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이모저모] 액션 배우에서 화가로…
입력 2013.11.01 (11:00)
수정 2013.11.01 (13: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액션 배우 실베스터 스탤론이 러시아에서 전시회를 열었습니다.
기존 이미지와는 달리 섬세함이 돋보이는 회화 작품을 대거 선보여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지구촌 이모저모에서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지난 1976년부터 시작된 영화 '록키' 시리즈.
이어 '람보'로 전 세계 영화팬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은 실베스터 스탤론.
60대 후반에 접어든 그는 여전히 다수의 액션 영화를 소화하며 '노장은 죽지 않는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는데요.
감독과 제작자로도 활약하고 있는 스탤론에게 최근 '화가'라는 수식어가 하나 더 붙었습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국립 러시아 박물관에 아침 일찍부터 많은 인파가 몰렸는데요.
실베스터 스탤론의 전시회를 보기 위해서입니다.
전시회의 제목은 '실베스터 스탤론 그림, 1975년부터 오늘까지'인데요.
사실 스탤론이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건 40여년 전 할리우드에서 배우 생활을 시작하기 전부터였습니다.
가장 먼저 관람객의 눈길을 끄는 건 실베스터 스탤론의 자화상입니다.
삶의 의미를 탐색하는 인간의 모습을 그린 작품과, 친구의 죽음에 관한 단상을 화폭에 담은 그림 등 스탤론의 작품 30여 점이 전시회에 나와있습니다.
<녹취> 실베스터 스탤론(배우) : “제가 영화도 만들어 보긴 했지만, 예술가가 그림으로 표현한 자신의 생각은 진정한 의사소통의 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관람객들은 근육질 몸매에 워낙 선굵은 연기만 했던 스탤론이 섬세한 감성의 소유자였다는 사실이 놀랍다는 반응입니다.
<인터뷰> 티코노바(관람객) : “스탤론이 그림을 그리는 줄 몰랐는데 전시회를 보고 또 놀랐습니다. 그림이 무척 좋았고요. 다시 한 번 보러 오고 싶네요.”
하지만 스탤론의 전시회를 모두가 반긴 건 아닙니다.
일각에서는 그동안 러시아 유명 거장들의 그림만 걸었던 국립 박물관에서 아직 아마추어에 불과한 할리우드 스타의 그림을 전시하는 걸 못마땅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녹취> 블라디미르 드미트리프(상트페테르부르크 의회 대변인) : “한 150여 년 후라면 러시아 국민 작가라 불리는 레비탄과 레핀, 그리고 스탤론을 함께 거론하게 될 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현재는 신인일 뿐입니다.”
이런 논란에도 불구하고 스탤론의 전시회는 대중들의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지구촌 이모저모였습니다.
액션 배우 실베스터 스탤론이 러시아에서 전시회를 열었습니다.
기존 이미지와는 달리 섬세함이 돋보이는 회화 작품을 대거 선보여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지구촌 이모저모에서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지난 1976년부터 시작된 영화 '록키' 시리즈.
이어 '람보'로 전 세계 영화팬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은 실베스터 스탤론.
60대 후반에 접어든 그는 여전히 다수의 액션 영화를 소화하며 '노장은 죽지 않는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는데요.
감독과 제작자로도 활약하고 있는 스탤론에게 최근 '화가'라는 수식어가 하나 더 붙었습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국립 러시아 박물관에 아침 일찍부터 많은 인파가 몰렸는데요.
실베스터 스탤론의 전시회를 보기 위해서입니다.
전시회의 제목은 '실베스터 스탤론 그림, 1975년부터 오늘까지'인데요.
사실 스탤론이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건 40여년 전 할리우드에서 배우 생활을 시작하기 전부터였습니다.
가장 먼저 관람객의 눈길을 끄는 건 실베스터 스탤론의 자화상입니다.
삶의 의미를 탐색하는 인간의 모습을 그린 작품과, 친구의 죽음에 관한 단상을 화폭에 담은 그림 등 스탤론의 작품 30여 점이 전시회에 나와있습니다.
<녹취> 실베스터 스탤론(배우) : “제가 영화도 만들어 보긴 했지만, 예술가가 그림으로 표현한 자신의 생각은 진정한 의사소통의 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관람객들은 근육질 몸매에 워낙 선굵은 연기만 했던 스탤론이 섬세한 감성의 소유자였다는 사실이 놀랍다는 반응입니다.
<인터뷰> 티코노바(관람객) : “스탤론이 그림을 그리는 줄 몰랐는데 전시회를 보고 또 놀랐습니다. 그림이 무척 좋았고요. 다시 한 번 보러 오고 싶네요.”
하지만 스탤론의 전시회를 모두가 반긴 건 아닙니다.
일각에서는 그동안 러시아 유명 거장들의 그림만 걸었던 국립 박물관에서 아직 아마추어에 불과한 할리우드 스타의 그림을 전시하는 걸 못마땅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녹취> 블라디미르 드미트리프(상트페테르부르크 의회 대변인) : “한 150여 년 후라면 러시아 국민 작가라 불리는 레비탄과 레핀, 그리고 스탤론을 함께 거론하게 될 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현재는 신인일 뿐입니다.”
이런 논란에도 불구하고 스탤론의 전시회는 대중들의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지구촌 이모저모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구촌 이모저모] 액션 배우에서 화가로…
-
- 입력 2013-11-01 11:01:40
- 수정2013-11-01 13:14:43

<앵커 멘트>
액션 배우 실베스터 스탤론이 러시아에서 전시회를 열었습니다.
기존 이미지와는 달리 섬세함이 돋보이는 회화 작품을 대거 선보여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지구촌 이모저모에서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지난 1976년부터 시작된 영화 '록키' 시리즈.
이어 '람보'로 전 세계 영화팬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은 실베스터 스탤론.
60대 후반에 접어든 그는 여전히 다수의 액션 영화를 소화하며 '노장은 죽지 않는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는데요.
감독과 제작자로도 활약하고 있는 스탤론에게 최근 '화가'라는 수식어가 하나 더 붙었습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국립 러시아 박물관에 아침 일찍부터 많은 인파가 몰렸는데요.
실베스터 스탤론의 전시회를 보기 위해서입니다.
전시회의 제목은 '실베스터 스탤론 그림, 1975년부터 오늘까지'인데요.
사실 스탤론이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건 40여년 전 할리우드에서 배우 생활을 시작하기 전부터였습니다.
가장 먼저 관람객의 눈길을 끄는 건 실베스터 스탤론의 자화상입니다.
삶의 의미를 탐색하는 인간의 모습을 그린 작품과, 친구의 죽음에 관한 단상을 화폭에 담은 그림 등 스탤론의 작품 30여 점이 전시회에 나와있습니다.
<녹취> 실베스터 스탤론(배우) : “제가 영화도 만들어 보긴 했지만, 예술가가 그림으로 표현한 자신의 생각은 진정한 의사소통의 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관람객들은 근육질 몸매에 워낙 선굵은 연기만 했던 스탤론이 섬세한 감성의 소유자였다는 사실이 놀랍다는 반응입니다.
<인터뷰> 티코노바(관람객) : “스탤론이 그림을 그리는 줄 몰랐는데 전시회를 보고 또 놀랐습니다. 그림이 무척 좋았고요. 다시 한 번 보러 오고 싶네요.”
하지만 스탤론의 전시회를 모두가 반긴 건 아닙니다.
일각에서는 그동안 러시아 유명 거장들의 그림만 걸었던 국립 박물관에서 아직 아마추어에 불과한 할리우드 스타의 그림을 전시하는 걸 못마땅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녹취> 블라디미르 드미트리프(상트페테르부르크 의회 대변인) : “한 150여 년 후라면 러시아 국민 작가라 불리는 레비탄과 레핀, 그리고 스탤론을 함께 거론하게 될 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현재는 신인일 뿐입니다.”
이런 논란에도 불구하고 스탤론의 전시회는 대중들의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지구촌 이모저모였습니다.
액션 배우 실베스터 스탤론이 러시아에서 전시회를 열었습니다.
기존 이미지와는 달리 섬세함이 돋보이는 회화 작품을 대거 선보여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지구촌 이모저모에서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지난 1976년부터 시작된 영화 '록키' 시리즈.
이어 '람보'로 전 세계 영화팬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은 실베스터 스탤론.
60대 후반에 접어든 그는 여전히 다수의 액션 영화를 소화하며 '노장은 죽지 않는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는데요.
감독과 제작자로도 활약하고 있는 스탤론에게 최근 '화가'라는 수식어가 하나 더 붙었습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국립 러시아 박물관에 아침 일찍부터 많은 인파가 몰렸는데요.
실베스터 스탤론의 전시회를 보기 위해서입니다.
전시회의 제목은 '실베스터 스탤론 그림, 1975년부터 오늘까지'인데요.
사실 스탤론이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건 40여년 전 할리우드에서 배우 생활을 시작하기 전부터였습니다.
가장 먼저 관람객의 눈길을 끄는 건 실베스터 스탤론의 자화상입니다.
삶의 의미를 탐색하는 인간의 모습을 그린 작품과, 친구의 죽음에 관한 단상을 화폭에 담은 그림 등 스탤론의 작품 30여 점이 전시회에 나와있습니다.
<녹취> 실베스터 스탤론(배우) : “제가 영화도 만들어 보긴 했지만, 예술가가 그림으로 표현한 자신의 생각은 진정한 의사소통의 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관람객들은 근육질 몸매에 워낙 선굵은 연기만 했던 스탤론이 섬세한 감성의 소유자였다는 사실이 놀랍다는 반응입니다.
<인터뷰> 티코노바(관람객) : “스탤론이 그림을 그리는 줄 몰랐는데 전시회를 보고 또 놀랐습니다. 그림이 무척 좋았고요. 다시 한 번 보러 오고 싶네요.”
하지만 스탤론의 전시회를 모두가 반긴 건 아닙니다.
일각에서는 그동안 러시아 유명 거장들의 그림만 걸었던 국립 박물관에서 아직 아마추어에 불과한 할리우드 스타의 그림을 전시하는 걸 못마땅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녹취> 블라디미르 드미트리프(상트페테르부르크 의회 대변인) : “한 150여 년 후라면 러시아 국민 작가라 불리는 레비탄과 레핀, 그리고 스탤론을 함께 거론하게 될 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현재는 신인일 뿐입니다.”
이런 논란에도 불구하고 스탤론의 전시회는 대중들의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지구촌 이모저모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