기에 갇혔을 때의 행동요령을 노태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9월 정전 당시 전국 곳곳의 승강기가 멈춰섰습니다. <녹취> "혼자 지금 30분 넘게 갇혀 있어요" 당시 승강기에 갇힌 시민만 2천여 명, 육체적 불편보다 정신적 공포감에 시달렸습니다. 갑작스런 정전으로 승강기가 멈추자 119구조대가 출동합니다. 승강기 안은 불마저 꺼져 깜깜한 상황! <녹취> "엘리베이터가 멈춰섰는데 어떻게 해야돼죠?" 전원이 멈춰도 승강기는 떨어지지 않지만 승객들은 공포감에 시달립니다. <인터뷰> 강나래(훈련 참가 시민) : "너무 답답하고 어두우니까 갑갑하고 밑으로 떨어질 것 같은 무서운 느낌이 많았어요." 공포감은 자칫 쇼크 상태로도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침착함을 잃지 않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휴대전화나 승강기 내 비상 호출 장치를 이용해 구조를 요청하고 도움을 기다려야 합니다. 자력으로 탈출을 시도하려는 행동은 자칫 더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절대 하지 말아야 합니다. <인터뷰> 승강기 안전원 팀장 : "강제로 문을 개방했을 경우에 층이 안 맞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이때 잘못하면 층과 층 사이로 추락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연락방법이 없을 때는 승강기 벽을 두드려 고립 사실을 주변에 알리고 구조대를 차분히 기다리는 것이 안전한 탈출 요령입니다. KBS 뉴스 노태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