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올해 수능에서는 재수생 숫자가 2만 5천여 명이나 줄었습니다.
하지만, 이른바 교육 특구라 불리는 강남 지역 학생들은 재수를 선택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영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강남의 한 입시학원.
미래의 국어 교사를 꿈꾸는 손나현 양은 지난해 수능 성적이 상위권이었지만 몇몇 친구들과 함께 재수를 선택했습니다.
<인터뷰> 손나현(재수생) : "자기만족 못하고 부모님 기대에도 못 미치니까 그렇게 하는 경우가 많아요. (고3 때) 반에서 절반 정도는 하는 것 같고요."
올해 수능 응시자 66만 8천여 명 가운데 서울지역 수험생의 재수생 비율은 32.5%.
그러나 강남구와 서초구는 이보다 약 10% 포인트 높습니다.
<인터뷰> 김형훈(재수 학원 강사) : "아무래도 이 지역은 경제 영향을 받지 않아서 그런지 (재수생) 명 수 변화가 없고."
지난해 서울에서 이른바 상위권 대학 진학률이 높은 일반고는 강남구와 서초구의 학교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서울의 일반고 수능 응시자 가운데 졸업자, 즉 재수생 비율이 높은 학교 10곳 가운데 7곳도 역시 강남구와 서초구에 있었습니다.
강남 지역 수험생들의 상위권 대학 진학률이 높지만 재수생도 많다는 것입니다.
<인터뷰> 임성호(하늘교육 대표) : "학교 자체(효과)라기 보다는 재수 효과가 크다는 거죠. 실제 학교에서의 (재학생 수능) 점수는 일반 비 교육특구에 비해 그다지 높은 편은 아니다…."
이른바 명문대 입시에서 나타나는 강남 지역의 강세는 사교육 업체에서 고교 과정을 1년 더 공부한 데에 힘입은 바가 크다는 분석입니다.
KBS 뉴스 김영은입니다.
올해 수능에서는 재수생 숫자가 2만 5천여 명이나 줄었습니다.
하지만, 이른바 교육 특구라 불리는 강남 지역 학생들은 재수를 선택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영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강남의 한 입시학원.
미래의 국어 교사를 꿈꾸는 손나현 양은 지난해 수능 성적이 상위권이었지만 몇몇 친구들과 함께 재수를 선택했습니다.
<인터뷰> 손나현(재수생) : "자기만족 못하고 부모님 기대에도 못 미치니까 그렇게 하는 경우가 많아요. (고3 때) 반에서 절반 정도는 하는 것 같고요."
올해 수능 응시자 66만 8천여 명 가운데 서울지역 수험생의 재수생 비율은 32.5%.
그러나 강남구와 서초구는 이보다 약 10% 포인트 높습니다.
<인터뷰> 김형훈(재수 학원 강사) : "아무래도 이 지역은 경제 영향을 받지 않아서 그런지 (재수생) 명 수 변화가 없고."
지난해 서울에서 이른바 상위권 대학 진학률이 높은 일반고는 강남구와 서초구의 학교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서울의 일반고 수능 응시자 가운데 졸업자, 즉 재수생 비율이 높은 학교 10곳 가운데 7곳도 역시 강남구와 서초구에 있었습니다.
강남 지역 수험생들의 상위권 대학 진학률이 높지만 재수생도 많다는 것입니다.
<인터뷰> 임성호(하늘교육 대표) : "학교 자체(효과)라기 보다는 재수 효과가 크다는 거죠. 실제 학교에서의 (재학생 수능) 점수는 일반 비 교육특구에 비해 그다지 높은 편은 아니다…."
이른바 명문대 입시에서 나타나는 강남 지역의 강세는 사교육 업체에서 고교 과정을 1년 더 공부한 데에 힘입은 바가 크다는 분석입니다.
KBS 뉴스 김영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강남 상위권대 진학 비결… 재수에 ‘올인’
-
- 입력 2012-09-19 08:14:36

<앵커 멘트>
올해 수능에서는 재수생 숫자가 2만 5천여 명이나 줄었습니다.
하지만, 이른바 교육 특구라 불리는 강남 지역 학생들은 재수를 선택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영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강남의 한 입시학원.
미래의 국어 교사를 꿈꾸는 손나현 양은 지난해 수능 성적이 상위권이었지만 몇몇 친구들과 함께 재수를 선택했습니다.
<인터뷰> 손나현(재수생) : "자기만족 못하고 부모님 기대에도 못 미치니까 그렇게 하는 경우가 많아요. (고3 때) 반에서 절반 정도는 하는 것 같고요."
올해 수능 응시자 66만 8천여 명 가운데 서울지역 수험생의 재수생 비율은 32.5%.
그러나 강남구와 서초구는 이보다 약 10% 포인트 높습니다.
<인터뷰> 김형훈(재수 학원 강사) : "아무래도 이 지역은 경제 영향을 받지 않아서 그런지 (재수생) 명 수 변화가 없고."
지난해 서울에서 이른바 상위권 대학 진학률이 높은 일반고는 강남구와 서초구의 학교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서울의 일반고 수능 응시자 가운데 졸업자, 즉 재수생 비율이 높은 학교 10곳 가운데 7곳도 역시 강남구와 서초구에 있었습니다.
강남 지역 수험생들의 상위권 대학 진학률이 높지만 재수생도 많다는 것입니다.
<인터뷰> 임성호(하늘교육 대표) : "학교 자체(효과)라기 보다는 재수 효과가 크다는 거죠. 실제 학교에서의 (재학생 수능) 점수는 일반 비 교육특구에 비해 그다지 높은 편은 아니다…."
이른바 명문대 입시에서 나타나는 강남 지역의 강세는 사교육 업체에서 고교 과정을 1년 더 공부한 데에 힘입은 바가 크다는 분석입니다.
KBS 뉴스 김영은입니다.
-
-
김영은 기자 paz@kbs.co.kr
김영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