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 위조지폐 유통 급증…감별 어떻게?
입력 2012.10.06 (21:41)
수정 2012.10.06 (22: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중국인 관광객이 우리나라를 많이 찾아 좋긴 한데 덩달아 위안화 위조지폐 신고가 부쩍 늘었습니다.
시중에 얼마나 돌아다니는지 정확히 파악도 안됩니다.
이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우리나라를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모두 220만 명.
우리나라에서 한 해 유통되는 위안화만도 3천 5백억 원 어치에 이릅니다.
쓰고 남은 원화를 위안화로 바꾸는 중국인, 한 장 씩 꼼꼼히 확인합니다.
<인터뷰> 중국인 학생: "가끔 위조지폐가 발견되니까요. 그래서 돈을 확인하는 거죠."
실제 이 환전소에서는 두 달 전 위안화 위조지폐가 발견됐습니다.
<인터뷰> 위폐 발견 환전상: "(위안화가) 가짜가 많지. 왜냐하면 중국은 나라가 넓으니까 거기에서 많이 유통되던게 흘러들어오고..."
상반기 기준으로 2년 전 38장에 그쳤던 위안화 위폐 신고 건수는 올해 56장으로 늘었습니다.
위안화 위조 지폐가 전체 위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해마다 늘어 지난해에는 처음으로 전체의 20%를 넘어섰습니다.
중국에서 대량으로 제조되는 위조지폐 일부가 국내에 반입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신고는 극히 일부에 불과합니다.
<인터뷰> 박억선(위폐감식 전문가): "위안화 같은 경우에는 처음 접하시는 분들도 많다보니까 위폐 확인을 못하는 그런 경우가 많이 있다고 할 수 있겠죠."
종이에 컬러프린터로 인쇄한 위안화 위조지폐는 면 재질인 진짜보다 표면이 매끄럽고 인쇄가 흐릿한 것이 특징입니다.
빛에 비춰봤을 때 100위안 화폐는 좌측 아래에 숫자 '100'이 나타나지만, 가짜에는 이 숫자가 보이지 않는 것도 차이점입니다.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중국인 관광객이 우리나라를 많이 찾아 좋긴 한데 덩달아 위안화 위조지폐 신고가 부쩍 늘었습니다.
시중에 얼마나 돌아다니는지 정확히 파악도 안됩니다.
이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우리나라를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모두 220만 명.
우리나라에서 한 해 유통되는 위안화만도 3천 5백억 원 어치에 이릅니다.
쓰고 남은 원화를 위안화로 바꾸는 중국인, 한 장 씩 꼼꼼히 확인합니다.
<인터뷰> 중국인 학생: "가끔 위조지폐가 발견되니까요. 그래서 돈을 확인하는 거죠."
실제 이 환전소에서는 두 달 전 위안화 위조지폐가 발견됐습니다.
<인터뷰> 위폐 발견 환전상: "(위안화가) 가짜가 많지. 왜냐하면 중국은 나라가 넓으니까 거기에서 많이 유통되던게 흘러들어오고..."
상반기 기준으로 2년 전 38장에 그쳤던 위안화 위폐 신고 건수는 올해 56장으로 늘었습니다.
위안화 위조 지폐가 전체 위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해마다 늘어 지난해에는 처음으로 전체의 20%를 넘어섰습니다.
중국에서 대량으로 제조되는 위조지폐 일부가 국내에 반입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신고는 극히 일부에 불과합니다.
<인터뷰> 박억선(위폐감식 전문가): "위안화 같은 경우에는 처음 접하시는 분들도 많다보니까 위폐 확인을 못하는 그런 경우가 많이 있다고 할 수 있겠죠."
종이에 컬러프린터로 인쇄한 위안화 위조지폐는 면 재질인 진짜보다 표면이 매끄럽고 인쇄가 흐릿한 것이 특징입니다.
빛에 비춰봤을 때 100위안 화폐는 좌측 아래에 숫자 '100'이 나타나지만, 가짜에는 이 숫자가 보이지 않는 것도 차이점입니다.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위안화 위조지폐 유통 급증…감별 어떻게?
-
- 입력 2012-10-06 21:41:51
- 수정2012-10-06 22:32:41

<앵커 멘트>
중국인 관광객이 우리나라를 많이 찾아 좋긴 한데 덩달아 위안화 위조지폐 신고가 부쩍 늘었습니다.
시중에 얼마나 돌아다니는지 정확히 파악도 안됩니다.
이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우리나라를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모두 220만 명.
우리나라에서 한 해 유통되는 위안화만도 3천 5백억 원 어치에 이릅니다.
쓰고 남은 원화를 위안화로 바꾸는 중국인, 한 장 씩 꼼꼼히 확인합니다.
<인터뷰> 중국인 학생: "가끔 위조지폐가 발견되니까요. 그래서 돈을 확인하는 거죠."
실제 이 환전소에서는 두 달 전 위안화 위조지폐가 발견됐습니다.
<인터뷰> 위폐 발견 환전상: "(위안화가) 가짜가 많지. 왜냐하면 중국은 나라가 넓으니까 거기에서 많이 유통되던게 흘러들어오고..."
상반기 기준으로 2년 전 38장에 그쳤던 위안화 위폐 신고 건수는 올해 56장으로 늘었습니다.
위안화 위조 지폐가 전체 위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해마다 늘어 지난해에는 처음으로 전체의 20%를 넘어섰습니다.
중국에서 대량으로 제조되는 위조지폐 일부가 국내에 반입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신고는 극히 일부에 불과합니다.
<인터뷰> 박억선(위폐감식 전문가): "위안화 같은 경우에는 처음 접하시는 분들도 많다보니까 위폐 확인을 못하는 그런 경우가 많이 있다고 할 수 있겠죠."
종이에 컬러프린터로 인쇄한 위안화 위조지폐는 면 재질인 진짜보다 표면이 매끄럽고 인쇄가 흐릿한 것이 특징입니다.
빛에 비춰봤을 때 100위안 화폐는 좌측 아래에 숫자 '100'이 나타나지만, 가짜에는 이 숫자가 보이지 않는 것도 차이점입니다.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
-
이정민 기자 mani@kbs.co.kr
이정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