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등산가시면 산악사고도 조심하셔야 겠습니다.
가을철 특히 오늘같은 주말에 사고가 많이 일어난다는데요,
산악사고 예방책, 정연욱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지난 10일 북한산 의상봉.
정상을 오르던 등산객이 애타게 구조를 기다립니다.
바위에서 발을 헛디뎌 골절상을 입었습니다.
하루 전 북한산 인수봉에서는 암벽을 오르던 50대 등산객이 추락해 크게 다쳤습니다.
올 들어서 산악 사고로 13명 숨지고 4백 여명이 다치쳤습니다.
산악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계절은 등산객들이 몰리는 가을.
특히 토요일과 일요일에 사고가 집중됐습니다.
전체 산악 사고의 36%는 실족 추락사고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때문에 충분한 경험과 장비를 갖추지 않았다면 이처럼 가파른 암벽 등반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산 속의 기후는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점퍼와 우비는 계절과 기후에 상관없이 항상 준비해야 합니다.
<인터뷰> 강민욱(북한산 등반객) : "등산화나 기본적으로 갖춰야할 것들은 다 챙기는데 오늘 이렇게 산에 올라오다 비가 올 줄 몰랐는데 비가 많이 와서 당황스럽습니다. 우비도 못 챙겨왔고..."
또한 등산 중 과도한 음주는 피해야 하고, 출입금지구역은 절대 들어가지 않아야합니다.
만약 사고를 당했다면 신고 전 정확한 사고 지점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터뷰> 이창기(도봉소방서) : "등산로 상에 2백미터 3백미터 사이에 이 위치 표지판이 설치돼 있습니다. 위치 표지판을 보시고 119에 신고해주시면 저희 119 구조대원들이 신속하게 출동하게 되겠습니다.
가을철 급증하는 산악사고, 기본적인 안전 지침만 숙지하면 얼마든지 예방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등산가시면 산악사고도 조심하셔야 겠습니다.
가을철 특히 오늘같은 주말에 사고가 많이 일어난다는데요,
산악사고 예방책, 정연욱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지난 10일 북한산 의상봉.
정상을 오르던 등산객이 애타게 구조를 기다립니다.
바위에서 발을 헛디뎌 골절상을 입었습니다.
하루 전 북한산 인수봉에서는 암벽을 오르던 50대 등산객이 추락해 크게 다쳤습니다.
올 들어서 산악 사고로 13명 숨지고 4백 여명이 다치쳤습니다.
산악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계절은 등산객들이 몰리는 가을.
특히 토요일과 일요일에 사고가 집중됐습니다.
전체 산악 사고의 36%는 실족 추락사고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때문에 충분한 경험과 장비를 갖추지 않았다면 이처럼 가파른 암벽 등반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산 속의 기후는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점퍼와 우비는 계절과 기후에 상관없이 항상 준비해야 합니다.
<인터뷰> 강민욱(북한산 등반객) : "등산화나 기본적으로 갖춰야할 것들은 다 챙기는데 오늘 이렇게 산에 올라오다 비가 올 줄 몰랐는데 비가 많이 와서 당황스럽습니다. 우비도 못 챙겨왔고..."
또한 등산 중 과도한 음주는 피해야 하고, 출입금지구역은 절대 들어가지 않아야합니다.
만약 사고를 당했다면 신고 전 정확한 사고 지점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터뷰> 이창기(도봉소방서) : "등산로 상에 2백미터 3백미터 사이에 이 위치 표지판이 설치돼 있습니다. 위치 표지판을 보시고 119에 신고해주시면 저희 119 구조대원들이 신속하게 출동하게 되겠습니다.
가을철 급증하는 산악사고, 기본적인 안전 지침만 숙지하면 얼마든지 예방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을철 등산 산악사고 잇따라…예방 대책은?
-
- 입력 2012-09-22 21:43:39
<앵커 멘트>
등산가시면 산악사고도 조심하셔야 겠습니다.
가을철 특히 오늘같은 주말에 사고가 많이 일어난다는데요,
산악사고 예방책, 정연욱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지난 10일 북한산 의상봉.
정상을 오르던 등산객이 애타게 구조를 기다립니다.
바위에서 발을 헛디뎌 골절상을 입었습니다.
하루 전 북한산 인수봉에서는 암벽을 오르던 50대 등산객이 추락해 크게 다쳤습니다.
올 들어서 산악 사고로 13명 숨지고 4백 여명이 다치쳤습니다.
산악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계절은 등산객들이 몰리는 가을.
특히 토요일과 일요일에 사고가 집중됐습니다.
전체 산악 사고의 36%는 실족 추락사고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때문에 충분한 경험과 장비를 갖추지 않았다면 이처럼 가파른 암벽 등반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산 속의 기후는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점퍼와 우비는 계절과 기후에 상관없이 항상 준비해야 합니다.
<인터뷰> 강민욱(북한산 등반객) : "등산화나 기본적으로 갖춰야할 것들은 다 챙기는데 오늘 이렇게 산에 올라오다 비가 올 줄 몰랐는데 비가 많이 와서 당황스럽습니다. 우비도 못 챙겨왔고..."
또한 등산 중 과도한 음주는 피해야 하고, 출입금지구역은 절대 들어가지 않아야합니다.
만약 사고를 당했다면 신고 전 정확한 사고 지점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터뷰> 이창기(도봉소방서) : "등산로 상에 2백미터 3백미터 사이에 이 위치 표지판이 설치돼 있습니다. 위치 표지판을 보시고 119에 신고해주시면 저희 119 구조대원들이 신속하게 출동하게 되겠습니다.
가을철 급증하는 산악사고, 기본적인 안전 지침만 숙지하면 얼마든지 예방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
-
정연욱 기자 donkey@kbs.co.kr
정연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