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리포트] ‘멀티 불꽃쇼·3D뮤지컬’ 신한류 이끄는 ‘문화기술’
입력 2013.10.06 (21:18)
수정 2013.10.06 (22: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앞서 나온 인기 K팝 그룹, 샤이니의 무대인데요,
사실은 진짜 공연 모습이 아니라, 홀로그램이라는 첨단 기술을 이용한 가상현실입니다.
한류 확산에는 이 같은 기술 발전도 한 몫을 하고 있는데요,
콘텐츠 산업에 사용돼 부가가치를 높이는 이런 기술을 CT, 바로 문화기술이라고 합니다.
한류의 격을 한 차원 끌어올리고 있는 우리 '문화기술'의 현주소를 양성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음악에 따라 밤하늘을 수놓은 불꽃.
레이저와 영상까지 하나가 돼 한 편의 드라마가 펼쳐집니다.
이 멀티미디어 불꽃쇼는 우리나라가 독보적인 기술을 갖고있습니다.
<녹취>문범석((주)한화 화약사업본부 과장):"레이저라든지, 조명이라든지, 불꽃연출, 음향 이런 것들을 통합해서 하나로 컨트롤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합니다. 이런 부분에서는 우리나라가 제일 앞서나가기 때문에"
이 국악기는 전통 악기와 모양은 비슷하지만 훨씬 다양하고 강렬한 소리를 냅니다.
한 업체가 3년에 걸쳐 개발했는데, 영국과 일본 등 해외 공연도 기획 중입니다.
<녹취>황별님(전자국악기 연주자):"전통국악기는 앉아서 연주하고 그렇게 하는데 이건 서서 거치를 할 수 있어서 좀 자유롭고 역동성 있는 연주를 할 수 있어요."
장식장 문을 열자, 문화재는 없고 투명한 필름 한 장뿐입니다.
홀로그램 기술로 국보 91호 '도제기마인물상'을 재현한 겁니다.
이 같은 문화기술은 이제 연간 87조 원대에 이른 콘텐츠 산업의 근간이 되고 있습니다.
<녹취>김진규(한국콘텐츠진흥원 CT개발본부장):"상상력 창의력을 근간으로 해서 문화적인 요소에 문화기술을 더한 것이 바로 콘텐츠 산업이기 때문에 이제 문화기술 없이 콘텐츠를 얘기할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의 문화 콘텐츠 수출 규모는 지난해 52억 달러, 해마다 26%가 넘는 성장세를 보이면서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문화기술의 활용 영역도 갈수록 넓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양성모입니다.
앞서 나온 인기 K팝 그룹, 샤이니의 무대인데요,
사실은 진짜 공연 모습이 아니라, 홀로그램이라는 첨단 기술을 이용한 가상현실입니다.
한류 확산에는 이 같은 기술 발전도 한 몫을 하고 있는데요,
콘텐츠 산업에 사용돼 부가가치를 높이는 이런 기술을 CT, 바로 문화기술이라고 합니다.
한류의 격을 한 차원 끌어올리고 있는 우리 '문화기술'의 현주소를 양성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음악에 따라 밤하늘을 수놓은 불꽃.
레이저와 영상까지 하나가 돼 한 편의 드라마가 펼쳐집니다.
이 멀티미디어 불꽃쇼는 우리나라가 독보적인 기술을 갖고있습니다.
<녹취>문범석((주)한화 화약사업본부 과장):"레이저라든지, 조명이라든지, 불꽃연출, 음향 이런 것들을 통합해서 하나로 컨트롤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합니다. 이런 부분에서는 우리나라가 제일 앞서나가기 때문에"
이 국악기는 전통 악기와 모양은 비슷하지만 훨씬 다양하고 강렬한 소리를 냅니다.
한 업체가 3년에 걸쳐 개발했는데, 영국과 일본 등 해외 공연도 기획 중입니다.
<녹취>황별님(전자국악기 연주자):"전통국악기는 앉아서 연주하고 그렇게 하는데 이건 서서 거치를 할 수 있어서 좀 자유롭고 역동성 있는 연주를 할 수 있어요."
장식장 문을 열자, 문화재는 없고 투명한 필름 한 장뿐입니다.
홀로그램 기술로 국보 91호 '도제기마인물상'을 재현한 겁니다.
이 같은 문화기술은 이제 연간 87조 원대에 이른 콘텐츠 산업의 근간이 되고 있습니다.
<녹취>김진규(한국콘텐츠진흥원 CT개발본부장):"상상력 창의력을 근간으로 해서 문화적인 요소에 문화기술을 더한 것이 바로 콘텐츠 산업이기 때문에 이제 문화기술 없이 콘텐츠를 얘기할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의 문화 콘텐츠 수출 규모는 지난해 52억 달러, 해마다 26%가 넘는 성장세를 보이면서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문화기술의 활용 영역도 갈수록 넓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양성모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리포트] ‘멀티 불꽃쇼·3D뮤지컬’ 신한류 이끄는 ‘문화기술’
-
- 입력 2013-10-06 21:05:52
- 수정2013-10-06 22:47:18

<앵커 멘트>
앞서 나온 인기 K팝 그룹, 샤이니의 무대인데요,
사실은 진짜 공연 모습이 아니라, 홀로그램이라는 첨단 기술을 이용한 가상현실입니다.
한류 확산에는 이 같은 기술 발전도 한 몫을 하고 있는데요,
콘텐츠 산업에 사용돼 부가가치를 높이는 이런 기술을 CT, 바로 문화기술이라고 합니다.
한류의 격을 한 차원 끌어올리고 있는 우리 '문화기술'의 현주소를 양성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음악에 따라 밤하늘을 수놓은 불꽃.
레이저와 영상까지 하나가 돼 한 편의 드라마가 펼쳐집니다.
이 멀티미디어 불꽃쇼는 우리나라가 독보적인 기술을 갖고있습니다.
<녹취>문범석((주)한화 화약사업본부 과장):"레이저라든지, 조명이라든지, 불꽃연출, 음향 이런 것들을 통합해서 하나로 컨트롤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합니다. 이런 부분에서는 우리나라가 제일 앞서나가기 때문에"
이 국악기는 전통 악기와 모양은 비슷하지만 훨씬 다양하고 강렬한 소리를 냅니다.
한 업체가 3년에 걸쳐 개발했는데, 영국과 일본 등 해외 공연도 기획 중입니다.
<녹취>황별님(전자국악기 연주자):"전통국악기는 앉아서 연주하고 그렇게 하는데 이건 서서 거치를 할 수 있어서 좀 자유롭고 역동성 있는 연주를 할 수 있어요."
장식장 문을 열자, 문화재는 없고 투명한 필름 한 장뿐입니다.
홀로그램 기술로 국보 91호 '도제기마인물상'을 재현한 겁니다.
이 같은 문화기술은 이제 연간 87조 원대에 이른 콘텐츠 산업의 근간이 되고 있습니다.
<녹취>김진규(한국콘텐츠진흥원 CT개발본부장):"상상력 창의력을 근간으로 해서 문화적인 요소에 문화기술을 더한 것이 바로 콘텐츠 산업이기 때문에 이제 문화기술 없이 콘텐츠를 얘기할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의 문화 콘텐츠 수출 규모는 지난해 52억 달러, 해마다 26%가 넘는 성장세를 보이면서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문화기술의 활용 영역도 갈수록 넓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양성모입니다.
앞서 나온 인기 K팝 그룹, 샤이니의 무대인데요,
사실은 진짜 공연 모습이 아니라, 홀로그램이라는 첨단 기술을 이용한 가상현실입니다.
한류 확산에는 이 같은 기술 발전도 한 몫을 하고 있는데요,
콘텐츠 산업에 사용돼 부가가치를 높이는 이런 기술을 CT, 바로 문화기술이라고 합니다.
한류의 격을 한 차원 끌어올리고 있는 우리 '문화기술'의 현주소를 양성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음악에 따라 밤하늘을 수놓은 불꽃.
레이저와 영상까지 하나가 돼 한 편의 드라마가 펼쳐집니다.
이 멀티미디어 불꽃쇼는 우리나라가 독보적인 기술을 갖고있습니다.
<녹취>문범석((주)한화 화약사업본부 과장):"레이저라든지, 조명이라든지, 불꽃연출, 음향 이런 것들을 통합해서 하나로 컨트롤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합니다. 이런 부분에서는 우리나라가 제일 앞서나가기 때문에"
이 국악기는 전통 악기와 모양은 비슷하지만 훨씬 다양하고 강렬한 소리를 냅니다.
한 업체가 3년에 걸쳐 개발했는데, 영국과 일본 등 해외 공연도 기획 중입니다.
<녹취>황별님(전자국악기 연주자):"전통국악기는 앉아서 연주하고 그렇게 하는데 이건 서서 거치를 할 수 있어서 좀 자유롭고 역동성 있는 연주를 할 수 있어요."
장식장 문을 열자, 문화재는 없고 투명한 필름 한 장뿐입니다.
홀로그램 기술로 국보 91호 '도제기마인물상'을 재현한 겁니다.
이 같은 문화기술은 이제 연간 87조 원대에 이른 콘텐츠 산업의 근간이 되고 있습니다.
<녹취>김진규(한국콘텐츠진흥원 CT개발본부장):"상상력 창의력을 근간으로 해서 문화적인 요소에 문화기술을 더한 것이 바로 콘텐츠 산업이기 때문에 이제 문화기술 없이 콘텐츠를 얘기할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의 문화 콘텐츠 수출 규모는 지난해 52억 달러, 해마다 26%가 넘는 성장세를 보이면서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문화기술의 활용 영역도 갈수록 넓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양성모입니다.
-
-
양성모 기자 maria615@kbs.co.kr
양성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