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이 세상을 바꾼다…진화하는 나눔·기부

입력 2012.12.31 (21:46) 수정 2012.12.31 (22: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리포트>

주택가의 작은 마을도서관.

조윤지 씨는 이 곳 '공유서가'에 책 열 권을 갖다 놨습니다.

대신 다른 사람들이 제공한 책들을 맘껏 읽을 수 있고, 언제든 다시 가져갈 수도 있습니다.

<인터뷰> 조윤지(서울 상암동) : "집에 있으면 한번 보고 꽂아놓을 수밖에 없는 책들인데, 여기 꽂아놓으니까 다른 사람들도 함께 볼 수 있어서 더 뿌듯하고 좋아요."

나눠쓰는 것은 물건 뿐이 아닙니다.

최태연 씨는 동네 학생에게 피아노를 가르쳐 주고 레슨비 대신 포인트 형식의 '지역화폐'를 적립합니다.

이렇게 모은 지역화폐는 다시 이웃에게 커튼 리폼을 부탁할 때 사용합니다.

재능을 나누는 일종의 '품앗이'입니다.

<인터뷰> 최태연(서울 구산동) : "제가 가진 재능을 열심히 베풀고, 그분들도 또 똑같은 마음을 가지고 저한테 베풀어주시고 해서 서로 상호관계가 있다는 게 너무 기쁘고..."

그냥 사장될 수도 있는 개개인의 재능이나 소유물이 공유를 통해 재생산되는 겁니다.

<인터뷰> 양희동(이화여대 경영학과 교수) : "(공유란) 경제적인 발상에서 출발했지만, 배려와 신뢰라는 중요한 상부상조체계가 가미된 사회적인 가치와 체계로 발전되고 진화되어가고 있습니다"

물건 나눠쓰기에서 시작된 '공유'는 이제 재능과 공간,시간 등으로 확대되면서, 이웃간의 관계회복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효용입니다.

<리포트>

<녹취> "쿵더덕"

서울의 한 복지원.

국악인 박인희씨가 매주 한 차례 수업을 해 온 지 벌써 4년째입니다.

<인터뷰> 박인희(후원자 ARS성금) : "이렇게 기부를 많이 하잖아요..한번의 얘깃거리는 되겠지만 거기에 집중적인 지속적인 사랑이 없거든요"

이런 재능 기부는 수업료를 감당하기 힘든 학생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인터뷰> 김진미(후원아동) : "때로는 부모님 같고 어떨 땐 언니같고 든든해서 좋아요."

고마움을 전해 온 편지에는 인도 소년의 사진이 들어 있습니다.

소년과 인연을 맺은 지 5년 째.

지난해는 인도를 찾아 만났을 만큼 정이 들었습니다.

<인터뷰> 지 은 : "요즘 그런말 많이 쓰잖아요. 힐링된다구 이 아이 만나서 진짜 힐링이 많이 된거 같아요."

국내외 아동과 이런 방식으로 1:1 결연한 후원자는 해마다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직접 수혜자에게 기부하면서 기금운영은 보다 투명해졌습니다.

<인터뷰> 박을종(한양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후원자에 대한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후원받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지속적으로 자기인생을 설계할 수 있다."

모금함이 아닌 사람 대 사람으로!

일회성에 그치던 나눔의 방식이 진화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유호윤입니다.

<앵커 멘트>

<리포트>

"와~~ 안녕하세요"

지역주민 14 가구가 만든 육아 공동체입니다.

이곳에선 부모들이 돌아가며 아이들을 돌봅니다.

배움은 역할놀이를 통해 흥미를 더합니다.

"(이제 아저씨 부를 때 뭐라고 부를까?) 카메라"

어른에게 쉽게 다가가는 눈높이 교육입니다.

장애 아동들도 함께 어울립니다.

<인터뷰> 김재희(학부모) : "소외된 다문화가정 아이도 그런 사람들이 다 같이 어우러지는 것을 배울 수 있게 ,,,,그런 점이 아이들이 커가면서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

내년부턴 다문화가정 아동도 받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김형용(학부모) : "지역에 있는 다른 사람과 어울릴 수 있는 공간이 또 만들어지지 않냐 해서 북카페도 한번 만들어보자 이런 식으로 스스로 필요한 것을 하나하나씩 것을 만들어나가는거죠."

쪽방촌 밀집지역.

한평 남짓의 공간에 사는 주민에겐 음식조리가 골칩니다.

<인터뷰> 김장기(쪽방촌 주민/51살) : "왜 그러냐면 잘못하다 불나버리면 (큰일나죠) 그래서 여기서는 잘..."

그래서 주민들이, 공동주방을 만들었습니다.

운영 4개월째, 요리와 식사를 함께 나누다보니, 즐거움이 꽃피는 사랑방이 됐습니다.

<인터뷰> 이경숙(63살) : "여기 생기고 울지 않아요..여기 오기때문에 밥도 먹고 여러사람과 얘기도 나누고.."

서울 지역 공동체 모임은 300여곳.

나눔의 온기가, 침체됐던 마을 공동체에 생기를 불어넣고 있습니다.

KBS 뉴스 민경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나눔이 세상을 바꾼다…진화하는 나눔·기부
    • 입력 2012-12-31 21:46:35
    • 수정2012-12-31 22:33:19
    뉴스 9
<앵커 멘트> <리포트> 주택가의 작은 마을도서관. 조윤지 씨는 이 곳 '공유서가'에 책 열 권을 갖다 놨습니다. 대신 다른 사람들이 제공한 책들을 맘껏 읽을 수 있고, 언제든 다시 가져갈 수도 있습니다. <인터뷰> 조윤지(서울 상암동) : "집에 있으면 한번 보고 꽂아놓을 수밖에 없는 책들인데, 여기 꽂아놓으니까 다른 사람들도 함께 볼 수 있어서 더 뿌듯하고 좋아요." 나눠쓰는 것은 물건 뿐이 아닙니다. 최태연 씨는 동네 학생에게 피아노를 가르쳐 주고 레슨비 대신 포인트 형식의 '지역화폐'를 적립합니다. 이렇게 모은 지역화폐는 다시 이웃에게 커튼 리폼을 부탁할 때 사용합니다. 재능을 나누는 일종의 '품앗이'입니다. <인터뷰> 최태연(서울 구산동) : "제가 가진 재능을 열심히 베풀고, 그분들도 또 똑같은 마음을 가지고 저한테 베풀어주시고 해서 서로 상호관계가 있다는 게 너무 기쁘고..." 그냥 사장될 수도 있는 개개인의 재능이나 소유물이 공유를 통해 재생산되는 겁니다. <인터뷰> 양희동(이화여대 경영학과 교수) : "(공유란) 경제적인 발상에서 출발했지만, 배려와 신뢰라는 중요한 상부상조체계가 가미된 사회적인 가치와 체계로 발전되고 진화되어가고 있습니다" 물건 나눠쓰기에서 시작된 '공유'는 이제 재능과 공간,시간 등으로 확대되면서, 이웃간의 관계회복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효용입니다. <리포트> <녹취> "쿵더덕" 서울의 한 복지원. 국악인 박인희씨가 매주 한 차례 수업을 해 온 지 벌써 4년째입니다. <인터뷰> 박인희(후원자 ARS성금) : "이렇게 기부를 많이 하잖아요..한번의 얘깃거리는 되겠지만 거기에 집중적인 지속적인 사랑이 없거든요" 이런 재능 기부는 수업료를 감당하기 힘든 학생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인터뷰> 김진미(후원아동) : "때로는 부모님 같고 어떨 땐 언니같고 든든해서 좋아요." 고마움을 전해 온 편지에는 인도 소년의 사진이 들어 있습니다. 소년과 인연을 맺은 지 5년 째. 지난해는 인도를 찾아 만났을 만큼 정이 들었습니다. <인터뷰> 지 은 : "요즘 그런말 많이 쓰잖아요. 힐링된다구 이 아이 만나서 진짜 힐링이 많이 된거 같아요." 국내외 아동과 이런 방식으로 1:1 결연한 후원자는 해마다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직접 수혜자에게 기부하면서 기금운영은 보다 투명해졌습니다. <인터뷰> 박을종(한양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후원자에 대한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후원받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지속적으로 자기인생을 설계할 수 있다." 모금함이 아닌 사람 대 사람으로! 일회성에 그치던 나눔의 방식이 진화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유호윤입니다. <앵커 멘트> <리포트> "와~~ 안녕하세요" 지역주민 14 가구가 만든 육아 공동체입니다. 이곳에선 부모들이 돌아가며 아이들을 돌봅니다. 배움은 역할놀이를 통해 흥미를 더합니다. "(이제 아저씨 부를 때 뭐라고 부를까?) 카메라" 어른에게 쉽게 다가가는 눈높이 교육입니다. 장애 아동들도 함께 어울립니다. <인터뷰> 김재희(학부모) : "소외된 다문화가정 아이도 그런 사람들이 다 같이 어우러지는 것을 배울 수 있게 ,,,,그런 점이 아이들이 커가면서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 내년부턴 다문화가정 아동도 받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김형용(학부모) : "지역에 있는 다른 사람과 어울릴 수 있는 공간이 또 만들어지지 않냐 해서 북카페도 한번 만들어보자 이런 식으로 스스로 필요한 것을 하나하나씩 것을 만들어나가는거죠." 쪽방촌 밀집지역. 한평 남짓의 공간에 사는 주민에겐 음식조리가 골칩니다. <인터뷰> 김장기(쪽방촌 주민/51살) : "왜 그러냐면 잘못하다 불나버리면 (큰일나죠) 그래서 여기서는 잘..." 그래서 주민들이, 공동주방을 만들었습니다. 운영 4개월째, 요리와 식사를 함께 나누다보니, 즐거움이 꽃피는 사랑방이 됐습니다. <인터뷰> 이경숙(63살) : "여기 생기고 울지 않아요..여기 오기때문에 밥도 먹고 여러사람과 얘기도 나누고.." 서울 지역 공동체 모임은 300여곳. 나눔의 온기가, 침체됐던 마을 공동체에 생기를 불어넣고 있습니다. KBS 뉴스 민경욱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