폄하되는 학술 한류…보완책 마련 필요!

입력 2013.10.12 (06:40) 수정 2013.10.12 (11: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현대를 지식산업사회라고 하죠.

말 그대로 지식이 부가가치의 원천이 되는 시대가 됐는데, 최첨단 학술 정보를 담고 있는 우리 학술지가 공짜로 인터넷에 공개되고 있습니다.

공짜로 공개하면 학술지의 수준이 높아진다는 건데, 정말 그럴까요?

이승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조선과 반도체, 건축. 한국이 선도하고 있는 산업부문입니다.

그 힘은 탄탄한 이론적 토대로, 이들 분야의 국내 학술 성과는 세계적 수준에 올라와 있습니다.

가장 우수한 학회지 목록인 SCI에 올라간 한국논문만도 4만4천편, 세계 11위 수준입니다.

문제는 이들 성과 상당수가 인터넷을 통해 무료로 공개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인터뷰> 구자윤(교수/대한전기학회장) : "우리나라에서 나온 보고서를 100여개만 보면 대한민국이 미래에 뭘 지향하고 있다. 정보를 앉아서 얻는거예요. 노력 안하고.. 다 돈받고 팔아야 되는데 다 주는 거예요. "

그 이유는 정부의 OA, 이른바 '오픈 액세스' 정책 때문.

무료 공개를 통해 국내 학술지의 인지도를 높인다는 취집니다.

<인터뷰> 이영순(과총 학술진흥위원장) : "보다 많은.. 연구자들이 볼 수 있기 때문에 그 논문에서 연구된 내용을 인용하는 사람이 많아지면 피인용지수가 올라가고..."

연말까지 공개되는 국내 논문은 160만편. 지금까지 전 세계에서 공개된 논문수 113만편보다 많은 숩니다.

문제는 무료공개로 인해 국내 학술 콘텐츠의 상업적 가치를 스스로 포기할 수밖에 없다는 데 있습니다.

사이언스나 네이처지 등 유명 학술지를 구독하기 위해 국내의 대학 등은 1년에 2천억원을 해외 DB업체에 지불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학술DB는 오히려 외면받는 추셉니다.

<인터뷰> 국내 DB업체 영업담당 : "(해외)대학교 도서관 담당자들은.. 이런 자료가 OA 가 되면 다 무료로 볼 수 있는데 라고 하시면서 계약을 안하시고.. 이용자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 조원대로 추산되는 세계 학술콘텐츠 시장.

학술 한류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보완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승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폄하되는 학술 한류…보완책 마련 필요!
    • 입력 2013-10-12 10:45:49
    • 수정2013-10-12 11:14:40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현대를 지식산업사회라고 하죠.

말 그대로 지식이 부가가치의 원천이 되는 시대가 됐는데, 최첨단 학술 정보를 담고 있는 우리 학술지가 공짜로 인터넷에 공개되고 있습니다.

공짜로 공개하면 학술지의 수준이 높아진다는 건데, 정말 그럴까요?

이승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조선과 반도체, 건축. 한국이 선도하고 있는 산업부문입니다.

그 힘은 탄탄한 이론적 토대로, 이들 분야의 국내 학술 성과는 세계적 수준에 올라와 있습니다.

가장 우수한 학회지 목록인 SCI에 올라간 한국논문만도 4만4천편, 세계 11위 수준입니다.

문제는 이들 성과 상당수가 인터넷을 통해 무료로 공개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인터뷰> 구자윤(교수/대한전기학회장) : "우리나라에서 나온 보고서를 100여개만 보면 대한민국이 미래에 뭘 지향하고 있다. 정보를 앉아서 얻는거예요. 노력 안하고.. 다 돈받고 팔아야 되는데 다 주는 거예요. "

그 이유는 정부의 OA, 이른바 '오픈 액세스' 정책 때문.

무료 공개를 통해 국내 학술지의 인지도를 높인다는 취집니다.

<인터뷰> 이영순(과총 학술진흥위원장) : "보다 많은.. 연구자들이 볼 수 있기 때문에 그 논문에서 연구된 내용을 인용하는 사람이 많아지면 피인용지수가 올라가고..."

연말까지 공개되는 국내 논문은 160만편. 지금까지 전 세계에서 공개된 논문수 113만편보다 많은 숩니다.

문제는 무료공개로 인해 국내 학술 콘텐츠의 상업적 가치를 스스로 포기할 수밖에 없다는 데 있습니다.

사이언스나 네이처지 등 유명 학술지를 구독하기 위해 국내의 대학 등은 1년에 2천억원을 해외 DB업체에 지불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학술DB는 오히려 외면받는 추셉니다.

<인터뷰> 국내 DB업체 영업담당 : "(해외)대학교 도서관 담당자들은.. 이런 자료가 OA 가 되면 다 무료로 볼 수 있는데 라고 하시면서 계약을 안하시고.. 이용자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 조원대로 추산되는 세계 학술콘텐츠 시장.

학술 한류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보완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승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