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취재] 최고난도 ‘양학선 기술’ 입체적 분석
입력 2012.08.07 (2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금메달을 따낸 양학선 선수의 환상적인 연깁니다.
전문가들은 양학선의 도약 높이가, 보시는 것처럼 다른 선수들에 비해 월등히 높은 편은 아니라고 말합니다.
그런데도 공중에서 3바퀴나 돌 수 있는 비결은 회전에 최적화된 양학선의 몸에 숨어 있었습니다.
도마를 위해 태어났다는 양학선이 구사하는 환상의 도마 기술을 이진석 기자가 입체적으로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현존하는 최고 난도의 기술,
불가사의하기까지 한 양학선 기술의 비결은 도움닫기부터 시작됩니다.
양학선의 20미터 도움닫기 최고 속도는 초당 7.83m로 우사인 볼트의 초반 20m 평균 속도와 비슷합니다.
빠른 도움닫기로 도약의 힘을 최대로 끌어올립니다.
다음 도마를 짚는 순간, 이 기술의 성패가 좌우됩니다.
도마를 짚는 시간 0.15초 이내, 몸의 각도는 45도가 돼야 성공인데 양학선은 과학훈련을 통해 올림픽에서 완벽한 조건을 충족 시켰습니다.
<인터뷰> 양학선(체조 국가대표) : "몸의 각도 45도가 돼야한다. 이런 부분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다."
공중에서 몸을 3바퀴나 비틀 수 있는 비밀은 양학선의 몸에 숨어있습니다.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반경이 작을수록 회전 속도는 빨라집니다.
다른 선수들의 어깨 너비가 평균 55cm인데 양학선은 51cm로 좁습니다.
좁은 어깨에 양팔을 최대한 밀착시키면 회전반경이 줄어 다른 선수들을 능가하는 회전력이 나오는 것입니다.
양학선의 몸이 도마를 위해 태어났다는 말이 이때문에 나왔습니다.
<인터뷰> 이기광(국민대 스포츠과학연구소) : "팔을 벌리면 회전 속도가 느려지는데 모으면 관성모멘트가 줄어서 회전을 많이 할 수 있습니다."
회전이 많아지면 착지도 어려워지기 마련.
하지만, 양학선은 일반인들이 어지러움을 느낄만한 상황에서도 뛰어난 시각정보와 균형감각으로 정확한 착지점을 잡아냅니다.
이런 능력은 2차 시기에서 완벽한 착지로 이어졌습니다.
도마에 최적화된 몸과 끊임없는 노력으로 양학선은 세계를 사로잡은 아름다운 비행을 완성했습니다.
KBS 뉴스 이진석입니다.
금메달을 따낸 양학선 선수의 환상적인 연깁니다.
전문가들은 양학선의 도약 높이가, 보시는 것처럼 다른 선수들에 비해 월등히 높은 편은 아니라고 말합니다.
그런데도 공중에서 3바퀴나 돌 수 있는 비결은 회전에 최적화된 양학선의 몸에 숨어 있었습니다.
도마를 위해 태어났다는 양학선이 구사하는 환상의 도마 기술을 이진석 기자가 입체적으로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현존하는 최고 난도의 기술,
불가사의하기까지 한 양학선 기술의 비결은 도움닫기부터 시작됩니다.
양학선의 20미터 도움닫기 최고 속도는 초당 7.83m로 우사인 볼트의 초반 20m 평균 속도와 비슷합니다.
빠른 도움닫기로 도약의 힘을 최대로 끌어올립니다.
다음 도마를 짚는 순간, 이 기술의 성패가 좌우됩니다.
도마를 짚는 시간 0.15초 이내, 몸의 각도는 45도가 돼야 성공인데 양학선은 과학훈련을 통해 올림픽에서 완벽한 조건을 충족 시켰습니다.
<인터뷰> 양학선(체조 국가대표) : "몸의 각도 45도가 돼야한다. 이런 부분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다."
공중에서 몸을 3바퀴나 비틀 수 있는 비밀은 양학선의 몸에 숨어있습니다.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반경이 작을수록 회전 속도는 빨라집니다.
다른 선수들의 어깨 너비가 평균 55cm인데 양학선은 51cm로 좁습니다.
좁은 어깨에 양팔을 최대한 밀착시키면 회전반경이 줄어 다른 선수들을 능가하는 회전력이 나오는 것입니다.
양학선의 몸이 도마를 위해 태어났다는 말이 이때문에 나왔습니다.
<인터뷰> 이기광(국민대 스포츠과학연구소) : "팔을 벌리면 회전 속도가 느려지는데 모으면 관성모멘트가 줄어서 회전을 많이 할 수 있습니다."
회전이 많아지면 착지도 어려워지기 마련.
하지만, 양학선은 일반인들이 어지러움을 느낄만한 상황에서도 뛰어난 시각정보와 균형감각으로 정확한 착지점을 잡아냅니다.
이런 능력은 2차 시기에서 완벽한 착지로 이어졌습니다.
도마에 최적화된 몸과 끊임없는 노력으로 양학선은 세계를 사로잡은 아름다운 비행을 완성했습니다.
KBS 뉴스 이진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취재] 최고난도 ‘양학선 기술’ 입체적 분석
-
- 입력 2012-08-07 22:05:48

<앵커 멘트>
금메달을 따낸 양학선 선수의 환상적인 연깁니다.
전문가들은 양학선의 도약 높이가, 보시는 것처럼 다른 선수들에 비해 월등히 높은 편은 아니라고 말합니다.
그런데도 공중에서 3바퀴나 돌 수 있는 비결은 회전에 최적화된 양학선의 몸에 숨어 있었습니다.
도마를 위해 태어났다는 양학선이 구사하는 환상의 도마 기술을 이진석 기자가 입체적으로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현존하는 최고 난도의 기술,
불가사의하기까지 한 양학선 기술의 비결은 도움닫기부터 시작됩니다.
양학선의 20미터 도움닫기 최고 속도는 초당 7.83m로 우사인 볼트의 초반 20m 평균 속도와 비슷합니다.
빠른 도움닫기로 도약의 힘을 최대로 끌어올립니다.
다음 도마를 짚는 순간, 이 기술의 성패가 좌우됩니다.
도마를 짚는 시간 0.15초 이내, 몸의 각도는 45도가 돼야 성공인데 양학선은 과학훈련을 통해 올림픽에서 완벽한 조건을 충족 시켰습니다.
<인터뷰> 양학선(체조 국가대표) : "몸의 각도 45도가 돼야한다. 이런 부분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다."
공중에서 몸을 3바퀴나 비틀 수 있는 비밀은 양학선의 몸에 숨어있습니다.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반경이 작을수록 회전 속도는 빨라집니다.
다른 선수들의 어깨 너비가 평균 55cm인데 양학선은 51cm로 좁습니다.
좁은 어깨에 양팔을 최대한 밀착시키면 회전반경이 줄어 다른 선수들을 능가하는 회전력이 나오는 것입니다.
양학선의 몸이 도마를 위해 태어났다는 말이 이때문에 나왔습니다.
<인터뷰> 이기광(국민대 스포츠과학연구소) : "팔을 벌리면 회전 속도가 느려지는데 모으면 관성모멘트가 줄어서 회전을 많이 할 수 있습니다."
회전이 많아지면 착지도 어려워지기 마련.
하지만, 양학선은 일반인들이 어지러움을 느낄만한 상황에서도 뛰어난 시각정보와 균형감각으로 정확한 착지점을 잡아냅니다.
이런 능력은 2차 시기에서 완벽한 착지로 이어졌습니다.
도마에 최적화된 몸과 끊임없는 노력으로 양학선은 세계를 사로잡은 아름다운 비행을 완성했습니다.
KBS 뉴스 이진석입니다.
금메달을 따낸 양학선 선수의 환상적인 연깁니다.
전문가들은 양학선의 도약 높이가, 보시는 것처럼 다른 선수들에 비해 월등히 높은 편은 아니라고 말합니다.
그런데도 공중에서 3바퀴나 돌 수 있는 비결은 회전에 최적화된 양학선의 몸에 숨어 있었습니다.
도마를 위해 태어났다는 양학선이 구사하는 환상의 도마 기술을 이진석 기자가 입체적으로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현존하는 최고 난도의 기술,
불가사의하기까지 한 양학선 기술의 비결은 도움닫기부터 시작됩니다.
양학선의 20미터 도움닫기 최고 속도는 초당 7.83m로 우사인 볼트의 초반 20m 평균 속도와 비슷합니다.
빠른 도움닫기로 도약의 힘을 최대로 끌어올립니다.
다음 도마를 짚는 순간, 이 기술의 성패가 좌우됩니다.
도마를 짚는 시간 0.15초 이내, 몸의 각도는 45도가 돼야 성공인데 양학선은 과학훈련을 통해 올림픽에서 완벽한 조건을 충족 시켰습니다.
<인터뷰> 양학선(체조 국가대표) : "몸의 각도 45도가 돼야한다. 이런 부분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다."
공중에서 몸을 3바퀴나 비틀 수 있는 비밀은 양학선의 몸에 숨어있습니다.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반경이 작을수록 회전 속도는 빨라집니다.
다른 선수들의 어깨 너비가 평균 55cm인데 양학선은 51cm로 좁습니다.
좁은 어깨에 양팔을 최대한 밀착시키면 회전반경이 줄어 다른 선수들을 능가하는 회전력이 나오는 것입니다.
양학선의 몸이 도마를 위해 태어났다는 말이 이때문에 나왔습니다.
<인터뷰> 이기광(국민대 스포츠과학연구소) : "팔을 벌리면 회전 속도가 느려지는데 모으면 관성모멘트가 줄어서 회전을 많이 할 수 있습니다."
회전이 많아지면 착지도 어려워지기 마련.
하지만, 양학선은 일반인들이 어지러움을 느낄만한 상황에서도 뛰어난 시각정보와 균형감각으로 정확한 착지점을 잡아냅니다.
이런 능력은 2차 시기에서 완벽한 착지로 이어졌습니다.
도마에 최적화된 몸과 끊임없는 노력으로 양학선은 세계를 사로잡은 아름다운 비행을 완성했습니다.
KBS 뉴스 이진석입니다.
-
-
이진석 기자 ljs2k@kbs.co.kr
이진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