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철 물놀이 사고 예방 수칙은?

입력 2013.08.03 (21:15) 수정 2013.08.03 (22: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렇게 휴가철이면, 물놀이 사고 위험이 높은데요.

그런데도 설마 나한테 일어나겠어 하는 안전불감증은 여전합니다.

황정호 기자가 실태와 안전요령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수영 금지 현수막을 무시하고 거센 물살에도 너나 할 것 없이 수영에 나섭니다.

높은 바위에서 맨 몸으로 물 속에 뛰어듭니다.

안전 장비는 없습니다.

<녹취> 피서객: "(구명 조끼 이런거 안 입으세요?) 네. (왜요. 위험하지 않아요?) 별로..애들 다 수영 잘하는데."

하지만 계곡이나 강은 수심이 보이는 것보다 깊은데다 물살이 세 휩쓸릴 수 있습니다.

튜브에만 의지하지 말고 구명조끼를 입어야 사고를 막을 수 있습니다.

물놀이를 하다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려고 무작정 뛰어드는 것은 위험합니다.

<인터뷰> 이정훈(가평 소방서 현장대응단장): "주위에 있는 나무나 구명환이나 보트나 로프를 이용해 구조를 하면 되겠고..."

물놀이 공원에선 바닥이 미끄러워 뛰거나 장난치다 사고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동중에는 가벼운 신발을 신는 게 안전합니다.

해수욕장 백사장에서도 깨진 유리 조각 같은 날카로운 물체가 있을 수 있어 맨발로 걷는 건 위험합니다.

물놀이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아 사망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최근 4년간 백 10여건입니다.

안전수칙만 지켜도 목숨을 잃는 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KBS 뉴스 황정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휴가철 물놀이 사고 예방 수칙은?
    • 입력 2013-08-03 21:17:34
    • 수정2013-08-03 22:46:11
    뉴스 9
<앵커 멘트>

이렇게 휴가철이면, 물놀이 사고 위험이 높은데요.

그런데도 설마 나한테 일어나겠어 하는 안전불감증은 여전합니다.

황정호 기자가 실태와 안전요령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수영 금지 현수막을 무시하고 거센 물살에도 너나 할 것 없이 수영에 나섭니다.

높은 바위에서 맨 몸으로 물 속에 뛰어듭니다.

안전 장비는 없습니다.

<녹취> 피서객: "(구명 조끼 이런거 안 입으세요?) 네. (왜요. 위험하지 않아요?) 별로..애들 다 수영 잘하는데."

하지만 계곡이나 강은 수심이 보이는 것보다 깊은데다 물살이 세 휩쓸릴 수 있습니다.

튜브에만 의지하지 말고 구명조끼를 입어야 사고를 막을 수 있습니다.

물놀이를 하다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려고 무작정 뛰어드는 것은 위험합니다.

<인터뷰> 이정훈(가평 소방서 현장대응단장): "주위에 있는 나무나 구명환이나 보트나 로프를 이용해 구조를 하면 되겠고..."

물놀이 공원에선 바닥이 미끄러워 뛰거나 장난치다 사고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동중에는 가벼운 신발을 신는 게 안전합니다.

해수욕장 백사장에서도 깨진 유리 조각 같은 날카로운 물체가 있을 수 있어 맨발로 걷는 건 위험합니다.

물놀이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아 사망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최근 4년간 백 10여건입니다.

안전수칙만 지켜도 목숨을 잃는 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KBS 뉴스 황정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