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하지만 행복한 네팔 사람들
입력 2013.04.29 (12:47)
수정 2013.04.29 (13: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인구 3천만 명의 네팔.
부유하지는 않지만 행복한 삶을 꾸려가는 네팔 사람들의 일상을 들여다봤습니다.
<리포트>
33살 뿌다씨는 두 아이의 아버지입니다.
네팔 여성들은 결혼 후 직장을 그만두기 때문에 가족의 생계는 가장의 책임입니다.
새벽 네 시에 일어나 신문 판매와 배달을 하고 오후에는 인쇄소에서 일을 합니다.
이렇게 해서 버는 돈은 한 달 백 만원 정도.
절반은 식비로 쓰고 나머지는 자녀 교육비로 지출합니다.
저축은 못하지만 지금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뿌다(네팔 카트만두 시민) : "가족과 함께 지내는 게 좋고 아이 교육을 위해 돈을 법니다."
공무원인 레이거미씨도 한 달 소득 2백만 원 대부분을 주택 임대료와 식비 자녀 교육비로 지출합니다.
생활비에 보태기 위해 과외와 글쓰기 등 부업도 합니다.
네팔 정부 통계를 보면 국민의 43%가 빈곤층인데 삶의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쉴 수 있는 집과 먹을 것만 충분하면 더 이상 바랄 게 없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구 3천만 명의 네팔.
부유하지는 않지만 행복한 삶을 꾸려가는 네팔 사람들의 일상을 들여다봤습니다.
<리포트>
33살 뿌다씨는 두 아이의 아버지입니다.
네팔 여성들은 결혼 후 직장을 그만두기 때문에 가족의 생계는 가장의 책임입니다.
새벽 네 시에 일어나 신문 판매와 배달을 하고 오후에는 인쇄소에서 일을 합니다.
이렇게 해서 버는 돈은 한 달 백 만원 정도.
절반은 식비로 쓰고 나머지는 자녀 교육비로 지출합니다.
저축은 못하지만 지금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뿌다(네팔 카트만두 시민) : "가족과 함께 지내는 게 좋고 아이 교육을 위해 돈을 법니다."
공무원인 레이거미씨도 한 달 소득 2백만 원 대부분을 주택 임대료와 식비 자녀 교육비로 지출합니다.
생활비에 보태기 위해 과외와 글쓰기 등 부업도 합니다.
네팔 정부 통계를 보면 국민의 43%가 빈곤층인데 삶의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쉴 수 있는 집과 먹을 것만 충분하면 더 이상 바랄 게 없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난하지만 행복한 네팔 사람들
-
- 입력 2013-04-29 12:48:56
- 수정2013-04-29 13:02:00

<앵커 멘트>
인구 3천만 명의 네팔.
부유하지는 않지만 행복한 삶을 꾸려가는 네팔 사람들의 일상을 들여다봤습니다.
<리포트>
33살 뿌다씨는 두 아이의 아버지입니다.
네팔 여성들은 결혼 후 직장을 그만두기 때문에 가족의 생계는 가장의 책임입니다.
새벽 네 시에 일어나 신문 판매와 배달을 하고 오후에는 인쇄소에서 일을 합니다.
이렇게 해서 버는 돈은 한 달 백 만원 정도.
절반은 식비로 쓰고 나머지는 자녀 교육비로 지출합니다.
저축은 못하지만 지금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뿌다(네팔 카트만두 시민) : "가족과 함께 지내는 게 좋고 아이 교육을 위해 돈을 법니다."
공무원인 레이거미씨도 한 달 소득 2백만 원 대부분을 주택 임대료와 식비 자녀 교육비로 지출합니다.
생활비에 보태기 위해 과외와 글쓰기 등 부업도 합니다.
네팔 정부 통계를 보면 국민의 43%가 빈곤층인데 삶의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쉴 수 있는 집과 먹을 것만 충분하면 더 이상 바랄 게 없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구 3천만 명의 네팔.
부유하지는 않지만 행복한 삶을 꾸려가는 네팔 사람들의 일상을 들여다봤습니다.
<리포트>
33살 뿌다씨는 두 아이의 아버지입니다.
네팔 여성들은 결혼 후 직장을 그만두기 때문에 가족의 생계는 가장의 책임입니다.
새벽 네 시에 일어나 신문 판매와 배달을 하고 오후에는 인쇄소에서 일을 합니다.
이렇게 해서 버는 돈은 한 달 백 만원 정도.
절반은 식비로 쓰고 나머지는 자녀 교육비로 지출합니다.
저축은 못하지만 지금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뿌다(네팔 카트만두 시민) : "가족과 함께 지내는 게 좋고 아이 교육을 위해 돈을 법니다."
공무원인 레이거미씨도 한 달 소득 2백만 원 대부분을 주택 임대료와 식비 자녀 교육비로 지출합니다.
생활비에 보태기 위해 과외와 글쓰기 등 부업도 합니다.
네팔 정부 통계를 보면 국민의 43%가 빈곤층인데 삶의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쉴 수 있는 집과 먹을 것만 충분하면 더 이상 바랄 게 없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